참고자료 1. 한국화가 일람표(연대순)
玄洞子 安堅 1400-1479 화원, <몽유도원도,1447>★朱耕
李秀文 1403- 대나무
醉琴軒 朴彭年 1417-1456 <설죽도>
仁齋 姜希顔 1417-1464 문신, 3절, <高士觀水圖><高士渡橋圖>,‘養花小錄’
文淸 15세기 <樓閣산수도>
崔淑昌 15세기 <산수도>
李長孫 15세기 <산수도>
徐文寶 15세기말 <산수도>
學圃 李上佐 15C후-16C중 화원, 인물화(중종어진) <松下步月圖> <낚시질> <쪽잠>
梅竹軒 李瑢 1417-1453 安平大君, 서화수집가, 세종3남★匪懈 黨,낭玕居士
원정 崔壽城 1487-1521 시,서, 화,악 <눈덮힌 산간마을>★북해 거사, 경포산인,
學圃 梁彭孫 1488-1545 <山水圖><부러진 대나무>
李巖 1499- 꽃, 새, 벌래, 동물(고양이). <猫狗圖>
師任堂 신인선 1504-1554 안견화풍의 초충도, 묵죽도
鄭世光 16초-16후 <낚시>
灘隱 李霆 1514-1622 세종 고손, 이숭효 아들. 조선3대 묵죽 가, <풍죽도>, 글씨(전서에 능함)
養松堂 金禔 1524-1593 <童子牽驢圖>★양송헌, 취면
李不害 1529- 절파풍 <鵲猫圖, 騎驢獨行圖,曳丈逍遙 圖>
心水 李正根 1531- 화원(곽희파풍 산수), <雨景山水圖, 관 산적설도>
影谷 黃執中 1533- 조선문인화 3절(묵포도)★卑牧堂
이흥효 1537-1593 이숭효 동생, 절파풍 김제필법의 산수 도. <冬景色, 山水圖>
李崇孝 1536전-16후 이상좌 아들. 절파풍 어옹귀족도 <漁 夫>
駱坡 李慶胤 1545-1611 김제화풍 <사호圍碁圖, 산수인물도,주 계단안도, 高士濯足圖, 騎圖, 觀
瀑圖, 鶴>★낙촌, 학록
李英胤 1561-1611 이경윤 동생, 산수, 우마, 영모, 화조도 병풍
雪谷 魚夢龍 1566- 매화도<夜梅> ★설천
월담 尹毅立 1568-1643 예조판서, <冬景色>
淸陰 김상헌 1570-1652 斥和文臣, ★石室山人
鶴山 尹貞立 1571-1627 <帆船><觀瀑圖>★梅軒
懶齋 李楨 1578-1607 <기松望雁圖><낚시>☆나옹, 나우, 雪嶽,
退村 金埴 1579-1662 산수, 동물화 <童子騎牛圖>★청포,죽 창, 죽서
虛舟 李澄 1581-1645? (명)맹영광/곽희파풍 <遊艇訪芳圖>
眉叟 許穆 1595-1682 묵포도, 묵매, <묵죽도> 글씨(전서)★ 臺嶺老人
滄江 趙涑 1595-1668 영모, 매죽, <묵매도, 지상쌍금도,老樹 棲鵲圖>☆滄혼, 醉혼, 醉病
尹仁傑 16C 함윤덕 화풍 <쪽잠, 踞松觀瀑圖>
咸允德 16C후반 절파 화풍 <騎驢圖, 山水圖>
蓮潭 金明國 1600-1662이후 절파풍 화원, <심산행려도, 기려인물 도,관폭도,관수도,달마도,探梅
圖,書鑑 賞圖,繪畵鑑賞圖>☆醉翁, 菊潭
雪灘 韓時覺 1621- 도화서 교수. <文科/武科試驗場>
玉洞 李漵 1662-1723 동국진서체 창안
恭齋 尹斗緖 1668-1715 윤선도 증손, 윤덕희의 부.<노승도, 출렵도, 백마도, 우마도권, 심산지록
도, 馬上處士圖, 春郊洗馬圖>★종애
和齋 卞相璧 숙종대 닭, 개, 고양이(下猫) <雛子圖, 猫雀圖>
李明郁 17중-18초 도화서 교수 <낚시꾼과 나무꾼, 漁樵 問答圖>
謙齋 鄭敾 1676-1759 화원, 진경산수 창시자. <금강전도, 입 암도, 인왕제색도,통천문암도,만
폭동도, 가야금 타는 노인, 봄비, 관수도, >★ 兼艹, 蘭谷
洛西 尹德熙 1685-1776 윤두서 아들. 맹영광화풍. 말, 신선도☆ 蓮圃,蓮翁
觀我齋 趙榮祏 1686-1761 인물화, <蓬窓驟雨圖 松下箕踞圖 繪畵 鑑賞圖> ★石溪山人
僻隱 秦再奚 1691-1769 화원, <月下吹笛圖>
岫雲 柳德章 1694-1774 조선3대묵죽가, 탄은화풍, <묵죽도,설 죽도>★茄山
南里 金斗樑 1696-1763 <春夏桃李園,豪興圖,月下溪流圖,牧牛圖, 四季圖, 月夜山水圖, 犬圖>☆
藝泉
玄齋 沈師正 1707-1769 선비화가, 정선문하 남종산수, 화조도
靑皐 尹용 1708-1740 윤두서 손자 윤덕희아들. <나물캐는 여인, 紅閣春望圖>
凌壺觀 李德祥 1710-1760 <雪松圖, 老松圖, 雪松圖>
凌壺 李麟祥 1710-1760 3절, <수옥정, 구학정>★寶山子
澹拙 姜熙彦 1710-1764 정선 사사, <石工圖, 士人三景圖, 인왕 산>
眞宰 金允謙 1711-1775 진경산수, <信行渡海船圖, 장안사, 필 운대>
毫生館 崔北 1712-1786 <금강산전도, 산수도, 眞夏,표훈사, 風雪 夜歸人圖>★월성, 성재, 기
암, 거기재, 삼기재
豹菴 姜世晃 1713-1791 사군자,병풍도, 삼청도, 난죽도☆첨재, 山響齋
소재 李聖麟 1718-1777 화원, 산수와 도석인물 (새, 짐승, 소나 무, 대나무) <비탈길>
復軒 金應煥 1742-1789 <江岸廳笛圖>
之又齋 鄭遂榮 1743-1831 진경산수를 독자적 문인화풍으로 발전 시킴. <春江孤舟圖, 秋景山水
圖, 眞珠潭>
檀園 金弘道 1745-1806 조선 최대 풍속화가 ★丹邱, 西湖, 高 眼居士, 醉畵史, 첩醉翁
有春 李寅文 1745-1821 道釋人物, 영모, 포도. <樓閣雅集圖, 江山無盡圖>★紫煙翁
李蒜 1752-1800 포도, 국화
兢齋 金得臣 1754-1822 조선 3대 풍속화가, 노안도, 인물화 <破寂저>★弘月軒
蕙園 申潤福 1758- <미인도, 단오도, 연당의 여인, 검무도, 산공수진, 선유도>
蕉園 金碩臣 1758- 김득신 동생. 풍속화가. <뱃놀이>
茶山 丁若鏞 1762-1836 사의적 추상적 남종화 비판 <매조도>
鶴山 尹濟弘 1764- <松契閑談圖,月下牛背笛聲圖,옥순봉>
水月軒 林熙之 1765- 8尺奇人, 생황, 묵매와 묵란(추사 이전 최고), <묵란도, 남죽도, 노묘
도,> ★水月堂
紫霞 申緯 1769-1847 3 절, 조선3대 묵죽화가★驚脩堂
肯園 金良驥 1792-19중 金弘道의 자, 풍속화가 <月前吹笙圖, 古木疎林圖>★浪谷
小塘 李在寬 1783-1837 독자적 남종화풍 수립. 구름, 초목, 새 인물(태조어진) <松下人物圖,
憂之>
彝齋 權敦仁 1783-1859 영의정(철종)/추사 화제자
秋史 金正喜 1786-1856 <歲寒圖(1844,국보180)>
華山館 李命基 정조대 화원, 정조어진, 풍속화가(나비)
艹衣禪 士張意恂 1786- 1866
琳田 趙廷奎 1791- 조석진 조부. 화원(전형적 남종화가), 물고기, 개 <魚蟹圖, 금강산병
풍도, 산수도, 풍랑을 헤치고>
又峯 趙熙龍 1789-1866 3절(매화), 추사제자, <매화서옥도, 묵 죽도>★梅叟, 梅花頭陀, 又梅
道人
小癡 許鍊(維) 1809-1892 3절, 추사 문하생, 운림산방 1대, 실경 산수도 <夏景山水圖, 秋江晩
橋圖, 墨竹 圖, 山居圖>★老痴
一毫 南啓宇 1811-1888 나비
石坡 李昰應 1820-1898 묵란
琳塘 白殷培 1820-1900 화원(산수,영모,인물화,어진)<海上群仙圖, 騎驪江岸圖>
古藍 田琦 1825-1854 추사 제자, 실경산수<계산포무도,매화 초옥도>★두당
蕙山 劉淑 1827-1873 화원(마지막 풍속화가).산수,인물, 화조.<혜산유숙필매화도,大快圖>
老泉 方允明 1827-1880 김정희 화맥을 계승 조선말 사군자화단 주도, 매 난 글씨<묵란도>
石窓 洪世燮 1832-1884 <유압도>
香壽 丁學敎 1832-1914 난죽괴석★夢人
海士 安健榮 1841-1876 장승업과 더불어 조선 화원의 마지막 명수, 안중식.조석진 스승. 인
물, 영 모, 추충, 어해. <春景山水圖>★梅士
石然 楊基薰 1843-1897 蘆雁圖, 山水圖 ★패상어인
吾園 張承業 1843-1897 영모화 <豪鷲圖,雙雉圖>
石芝 蔡龍臣 1850-1941 조선시대 전통양식을 따른 마지막 인물 화가, 영모도
白蓮 池運永 1852-1935 3절, 글씨(해서), 산수, 인물 <후적벽 부도, 신선도> ★雪峰
小琳 趙錫晉 1853-1920 조선 도화서의 마지막 화원중 1인. 장 승업 문하. 서화협회 창립 후진
양성. 물고기, 노안도
石村 尹用求 1853-1939 묵죽☆海觀, 獐位山人, 倒垂蘭
小湖 金應元 1855-1921 추사 화맥 계승, 난초<묵란도, 芝蘭呈 祥圖>
茂亭 鄭萬朝 1858-1936 의재 스승, 친일파로 변절
芸楣 閔泳翊 1860-1914 묵란
心田 安中植 1861-1919 장승업 문하. 서화협회 창립(1918) <백 악산, 청산>★불불옹
米山 許瑩 1861-1938 운림산방 2대
嗨岡 金圭鎭 1868-1933 서예가(모든체) 사군자(특히 난죽), 서 화연구회 창설, ★白雲居士,
醉翁, 萬 二千峯主人
一州 金振宇 1883-1950 사군자(특히 묵죽), 서예(행초서), 서화 감식, <묵죽도, 虛心豊德,
竹石圖>
貫齋 李道榮 1884-1933 서화가(특히 산수, 인물, 절지기명, 예 서, 행서) ★면소(면巢), 碧虛子
春谷 高羲東 1886-1965 한국최초 서양화가, 최초 미술 일본유 학생, 미협회장, 예술원장,
<금강산진 주담폭포, 탐승>
毅齋 許百鍊 1891- 1977 書協조직, 鮮展심사위원, <秋山圖, 蓮 花白鷺圖, 器皿折枝圖, 蘆雁圖>
以堂 金殷鎬 1892-1979 ‘별지’
深香 朴勝武 1893-1980 ‘별지’
壽齋 李漢福 1897-1940 趙/安 私事후 일본유학, 十代산수풍경 화가, 미술교사,서화감식★無號
靑田 李象範 1897-1972 ‘별지’
小亭 卞寬植 1899-1976 ‘별지’
心汕 盧壽鉉 1899-1978 ‘별지’
北山 金秀哲 19C 山水 花卉화가 <梅屋, 松溪閑談圖, 계산적 적도>
墨鷺 李用雨 1902-1953 한국화가, 서화미술회1기생(조/안 문하), 서화협회 최연소정회원,
同硯社 회원 <봉황도, 시골풍경, 백두산천지>★春田
顧庵 李應魯 1904-1989 홍성, 김규진 문하생, ★竹史
南農 許楗 1907-1987 진도, 운림산방 3대, 예술원 원로회원, 선전특선(1944),
齋堂 裵濂 1911-1968 동양화가, 靑田화숙생, 서협/선전 다수 입선, 예술원회원, 산수,화조도,
<하경 산수도, 綠樹靑山>
月田 張遇聖 1912-2005 선전 특선(1941-43), 예술원 원로회 원, <이충무공영정, 김유신장군,
초상화, 백두산천지>
雲甫 金基昶 1913-2001 바보산수
山丁 徐世鈺 1929- 月田제자, 현대적 동양화 개척
임전 許文 1941-
許鎭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