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터 2012. 12. 22. 22:33

<목차>

1. MP3 마이앨범 '담기' 명세

2.글래식 작곡가(ABC순)

3.클래식 작곡가 해설(출생년도 순)

   1) 바로크 이전

    2) 바로크 음악

    3) 고전주의

    4) 초기 낭만주의

    5) 후기 낭만주의

    6) 20세기 음악

4. H. V. Karajan Best Classic CD Collection

5. 클래식 명곡 100선

6. 행사음악(국악/가곡,가요/클래식)

 

 

1. MP3 마이앨범 ‘담기’명세

 

1. G.P.Palestrina(1525-1594) 이태리

Giulio Caccini(1550-1618) 이태리

Johann Pachelbel(1653-1706) 독일

T. G. Albinoni(1671-1750) 이태리

Antonio Vivaldi(1678-1741) 이태리

George Friedrich Handel(1685.2-1759) 독일/영국

Johann Sebastian Bach(1685.3-1750) 독일

 

 

2. Franz Joseph Haydn(1732-1809) 오스트리아

Luigi Boccherini(1743-1805) 이태리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오스트리아

 

 

3.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독일

Niccolo Paganini(1782-1840) 이태리

Gioacchino Antonio Rossini(1792-1868) 이태리

Franz Peter Schubert(1797.1-1828) 오스트리아

 

 

4. D. G. Maria Donizetti(1797-1848) 이태리

V. Bellini(1801-1835) 이태리

Louis Hector Berlioz(1803-1869) 프랑스

Johann Strauss 1세 (1804-1849) 오스트리아

M.I.Glinka(1804-1857) 러시아

Bartholy Felix Mendelssohn(1809-1847) 독일

Frederic Francis Chopin(1810.3-1849) 폴란드

 

 

5. Robert Schumann(1810.6-1856) 독일

Franz von Liszt(1811-1886) 헝가리

Wilhelm Richard Wagner(1813-1883) 독일

Giuseppe Verdi(1813-1901) 이태리

C.F.Gounod(1818-1893) 프랑스

Franz von Suppe(1819-1895) 오스트리아

Jacques Offenbach(1819-1880) 독일/프랑스

Bedrich Smetana(1824-1884) 체코

Jesef Anton Bruckner(1824-1896) 오스트리아

C. A. Franck (1822-1890) 벨기에/프랑스

Johann Strauss Ⅱ(1825-1899) 오스트리아

 

 

6. Johannes Brahms(1833-1897) 독일

A. P. Borodin(1833-1887) 러시아

 

 

7. Charles Camille Saint-Saens(1835-1921) 프랑스

Max Bruch(1838-1920) 독일

George Bizet(1838-1875) 프랑스

M. P. Musorgsky(1839-1881) 러시아

P. I. Tchaikovsky(1840-1893) 러시아

Antonin Dvorak(1841-1904) 체코

Jules Massnet(1842-1912)

E. H. Grieg(1843-1907) 노르웨이

Pablo Sarasate(1844-1908) 스페인

N. A. Rimskii-Korsakov(1844-1908) 러시아

 

 

8. Gabriel Urbain Faure (1845-1924) 프랑스

Edward Elgar(1857-1934) 영국

Giacomo Puccini(1858-1924) 이태리

Claude Achille Debussy(1862-1918) 프랑스

Pietro Mascagni (1863-1945) 이태리

Richard Georg Strauss(1864-1949) 독일

Jean Sibelius(1865-1957) 핀란드

 

 

 

9. S. V. Rakhmaninov(1873-1943) 러시아

Amold Schonberg(1874-1951) 독일

Maurice Joseph Ravel(1875-1937) 프랑스

Fritz Kreisler(1875-1962) 오스트리아/미국

Bela Bartok(1881-1945) 헝가리

I. F. Stravinsky(1882-1971) 러시아

S. S. Prokofiev(1891-1953) 러시아

Carl Orff(1895-1982) 독일

George Gershwin(1898-1937) 미국

 

 

10. D. D. Shostakovich (1906-1975) 러시아

Olivier Messiaen(1908-1992) 프랑스

Samuel Barber(1910-1981) 미국

K. Clark (1927- ) 미국

* Hermann Necke(1850-1912)의 ‘Csikos Post’

* Franck W. Meacham(1850-1895)의 ‘American patrol’

* Gabriel Marie(1852-1928)의 ‘금혼식(La cinquantaine)’

* Gaetano Braga(1829-1907)의 ‘천사의 세레나데’

* Tekla Badarzewska(1838-1861)의 ‘소녀의 기도’

 

 

 

 

 

2.클래식 작곡가(ABC순 찾아보기)

 

 

T. G. Albinoni (1671-1750) 이태리

Johann Sebastian Bach (1685.3-1750) 독일

Tekla Badarzewska (1838-1861)

Samuel Barber (1910-1981) 미국

Bela Bartok (1881-1945) 헝가리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독일

V. Bellini (1801-1835) 이태리

Louis Hector Berlioz (1803-1869) 프랑스

George Bizet (1838-1875) 프랑스

Luigi Boccherini (1743-1805) 이태리

A. P. Borodin (1833-1887) 러시아

Johannes Brahms (1833-1897) 독일

Gaetano Braga (1829-1907)

Max Bruch (1838-1920) 독일

Jesef Anton Bruckner (1824-1896) 오스트리아

Giulio Caccini (1550-1618) 이태리

Frederic Francis Chopin (1810.3-1849) 폴란드

K. Clark (1927- ) 미국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프랑스

D. G. Maria Donizetti (1797-1848) 이태리

Antonin Dvorak (1841-1904) 체코

Edward Elgar (1857-1934) 영국

Gabriel Urbain Faure (1845-1924) 프랑스

C. A. Franck (1822-1890) 벨기에/프랑스

George Gershwin (1898-1937) 미국

M.I.Glinka (1804-1857) 러시아

C.F.Gounod (1818-1893) 프랑스

E. H. Grieg (1843-1907) 노르웨이

George Friedrich Handel (1685.2-1759) 독일/영국

Franz Joseph Haydn (1732-1809) 오스트리아

Fritz Kreisler (1875-1962) 오스트리아/미국

Franz von Liszt (1811-1886) 헝가리

Gabriel Marie (1852-1928)

Pietro Mascagni (1863-1945) 이태리

Jules Massnet (1842-1912)

Franck W. Meacham (1850-1895

Bartholy Felix Mendelssohn (1809-1847) 독일

Olivier Messiaen (1908-1992) 프랑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오스트리아

M. P. Musorgsky (1839-1881) 러시아

Hermann Necke (1850-1912)

Jacques Offenbach (1819-1880) 독일/프랑스

Carl Orff (1895-1982) 독일

Johann Pachelbel (1653-1706) 독일

Niccolo Paganini (1782-1840) 이태리

G.P.Palestrina (1525-1594) 이태리

S. S. Prokofiev (1891-1953) 러시아

Giacomo Puccini (1858-1924) 이태리

S. V. Rakhmaninov (1873-1943) 러시아

Maurice Joseph Ravel (1875-1937) 프랑스

N. A. Rimskii-Korsakov (1844-1908) 러시아

Gioacchino Antonio Rossini (1792-1868) 이태리

Charles Camille Saint-Saens (1835-1921) 프랑스

Pablo Sarasate (1844-1908) 스페인

Amold Schonberg (1874-1951) 독일

Franz Peter Schubert (1797.1-1828) 오스트리아

Robert Schumann (1810.6-1856) 독일

D. D. Shostakovich (1906-1975) 러시아

Jean Sibelius (1865-1957) 핀란드

Bedrich Smetana (1824-1884) 체코

Richard Georg Strauss (1864-1949) 독일

Johann Strauss 1세 (1804-1849) 오스트리아

Johann Strauss Ⅱ세 (1825-1899) 오스트리아

I. F. Stravinsky (1882-1971) 러시아

Franz von Suppe (1819-1895) 오스트리아

P. I. Tchaikovsky (1840-1893) 러시아

Giuseppe Verdi (1813-1901) 이태리

Antonio Vivaldi (1678-1741) 이태리

Wilhelm Richard Wagner(1813-1883) 독일

 

 

3. 클래식 작곡가 찾아보기(출생순)

 

1. 바로크 이전의 음악(고대, 중세, 르네상스)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2.3~1594.2.2]

카치니[Giulio Caccini](1550-1618)

 

2. 바로크 시대 음악

파헬벨[Johann Pachelbel](1653.9.1-1706.3.3)

알비노니[Tomaso Giovanni Albinoni](1671-1750)

비발디 [Antonio Vivaldi, 1678.3.4~1741.7.28]

마르첼로 [Alessandro Marcello, 1684~1750]

헨델 [Georg Fridrich Handel 1685.2.23~1759.4.19]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3.21~1750.7.28]

마르첼로 (Benedetto Marcello 1686∼1739)

 

3. 고전주의 시대 음악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1787)

하이든 [Franz Joseph Haydn, 1732.3.31~1809.5.31]

보케리니 [Luigi Boccherini, 1743.2.19~1805.5.28]

차르트 [Wolfgang Amadeo Mozart, 1756.1.27~1791.12.5]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12.17~1827.3.26]

요한 네포무크 훔멜 (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

파가니니 [1782.10.27~1840.5.27]

베버 (Karl Maria Friedrich Ernst von Weber 1786∼1826)

로시니 [Gioacchino Rossini, 1792.2.29~1868.11.13]

도니체티[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1797-1848)

 

4. 초기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슈베르트 [Franz Peter Schubert 1797.1.31~1828.11.19] 

벨리니[Vincenzo Bellini](1801-1835)

베를리오즈 [Louis-Hector Berlioz, 1803.12.11~1869.3.8]

슈트라우스 [Johann Baptist Strauss, 1804.3.14~1849.9.25]

글린카 [Mikhail Ivanovich Glinka, 1804.6.1~1857.2.15]

멘델스존 [Jac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2.3~1847.11.4]

쇼팽 [Frederic Francis Chopin 1810.3.1~1849.10.17]

슈만 [Robert Schumann 1810.6.8~1856.7.29] 

 

5.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리스트 [Franz von Liszt, 1811.10.22~1886.7.31]

바그너 [Wilhelm Richard Wagner, 1813.5.22~1883.2.13] 

베르디 [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10.10~1901.1.27]

구노 [1818.6.17~1893.10.18]

오펜바흐[Jacques Offenbach](1819-1880)

주페[Franz von Suppe](1819-1895)

프랑크[Cesar Auguste Franck](1822-1890)

스메타나 [1824.3.2~1884.5.12]

브루크너 [Josef Anton Bruckner, 1824.9.4~1896.10.11]

슈트라우스 [Johann Strauss, 1825.10.25~1899.6.3]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5.7~1897.4.3]

보로딘 [1833.11.12~1887.2.27]

생상스 [Saint Saens, Charles Camille 1835.10.9~1921.12.16]

브루흐 [Max Bruch, 1838.1.6~1920.10.2]

비제 [Georges Bizet, 1838.10.25~1875.6.3]

무소르크스키 [Modest Petrovich Musorgskii, 1839.3.21~1881.3.28] 

차이코프스키 [Pyotr Il'ich Tchaikovskii, 1840.5.7~1893.11.6]

드보르자크 [Antonin Dvorak 1841.9.8~1904.5.1]

마스네 [1842.5.12~1912.8.13]

그리그 [Edvard Hagerup Grieg, 1843.6.15~1907.9.4]

사라사테 [Pablo de Sarasate, 1844.3.10~1908.9.20]

림스키코르사코프 [Nikolai Andreevich Rimskii-Korsakov, 1844.3.18~1908.6.21]

포레 Faure, Gabriel Urbain(1845.5.12~1924.11.4) 프랑스

엘가 [Edward Elgar, 1857.6.2~1934.2.23]

푸치니 [Giacomo Puccini, 1858.12.22~1924.11.29]

레온카발로 (Ruggiero Leoncavallo 1858∼1919)

말러 (Gustav Mahler 1860∼1911)

드뷔시 [Achille Claude Debussy, 1862.8.22~1918.3.25]

마스카니 [Pietro Mascagni, 1863.12.7~1945.8.2]

슈트라우스 [Richard Georg Strauss, 1864.6.11~1949.9.8]

시벨리우스 [Jean Sibelius, 1865.12.8~1957.9.20]

라흐마니노프 [Sergey Rachmaninoff, 1873.4.1~1943.3.28]

 

★ 국민주의 시대 음악가(민족 특유의 음악 표현)

   -근대 관현악법의 대가 - 림스키코르사코프

     ※러시아 5인조:발라키네프,큐이,보로딘,무소르그스키,림스키코르사코프

   -구성주의적 민족주의자-드보르자크

   -북극의 쇼팽-그리그

   -범유럽풍의 지적인 묘사-시벨리우스

   -근대 영국 음악의 선구자-엘가

 

6. 20세기 음악

쇤베르크 [Schonberg, Amoldi 1874.9.13~1951.7.13]

크라이슬러[Fritz Kreisler](1875.2.2-1962.1.29)

라벨 [Maurice Joseph Ravel, 1875.3.7~1937.12.28]

레스피기<Respighi, Ottorino, 1879-1936>

바르토크<1881.3.25~1945.9.26>

스트라빈스키 [1882.6.17~1971.4.6]

프로코피예프 [Sergei Sergeevich Prokofiev, 1891.4.23~1953.3.5]

오르프 [Carl Orff, 1895.7.10~1982.3.29]

거슈윈 [George Gershwin, 1898.9.26~1937.7.11]

쇼스타코비치 [Dmitrii Dmitrievich Shostakovich, 1906.9.25~1975.8.9]

안익태 [安益泰, 1906.12.5~1965.9.16]

메시앙 [Olivier Messiaen, 1908.12.10~1992.4.27]

바버 [Samuel Barber, 1910.3.9~1981.1.23]

윤이상 [尹伊桑, 1917.9.17~1995.11.4]

클라크, 키스 / Clark, Keith(1927- )

 

 

 

1.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2.3~1594.2.2]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교회음악가로 활약하면서 100곡 이상의 미사곡과 300곡 이상의 모테트, 그리고 많은 세속(世俗) 마드리갈 등을 남겼다.

 

국적 이탈리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이탈리아 로마 근교 팔레스트리나

 

본문

로마 근교 팔레스트리나 출생. 일찍부터 로마에서 교회음악가로 활약하고 산타마리아 마조레대성당, 산피에트로대성당 외에 몇 군데 교회에서 악장직을 역임하면서 100곡 이상의 미사곡과 300곡 이상의 모테트, 그리고 많은 세속(世俗) 마드리갈 등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원숙한 대위법 기법, 명징(明澄)한 표현에 특징이 있으며, 또 성악존중(聖樂尊重)의 태도를 고수함으로써 가톨릭 폴리포니교회음악의 한 이상을 만들어냈다. 그것은 그 후 가톨릭음악의 지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위법 기법의 모범으로서도 오늘날까지 높이 평가되고 있다.

 

 

2. 카치니[Giulio Caccini](1550-1618)

 

Giulio Romano라고도 함.

1550경 로마~1618. 12. 10 피렌체.

 

이탈리아의 성악가·작곡가.

 

그의 노래들은 1600년경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새로운 모노디 음악을 확립하고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하나의 표현적인 선율을 화음이 반주하는 모노디는 서로 다른 여러 선율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전통적인 다성음악 양식과는 정반대이다. 로마에서 보낸 그의 초기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지만 1574년 이전 어느 때인가 피렌체에서 그의 후원자인 메디치가(家)의 코시모 1세를 만나기 전까지 조반니 아니무차에게 배웠던 것이 분명하다. 16세기의 마지막 20년 동안 그는 최초의 오페라의 산실이 된 조반니 바르디 백작의 '피렌체 카메라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궁정 가면극에서 연기하고 노래하는 동안(그 가운데 몇몇을 위한 음악을 작곡하기도 함) 〈신음악 Le nuove musiche〉(1602)에서 밝힌 새로운 노래(모노디)에 대한 개념을 완성했다. 이 책은 독창 마드리갈과 아리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담은 서문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서문은 올리버 스트렁크의 〈음악사의 문헌들 Source Readings in Music History〉(1952)에 영역되어 있다. 그의 마드리갈들은 그의 새로운 기법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었는데 말의 억양을 충실히 따르고 감정적 장식음들로 고양된 우아하고 유연한 성악 선율이 새로 고안된 계속저음으로 즉흥연주되는 부차적인 온음계적 화음 반주 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음 30년 동안 다른 많은 이탈리아 작곡가들이 이러한 모노디의 유행을 따랐으며 카치니 자신도 또다른 2권의 선곡집을 만들었다. 1600년 야코포 페리의 〈에우리디케 Euridice〉와 같은 대본으로 오페라를 작곡해 1602년 피렌체에서 공연했다.

 

3. 파헬벨[Johann Pachelbel](1653.9.1-1706.3.3)

 

1653. 9. 1 뉘른베르크에서 세례받음~1706. 3. 3 뉘른베르크.

 

독일의 작곡가, 오르간 연주자.

 

오르간 작품으로 유명하며 J.S.바흐 이전의 위대한 오르간 연주자 중의 한 사람이다. 파헬벨은 알트도르프와 레겐스부르크에서 오르간을 배웠으며 빈, 슈투트가르트, 그밖의 다른 도시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있었다. 1695년 뉘른베르크에 있는 장크트제발두스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 임명되어 죽기 전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오르간을 가르치기도 했는데, 그의 제자 중에는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도 포함되어 있었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는 파헬벨에게 배운 것을 다시 동생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가르쳤는데 이것이 그의 공식적인 최초의 건반악기 교습이었다. 파헬벨의 모든 작품들은 단순한 대위법 양식으로 씌어졌다. 그의 오르간 작품들은 J.J.프로베르거를 거쳐 프레스코발디에 이르는 이탈리아 음악형식들을 그가 이미 알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그의 코랄 프렐류드인데, 이것은 보다 서정적인 음악이 주류를 이루는 가톨릭계 남부 독일의 분위기 속에서 프로테스탄트인 북부 독일의 코랄 선율이 자리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널리 알려진 〈카논 D장조〉는 원래 3개의 바이올린과 계속저음(Continuo)을 위해 작곡된 곡인데 같은 조로 된 지그와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아들 빌헬름 히로니모우스 파헬벨 역시 오르간 연주자이며 작곡가였다

 

 

4. 알비노니[Tomaso Giovanni Albinoni](1671-1750)

   

1671. 6. 8/14 베네치아~1750/51. 1. 17 베네치아.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비노니-현악과 오르간을 위한 아다지오 G단조

오페라와 기악곡들로 폭넓은 인기를 누렸으며 세련되고 매혹적인 악풍이 독특하다. 부유한 종이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풍족한 재산을 가졌다. 충분히 훈련받은 음악가로 만토바 공작의 궁정음악가라는 직업 음악가의 위치에 있었으나 그는 자신을 아마추어라고 생각했다. 50편이 넘는 오페라가 1694~1740년 주로 베네치아에서 공연된 것을 제외한다면 생애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그밖에 특히 유명한 작품으로는 〈Sinfonie e Concerti a 5〉(1707)와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협주곡, 1대의 바이올린과 2대의 오보에를 위한 협주곡 등이 있다.

 

 

5. 비발디 [Antonio Vivaldi, 1678.3.4~1741.7.28]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바이올린 연주자. 40여 곡의 오페라를 비롯해 많은 종교적 성악곡, 가곡 등을 남겼는데 기악곡은 음악사에서 특히 중요한 구실을 했다. 협주곡 분야에서도 코렐리 등이 만든 형식을 발전시켜 알레그로―아다지오―알레그로의 세 악장형식의 독주협주곡과 합주협주곡을 작곡,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국적 이탈리아

출생지 이탈리아 베네치아

주요작품 《조화의 영감》 《사계》

 

본문

베네치아 출생. 어려서부터 산마르코대성당의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로부터 바이올린과 작곡의 기초를 배웠다.

 

1693년 수도사가 되고, 10년 후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1703∼1740년에는 베네치아 구빈원(救貧院) 부속 여자음악학교에 바이올린 교사로 근무하며 합주장·합창장을 역임하였는데, 그 동안 학생들을 위하여 작품을 많이 만들어 학교 관현악단에서 발표하는 등 활발한 음악활동을 하였다.

 

또 한때는 만토바의 필립공의 악장으로 있었으며, 1716∼1722년에는 마르첼로와 알비노니의 영향을 받아 오페라 작곡에도 주력하였다. 그후 여러 차례 로마·피렌체·빈 등지를 연주여행하였으며, 또 국외에서도 여러 차례 연주회를 가졌다.

 

그는 40여 곡의 오페라를 비롯하여 많은 종교적 성악곡, 가곡 등을 남겼는데 기악곡은 음악사에서 특히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협주곡 분야에서도 코렐리 등이 만든 형식을 발전시켜 갖가지 현악기와 관악기를 위한 독주협주곡과 합주협주곡을 작곡,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그것은 대부분 알레그로―아다지오―알레그로의 세 악장형식이며, 알레그로악장에서는 으뜸조[主調]―딸림조[屬調]―관계조―으뜸조라는 전형적인 조구성(調構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이 다음 세대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으며, J.S.바흐는 비발디의 작품을 여러 곡 편곡하여 그 기법을 익혔다.

 

주요작품에는 신포니아 23곡, 합주협주곡 《조화의 영감(靈感)》,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사계》, 갖가지 독주악기를 위한 협주곡 다수와 실내소나타 12곡, 바이올린소나타 17곡 등이 있다.

 

6. 마르첼로 [Alessandro Marcello, 1684~1750]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로마의 문학운동 단체인 델라 아카르디아의 회원이었고, 현에 다양한 관악기를 접목시킨 작품을 작곡했다. 작품으로는 오보에 협주곡 D단조가 유명하다.

 

국적 이탈리아

출생지 이탈리아 베네치아

주요작품 오보에 협주곡 D단조

 

본문

베네치아에서 태어났다. 작곡뿐 아니라 계몽적 사상의 소유자로서 수학과 철학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로마의 문학운동 단체인 아카데미아 델라 아르카디아(Academia del la Arcadía)의 회원이었으며 칸타타와 소나타 등 현에 다양한 관악기를 결합시킨 작품을 작곡했는데, 《5성의 콘체르토》(1716)를 포함한 협주곡집이 현재 전한다. 가장 유명한 작품 오보에 협주곡 D단조는 요한 S.바흐(Johann S.Bach)가 쳄발로용으로 편곡하고 악보도 필사하였다.

 

그의 동생 베네데토 마르첼로(Benedetto Marcello:1686∼1739)도 작곡가였으며, 《당세극장 Il Teatra alla moda》(1720) 등을 펴낸 저술가이기도 했다. 때때로 그의 작품이 동생의 작품으로 오해되기도 했는데, 그래서인지 에테리코 스틴팔리코(Eterico Stinfalico)라는 이름으로 몇 작품을 출판하기도 했다.

 

 

 

7. 헨델 [1685.2.23~1759.4.19]

 

요약

독일 출생의 영국 작곡가. 런던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오페라의 작곡가로 활약했다. ‘왕립 음악아카데미’를 설립하였으며 오라토리오 《에스테르 Esther》, 《메시아 Messiah》, 《알렉산더의 향연 Alexander’s Feast》등을 작곡하였다.

 

원어명 Georg Friedrich Händel

국적 영국

출생지 독일 할레

주요작품 《메시아 Messiah》《알렉산더의 향연 Alexander’s Feast》(1736)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 Royal Fireworks Music》

 

본문

할레에서 출생했다. 9세 때부터 오르간 연주자인 F.차하우에게 사사하여 작곡의 기초와 오르간을 공부하였다. 그 후 아버지의 희망에 따라 한때 할레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였으나 18세 때 함부르크의 오페라극장에 일자리를 얻어 이때부터 음악가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20세 때 오페라 《알미라 Almira》(1705)를 작곡하여 성공을 거두고 이듬해 오페라의 고향인 이탈리아로 가 로마에서 A.코렐리, A.스카를라티의 영향하에 실내악을 작곡하는 한편 피렌체 ·베네치아에서 오페라 작곡가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1710년 하노버궁정의 악장(樂長)으로 초빙되었으나 휴가를 얻어 방문한 런던에 매료되어 1712년 이후는 런던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오페라의 작곡가로 활약하게 되었다.

 

1712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오페라 《충직한 양치기 Il pastor fido》《테세오 Teseo》를 작곡, 상연하고 1718∼1720년에는 찬도스 공작의 후원 아래 종교음악의 명작 《찬도스 앤섬 Chandos Anthoms》 11곡을 작곡하였다. 또 1719년에는 주로 이탈리아오페라의 상연을 위해 ‘왕립 음악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다른 두 이탈리아인 작곡가 G.B.보논치니, A.아리오스티와 함께 그 지배인이 되었다. 그 후 약 10년 동안 창작력의 전성기에 들어선 그는 오늘날까지도 상연되고 있는 이탈리아오페라의 명작 《라다미스토 Radamisto》《오토네 Ottone》《줄리어스 시저 Giulio Cesar》《타메를라노 Tamerlano》《로델린다 Rodelinda》《아드메토 Admeto》《톨로메오 Tolomeo》 등을 작곡하였다. 또 1721년에는 초기의 명작 오라토리오 《에스테르 Esther》를 작곡하였으나 1728년부터 약 10년간은 이탈리아오페라 작곡가로서의 헨델의 운세가 점차 기울어갔다. 중산계급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던 영국의 시민계급이 궁정적 ·귀족적인 취미를 배경으로 한 이탈리아오페라에 대해 반발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1728년 대사(臺辭)에다 민요선율을 곁들여 당시의 귀족사회를 통렬히 풍자한 J.C.페푸시 작곡의 《거지 오페라 The Begger’s Opera》가 상연되어 획기적인 성공을 거두자 왕실 음악아카데미는 부득이 문을 닫게 되었다.

 

그러나 헨델은 이에 굴하지 않고 이듬해에 아카데미를 재건, 헤이마게트극장을 근거로 한때 옛날의 인기를 되찾았으나 1733년 경쟁상대인 보논치니의 이탈리아오페라와 또다른 오페라 회사인 귀족오페라에 밀려 두 번째 극장을 폐쇄하게 되었다. 1734년 세 번째로 이탈리아오페라의 기치를 들고 코벤트 가든 오페라극장 경영에 나섰으나 3년 후인 1737년 마침내 건강악화와 경제파탄으로 오페라 작곡가 겸 극장 경영자로서의 활동에 종지부를 찍었다. 그러나 헨델은 1732년경부터 오라토리오를 작곡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예찬되고 있는 《메시아 Messiah》를 완성하기에 이른다. 그는 1732년의 《에스테르》 개정판에 이어 1735년 사순절(四旬節)에는 성가작품을 포함한 약 15편의 오라토리오를 헤이마케트극장에서 연속 연주하여 점차 오라토리오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높였다. 또 1736년에는 《메시아》에 버금가는 유명한 오라토리오 《알렉산더의 향연 Alexander’s Feast》을 작곡하고 1738∼1751년까지도 거의 모두를 오라토리오의 작곡에 경주하였다.

 

1739년 구약성서에 입각한 위대한 서사시적인 드라마 《사울 Saul》과 《이집트의 이스라엘인 Israel in Egypt》을 발표하면서 다시 건강을 회복한 그는 왕성한 창작력으로 1741년에는 고금의 명작 오라토리오 《메시아》를 작곡하였다. 《메시아》는 모든 사람들에게 그리스도교적인 신앙의 정수(精髓)를 순수하고도 감동 깊게 전해 주는 명작이다. 그러나 헨델의 수많은 오라토리오 중에서 주로 서정적 요소를 강조하며, 접속하는 칸타타형태를 취한 이 작품은 오히려 예외적인 작품에 속한다. 그의 오라토리오의 본질은 현실무대의 제약을 벗어난 가상적 무대에서 그리스도교적 신앙을 모체로 하는 보편적 ·윤리적인 관념을 전개하는 데 있었다. 따라서 그는 종교적 감동을 주는 서정적 표현에 뛰어났고, 오페라작품 속에 축적한 선명한 이미지를 환기시켜 그것을 드라마틱하게 구사하는 능력이 탁월하였다. 이런 점에서 주목해야 할 작품이 앞서 언급한 《이집트의 이스라엘인》과 함께 1746년의 작품 《마카베의 유다 Juda Macabaeus》 등이다.

 

《메시아》 이후에도 그는 《삼손 Samson》《벨샤자르 Belshazzar》 등 뛰어난 오라토리오를 많이 작곡하였으며, 1751년 오라토리오 《입다 Jephtha》를 작곡하던 중 시력을 잃었다. 그러나 실명한 후에도 오라토리오의 상연을 지휘하는 한편 조수의 도움으로 구작(舊作)의 개정에 힘썼다. 헨델은 오페라(46곡), 오라토리오(32곡) 등 주로 대규모의 극음악 작곡에 주력하였지만 기악방면에서도 상당히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유명한 관현악곡모음곡 《수상의 음악 Water Music》《왕궁의 불꽃놀이 음악 Royal Fireworks Music》 외에, 작품 6의 합주협주곡, 작품 4 ·7의 오르간협주곡, 작품 2 ·5의 트리오소나타, 작품 3의 오보에협주곡, 그리고 1720년에 출판된 하프시코드용의 모음곡 등은 모두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다. 종교곡으로는 앞서 말한 11곡의 《찬도스 앤섬》 외에도 유명한 작품으로 위트레히트와 데팅겐의 전승(戰勝)을 축하한 《테 데움 Te Deum》 등이 있다. 1726년에 영국에 귀화하였고 사후 최고의 영예인 웨스트민스터대성당에 매장되었다.

 

 

8.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3.21~1750.7.28]

 

요약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튀링겐주 아이제나흐

주요작품 《브란덴부르크협주곡》 《음악의 헌정》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프랑스모음곡》

 

본문

독일의 오르가니스트·작곡가. 1685년 3월 21일 독일 튀링겐주(州) 아이제나흐에서 요한 암브로지우스의 8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거리의 악사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바이올린과 오르간을 익혔다. 궁정악단에서 연주와 지휘를 하고, 교회음악가로 활동하면서 바로크음악의 대표적인 곡들을 많이 남겼다.

 

바흐의 가계

 

요약

바흐의 가문은 200여 년에 걸쳐 50명의 작곡가를 배출했다. 바흐의 증조부인 요하네스의 세 아들인 요한, 크리스토프, 하인리히 모두 작곡가였다. 바흐에게는 20명의 자녀가 있었는데 그 중 장남인 빌헬름 프리데만, 차남 카를 필립 엠마누엘, 막내 요한 크리스티안 등 3명은 음악사에 찬란한 업적을 남겼다.

 

본문

17세기 후반 역사상 가장 뛰어난 음악가를 탄생시킨 바흐의 가문은 200여 년에 걸쳐 50명 이상의 음악가를 배출하였다. 중부 독일 튀링겐주에 있는 빵집 주인으로 치터(Zither:발현악기)의 애호가였다는 파이트(1619년 사망)가 바흐 가문의 옛 조상이라 하며, 파이트의 장남 요하네스(1580?~1626)가 바로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증조부가 된다.

 

유명한 거리의 악사였던 요하네스의 세 아들 요한, 크리스토프, 하인리히는 모두 작곡가였으며 수편의 작품이 남아 있다. 요한 세바스찬의 조부는 그중 차남인 크리스토프(1613~1661)이며, 그에게는 아들 셋이 있었다.

 

장남 게오르그 크리스토프는 바흐 가문에서는 처음으로 교회합창단장인 칸토르의 지위에 올랐으며, 쌍둥이 동생 요한 크리스토프와 요한 암브로지우스(1645~1695)는 거리의 악사가 되었다. 그리고 암브로지우스의 막내로 태어난 사람이 바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大바흐)이다.

 

그에게는 20명의 자녀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 장남인 빌헬름 프리데만(1710~1784), 차남 카를 필립 에마누엘(1714~1788), 막내 요한 크리스티안(1735~1782)의 3명은 음악사에 찬란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에마누엘과 크리스티안은 전자가 '함부르크의 바흐', '베를린의 바흐', 후자가 '밀라노의 바흐', '런던의 바흐'로 일컬어질 정도로 전 유럽에서 활약하고 대바흐와 헨델을 정점으로 하는 바로크음악에서 하이든·모차르트의 빈고전파로 음악사를 크게 전환시켰다.

 

바흐의 생애

 

요약

독일의 오르가니스트 겸 작곡가. 아이제나흐에서 요한 암브로지우의 8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북독일의 뤼네브르크로 건너가 고등학교를 다니다 졸업 후 바이마르궁정악단의 바이올린 연주자, 아른슈타르의 교회 연주자로 활동했다. 이후 괴텐궁정음악단을 이끌었고 라이프치히의 성토마스교회에서 마지막으로 활동했다.

 

본문

요한 세바스찬은 중부 독일에 있는 루터파 신앙의 중심지인 아이제나흐에서 거리의 악사인 요한 암브로지우스의 8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바이올린을 배웠고, 당숙 요한 크리스토프의 오르간 연주를 들으면서 성장하였다.

 

10세 때 양친을 여의고, 큰형 요한 크리스토프의 집에서 살면서 독일 오르간음악의 전통을 익히게 되었다. 큰형의 가족수가 늘어나자 자립을 해야 했던 바흐는 1700년 봄 북독일의 뤼네부르크로 가서 그 곳 고등학교 급비학생이 되어 루터파의 교육을 받으면서 교회의 합창단원으로서 북독일악파의 다양한 종교음악과 친숙하게 되었다.

 

1702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그는 이듬해 바이마르궁정악단의 바이올린 주자로 근무하면서 연주경험을 쌓았고, 3개월 후에는 아른슈타트의 교회 오르간 주자로 채용되었다. 오르간 주자는 오랫동안 희망하였던 자리였으므로 성능 좋은 오르간이 설치된 새 직장에서 오르간 연주법과 작곡법을 공부하였다.

 

그는 성가대를 훈련시키는 한편, 과거와 당시의 대가들의 작품을 필사·연구하여 점차 독특한 스타일을 확립해 나갔다. 유명한 라단조의 《토카타와 푸가》, 그리고 《여행을 떠나는 사랑하는 형에게 붙이는 카프리치오》 등이 이 시기에 쓴 작품들이다.

 

1707년 6월 바흐는 아른슈타트에서 같은 중부 독일의 뮐하우젠으로 옮겨, 성브라지우스교회의 오르간 주자가 되었다. 여기서도 그는 전과 같이 열심히 작곡하면서 교회 칸타타에도 손을 댔으며, 훌륭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이 해 가을에 그는 사촌인 마리아 바르바라와 결혼하였으며, 두 사람 사이에서 그 후 13년 동안에 7명의 자녀가 태어났는데, 그 중 빌헬름 프리데만과 카를 필립 에마누엘은 훌륭한 음악가로 성장하였다.

 

결혼한 이듬해 바흐는 다시 바이마르로 돌아가, 궁정예배당의 오르간 주자가 되었다. 약 10년간의 바이마르 시절에 그는 오르간 주자로서 명성이 높아지고 작품도 점차 원숙해져 대가로서의 풍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가장 중요한 작품은 《전주곡과 푸가》, 《토카타》 그리고 《코랄전주곡》과 같은 오르간작품이었으며, 따라서 이 시기를 '오르간곡의 시대'라고도 부른다.

 

한편 그는 교회 칸타타를 거의 매달 한 곡씩 발표하였다. 또한 그는 궁정악단의 연주를 통해 비발디를 중심으로 하는 이탈리아 악파의 음악을 알게 되었다. 바흐는 이탈리아의 협주양식이라는 새로운 작곡법에도 착안, 비발디의 협주곡을 오르간이나 쳄발로로 편곡하였다. 이것이 훗날 협주곡의 명작을 낳는 기초가 되었다. 17년 말, 그때까지 궁정의 집안싸움에 휘말리기도 하고, 또 희망하고 있던 궁정악장의 지위도 얻지 못하자, 바흐는 바이마르궁정악단을 떠나 괴텐으로 이사하였다.

 

괴텐궁정악단의 지위는 새바람을 찾고 있던 바흐에게 가장 조건이 좋은 것이었으며, 그는 고액의 연봉을 받으며 17인으로 구성된 궁정악단을 이끌어 가면서 자유롭게 작곡과 연주에 열중하였다. 좋은 환경과 풍족한 생활 속에서 창작에 대한 의욕이 높아진 그는 잇달아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나갔다. 기악곡, 3개의 《바이올린협주곡》, 6곡의 《브란덴부르크협주곡》, 무반주 바이올린의 소나타와 파르티타, 무반주 첼로를 위한 모음곡 등은 이 시기에 작곡된 것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밝은 빛으로 충만되어 있는데, 이것은 바흐의 사회적·가정적인 행복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1720년 아내 마리아 바르바라가 죽자, 이듬해 35세의 바흐는 안나 막달레나를 새로 아내로 맞이하였다. 그리고 그녀를 위하여 《막달레나를 위한 클라비어곡집》(《프랑스모음곡》도 포함)을, 그리고 장남 프리데만을 위하여 《인벤션》을 작곡하였으며, 《평균율 클라비어곡집》도 이 시기에 정리된 것이다.

 

1723년 바흐는 라이프치히의 성토마스교회의 칸토르에 취임하여 죽을 때까지 27년간을 교회음악가로 보내게 된다. 그의 임무는 기악과 성악의 개인지도와 합창단의 훈련, 그리고 이 도시의 교회음악을 작곡하는 일이었다.

 

성토마스교회와 성니콜라이교회에서는 일요일마다 칸타타가 연주되었고, 성금요일에는 수난곡이 불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의 하나님은 견고한 성이로다》 등을 포함한 140곡 이상의 교회칸타타, 《마태오수난곡》을 포함한 몇 곡의 수난곡, 《마니피카트》,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나단조미사》 등 많은 교회음악이 작곡되었다. 이 라이프치히시기를 '교회음악의 시대'라고 부르는 것은 어느 면에서는 옳지만, 사실상 그는 이 때 대학생의 연주단체를 위해 많은 세속적인 칸타타와 클라비어협주곡도 작곡하였고, 만년에는 대위법작법의 극치라고도 할 수 있는 《골트베르크변주곡》, 《음악의 헌정》, 《푸가의 기법》 등도 작곡하였다.

 

그러나 이 최후의 《푸가의 기법》은 급속히 쇠약해진 시력과 뇌졸중의 발작으로 미완성으로 끝났다. 결국 실명한 그는 7월 28일 그동안 복용해 온 약의 해독으로 급격한 전신 허약증세를 일으켜 세상을 떠났으며, 성요한교회의 묘지에 묻혔다.

 

바흐의 작품

 

요약

바흐는 대략 17세기 초엽에서 시작되는 바로크음악의 총괄자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의 대위법, 이탈리아의 협주양식과 화성, 프랑스 음악의 섬세한 건반작업과 프랑스식 서곡 등이 바흐의 개성으로 융화되어 긴장도 높은 독특한 음악으로 표현되었다.

 

본문

바흐는 대략 17세기 초엽에서 시작되는 바로크음악의 총괄자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그는 독일의 전통적인 대위법 예술 속에서 성장하였으며, 북독일의 북스테후데와 남독일의 파헬벨의 오르간 음악의 작법을 배웠다. 다음에 코렐리와 비발디로부터 이탈리아음악의 명쾌한 협주양식과 풍부한 화성, 그리고 라틴적인 형식감을 도입하였으며, 륄리와 쿠프랭에게서 프랑스 음악의 섬세한 건반작법과 대담한 프랑스식 서곡을 배웠다.

 

당시에 풍미하던 음악의 전통과 각 국민의 양식이 바흐의 천재적인 개성 속에서 융화되어 긴장도가 높은 독특한 음악을 낳게 한 것이다. 그러나 바흐를 전통적인 보수주의자, 여러 양식의 총괄자로서만 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라 하겠다.

 

그의 작풍에는 베토벤이 낭만파를 예견하고, 바그너가 20세기의 음악을 예견한 것과 같이, 훗날 발생한 고전파의 양식을 암시하는 많은 특성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기독교한국루터회가 뽑은 '세계를 빛낸 10인의 루터란'의 한 사람이다.

 

9. 마르첼로 (Benedetto Marcello 1686∼1739)

 

이탈리아 작곡가·시인. 베네치아 출생. 로티와 가스파리니에게 사사했다. 한편 법률을 배워 정부의 중요한 지위에도 있었다. 그는 1724∼1726년 시편의 첫 50편을 지우스티니아니가 이탈리아어로 번역한 가사로 성악과 기악곡 《시와 음악의 영감(Estro poeticoarmonico)》을 작곡하였다. 이 곡들은 1∼4성부로 대개 화려한 레치타티보적 양식으로 쓰여졌으며, 오르간 또는 클라비쳄발로의 바소 콘티누오를 갖고 있다. 그 밖에 오페라·오라토리오·마드리갈·콘체르토그로소·트리오 소나타 등을 작곡했고, 또 오페라의 대본이나 당시의 오페라에 대한 풍자적 비평문인 《유행극장(1720)》을 발표하였다.

 

10.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 7. 2.-1787. 11.15)

 

독일의 오페라 작곡가. 초기를 제외하고 창작활동은 거의 한결같이 극음악(劇音樂)을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오페라 창작은 43곡에 이르러 18세기의 오페라 개혁자라고도 불리며 오페라사에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737-1741년에 밀라노에서 작곡가 G.B.삼마르티니의 지도를 받았는데, 그 곳에서 1741년 12월에 초연된 <아르타세르세>가 이후 거의 40년간에 걸친 오페라 창작활동의 출발점이 되었다.

 

1745년 런던으로 건너가 자작을 상연하였고, 이어 순회공연단에 가담하는 등 각지를 전전한 다음 1752년 말 이후 빈에 정주하엿다. 이때까지 16곡의 오페라를 창작하였는데, 대체로 전통적인 이틸리아 오페라 양식을 따르고 있었다. 빈에서는 프랑스대사를 거처 재상으로 취임한 W.A. 카우니츠의 주도로 연극계에 프랑스 취미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글루크는 우선 프랑스의 오페라 코믹을 빈 풍으로 개작해 줄 것을 요청받았다. 그래서 그 자신도 1758년 부터 1764년까지 8곡의 오페라 코믹을 썼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탈리아 오페라속에 프랑스 정신을 융화시키고 그 위에 음악과 연극의 밸런스를 새롭게하는 , 이른바 <개혁 오페라>가 대본작가 R.칼차비치의 협력하에 생겨났다.

 

그 목표는 불필요한 음악적 장식과 가수의 기교를 우선시하는 것을 배제하고, 단순. 진실. 자연을 최대 길잡이로 하여  <시에 표현을 주고 극적 상황을 강조한다>는 오페라 본래의 목적에 따라 음악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도로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1762)>, <알체스테(1767)>, <파리드와 엘레나(1770)>, 가 쓰였다. 1773- 1779년에는 다섯차례 파리를 방문하여 재차 프랑스어로 오페라를 썼고, 또 이탈리아어로 된 구작을 프랑스오페라로 개정.상연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1774)>, <알미드(1777)>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1779)>는 그의 대표작이  되었다.

 

파리에서의 성공을 마리 앙트와네트에게 전해 들은 오스트리아의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는 1774년에 그를 빈의 궁정작가로 임명하였다.

 

한편 파리에서 그는 1752년의 푸퐁논쟁 이후로 해결이 안된 프랑스 오페라 대 이탈리아 오페라의 우열을 둘러싼 논쟁에 휘말려 N.피치니와 동일한 대본으로 작곡을 경쟁한 이른바 '글루크-피치니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11. 하이든 [Franz Joseph Haydn, 1732.3.31~1809.5.31]

 

요약

18세기 후반의 빈고전파를 대표하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교향곡의 아버지로 불린다. 100곡 이상의 교향곡, 70곡에 가까운 현악4중주곡 등으로 고전파 기악곡의 전형을 만들었으며 특히 제1악장에서 소나타형식을 완성한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대표작에《천지창조》, 《사계(四季)》등이 있다.

 

별칭 교향곡의 아버지

국적 오스트리아

활동분야 음악

출생지 오스트리아 로라우

주요작품 《천지창조》(1798), 《사계》(1801)

 

본문

로라우 출생. 교향곡의 아버지로 불린다. 100곡 이상의 교향곡, 70곡에 가까운 현악4중주곡 등으로 고전파 기악곡의 전형을 만들었으며 특히 제1악장에서 소나타형식을 완성한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그리고 만년에는 미사곡과 《천지창조(天地創造) Schöpfung》(1798), 《사계(四季) Die Jahreszeiten》(1801) 등 오라토리오풍의 교회음악의 명작을 남겼다.

 

오스트리아 동부의 작은 마을에서 수레를 만드는 목수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5세 때 친척인 초등학교 교장이자 교회음악가인 프랑크라는 사람의 집에 가서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1740년 빈의 성스테파노대성당의 소년합창대에 들어간 그는 당시의 오스트리아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의 총애를 받았으나 1749년 변성기에 들어가자 합창대를 나와 그때부터 빈에서 자유롭기는 하였지만 불안정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런 생활이 1759년까지 10년간이나 계속되고 그 동안의 자세한 경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독학으로 작곡을 공부하는 한편, 어느 시기에는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인 N.포르포라에게 작곡을 배우기도 하고 음악 애호가인 귀족 툰백작부인의 하프시코드 교사가 되기도 하였으며, 오스트리아의 귀족 퓌른베르크남작 집안의 실내음악가로 고용되기도 하였다 한다. 또 스테파노대성당 등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거나 가수로서 예배주악에 참가하기도 하였으며 밤에는 세레나데악단에 참여하여 빈거리로 나와 돈을 버는 일도 하였다.

 

이처럼 고생을 하면서 음악과 더불어 살아간 그는 10년 후인 1759년 마침내 보헤미아의 모르친백작 집안 궁정악장(宮廷樂長)에 취임하였다. 보헤미아에 부임한 하이든은 그곳에서 초기의 교향악과 관악합주인 디베르티멘토를 작곡하였다. 그러다가 백작의 집안 재정상태가 핍박하여 악단이 해산되는 바람에 다시 실업자가 되어 빈으로 돌아왔고, 1760년 11월 가발업자의 딸 마리아 안나 켈라와 결혼하였다. 1761년 5월 1일 하이든은 헝가리의 귀족 에스테르하지후작 집안의 부악장(副樂長)에 취임하였다. 당시의 악장은 G.베르나였으나 그가 사망한 1766년부터는 하이든이 명실상부한 그곳 악장으로 승진하였다.

 

에스테르하지후작의 집에서는 하이든이 1790년까지 거의 30년에 가까운 세월을 충실한 악장으로 근무하였다. 그 동안에 많은 교향곡·현악4중주곡·오페라 등을 작곡하였는데 특히 교향곡과 현악4중주곡 등 실내악·클라비어소나타 등 기악곡에 있어서는 고전파의 규범이 되는 형식을 창조하고, 1781년에는 소나타형식의 전형으로 간주되는 6곡으로 된 《러시아4중주곡》을 완성하였다. 이것은 모차르트에게도 영향을 준 작품이다. 그리고 1780년대에는 파리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6곡의 《파리교향곡》을 비롯하여 《토스토교향곡》(2곡) 《도니교향곡》(3곡) 등 명작을 잇달아 작곡하였다. 1790년 9월 그가 오랜 세월을 모시던 니콜라우스 에스테르하지후작이 사망하자 그는 명예악장이라는 칭호를 받음과 함께 그 직을 물러나 빈에서 살았다.

 

이 무렵 독일의 바이올린 연주자로서 런던에서 오케스트라를 거느리고 성공을 거둔 J.D.잘로몬의 권유로 그는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리고 1791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런던에서 오케스트라시즌에 출연하였는데 그는 《잘로몬교향곡》(제1기, 6곡)을 작곡하여 크게 성공하고,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명예음악박사의 칭호를 받았다. 그런 성과에 크게 자극을 받은 하이든은 1794년에서 이듬해에 걸쳐 다시 영국을 방문, 《잘로몬교향곡》(제2기, 6곡)을 작곡하였다. 만년의 하이든은 다시 에스테르하지 집안의 악장으로 되돌아갔으며 뛰어난 미사곡 6곡을 작곡하고 또 두 개의 오라토리오의 대작 《천지창조》와 《사계》를 작곡하였다.

 

하이든은 젊은 모차르트와 친교가 있었는데 첫번째 영국 체류 중이던 1791년에 모차르트는 35세로 세상을 떠났다. 런던에서 독일로 돌아가던 1792년, 본에 들렀던 하이든은 거기서 처음으로 젊은 베토벤을 만났으며 그후 잠시 빈에서 그에게 음악을 가르쳤고 베토벤이 왕성한 작곡활동을 하게 될 무렵에는 은퇴하여 여생을 즐겼다. 그리고 나폴레옹의 제2회 빈 공략의 포성을 들으면서 77세의 나이로 생애를 마쳤다.

 

12. 보케리니 [Luigi Boccherini, 1743.2.19~1805.5.28]

 

이탈리아의 작곡가 ·첼로 연주자. 미뉴에트만으로 알려졌으나 교향곡, 첼로협주곡, 현 또는 현과 피아노를 위한 실내악 등을 통해 F.J.하이든을 잇는 세대의 고전파작곡가로 높이 평가된다.

 

이탈리아 토스카나주(州) 루카 출생. 콘트라베이스 주자인 아버지로부터 음악교육을 받은 후, 1757년 로마에 유학하였다.

 

그 후 첼로 주자로 독립, 바이올린 주자인 만프레디와 연주여행을 하여 파리 등지에서 호평을 받고 이어 에스파냐의 궁정악사가 되었으나, 1787년 이후는 베를린에서 궁정작곡가로서 프로이센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를 위한 작곡에만 전념하였다.

 

프로이센왕 사후 다시 마드리드로 돌아갔으나 에스파냐궁정의 냉대로 빈곤 속에 마드리드에서 죽었다. 전에는 미뉴에트만으로 알려졌으나 오늘날에는 교향곡, 첼로협주곡, 현(弦) 또는 현과 피아노를 위한 실내악 등의 작품을 통하여 F.J.하이든을 잇는 세대의 고전파작곡가로 높이 평가된다.

  

 

13. 모차르트 [Wolfgang Amadeo Mozart, 1756.1.27~1791.12.5]

 

요약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모차르트가 남긴 작품은 성악·기악의 모든 영역에 걸쳐 다채롭다. 그의 공적은 빈고전파의 양식을 확립한 데 있고 전고전파의 여러 양식을 흡수, 개성적인 예술을 이룩했다.

 

국적 오스트리아

출생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주요수상 황금박차(拍車)훈장

주요작품 《피가로의 결혼》(1786)이나 《돈 조반니》(1787) 《마적》(1791)

 

본문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재능을 보여 4세 때 건반 지도를 받고 5세 때 소곡(小曲)을 작곡하였다. 아버지는 그의 뛰어난 재능을 각지의 궁정에 알리기 위하여 아들이 6세 되던 해부터 여행을 계획하여 1762년 7월 바이에른 선거후의 궁정이 있는 뮌헨에 가서 연주하고, 이어 빈으로 가서 여황제 마리아 테레지아 앞에서 연주하는 등 많은 일화가 있다.

 

작곡가로서 그의 활동에 커다란 자극과 영향을 준 것은 서유럽을 거의 일주하다시피 한 여행(1763∼1766)이었다. 여행에서는 파리에서 알게 된 J.쇼베르트(1720?∼1767), 런던에서 알게 된 J.C.바흐(J.S.바흐의 막내아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 파리에서는 바이올린 소나타를, 런던에서는 최초의 교향곡(제1번 Eb장조) 등을 작곡했는데, 이 교향곡은 8세 때의 작품이었다.

 

두 번째로 빈을 다녀온 뒤, 1769~1773년에는 3번에 걸쳐 이탈리아를 여행하였는데 그동안 교황에게서 황금박차(拍車)훈장을 받고, 볼로냐의 아카데미아 필라르모니카의 입회시험(入會試驗)에 뛰어난 성적으로 합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볼로냐에서 마르티니로부터 음악이론·작곡을 배운 일과 이탈리아의 기악·성악에 직접 접한 일 등은 그후의 교향곡·오페라·교회음악 창작에 풍부한 자극이 되었다. 그는 이때 10대 소년으로 오페라의 작곡 의뢰를 받고 밀라노에서 작곡한 오페라를 상연(1770)하였는데, 제2회(1771)와 제3회(1772∼1773)의 이탈리아 여행은 그 곳에서 오페라를 작곡 상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후 1777년까지는 주로 잘츠부르크에 머물면서 미사곡과 사교적인 작품을 많이 작곡하였으나, 차차 그 직무에 불만을 갖기 시작하여 1777년 가을부터 1779년까지 어머니와 함께 다른 궁정에 취직하기 위하여 만하임·파리를 여행하였다. 목적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음악면에서는 만하임악파와 접촉하는 등 수확이 컸고 이때 《파리교향곡》(1778) 외에 많은 작품을 작곡하였다. 또한 만하임에서의 아로이지아 베버와의 사랑, 파리에서의 어머니의 죽음 등 인생의 경험도 많이 하였다.

 

여행에서 돌아온 후 궁정음악가로서의 활동을 계속하였으나, 1780년 말 뮌헨궁정으로부터 의뢰받은 오페라 《크레타의 왕 이도메네오》의 상연을 위하여 잘츠부르크를 떠난 것이 계기가 되어, 그 때까지 마음속에 품고 있었던 대주교 히에로니무스와의 불화가 표면화하여,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반대와 사표의 반려에도 불구하고 빈에서 살기로 결심, 그의 인생의 후반이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빈에서는 처음 작곡·연주(피아노)·교육활동을 하였으며, 오페라 《후궁(後宮)으로부터의 도주》(1782)와 《하프나교향곡》(1782), 피아노협주곡 등을 작곡하였고 1782년 8월에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아로이지아의 여동생 콘스탄체와 결혼하였다.

 

그가 빈에 머무는 동안에 작곡한 교향곡이나 현악4중주곡은 하이든의 것과 함께 고전파시대의 전형적인 스타일을 확립하는 작품이 되었다. 하이든과는 1785년경에 직접 알게 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이가 되었다. 빈시대의 후반에 접어들자 모차르트의 작품세계는 한층 무르익었으나, 그 반면 빈의 청중들의 기호로부터는 차차 멀어져, 생활은 어려워지고 친구들로부터 빌린 빚도 많아졌다.

 

1786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그러한 상황이 눈에 띄게 나타났는데 《피가로의 결혼》(1786)이나 《돈 조반니》(1787) 등의 오페라는 이 시기의 걸작들이다. 후자가 초연(初演)된 해 4월 베토벤이 찾아왔고 5월에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구르크의 뒤를 이어 궁정실내작곡가의 칭호를 받았으나, 이것은 이름뿐이고 경제적으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듬해에는 경제적 궁핍 속에서 이른바 3대교향곡 《제39번 E장조》 《제40번 G단조》 《제41번 C장조:주피터교향곡》을 작곡하였다. 그뒤에도 모차르트는 몇 차례 여행을 하였다. 1789년의 베를린 여행에서는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를 알현하여 작곡의뢰를 받았다.

 

이듬해 초에는 오페라 부파 《코시 판 투테》를 완성하고, 가을에는 레오폴트 2세의 대관식이 거행되는 프랑크푸르트로 가서 《대관식협주곡》 등을 포함한 연주회를 열었으나 빚은 늘어날 뿐이었고 1791년 8월 의뢰받은 오페라 《티투스제(帝)의 인자(仁慈)》의 상연을 위하여 프라하로 여행하였으나 이 때부터 건강이 나빠지기 시작하였다. 9월에는 징그슈필의 대작 《마적(魔笛)》을 완성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나, 《레퀴엠》을 미완성인 채 남겨 두고 12월 5일 빈에서 세상을 떠났다. 묘는 빈시의 성마르크스묘지에 있다.

 

36세도 채 되지 않은 짧은 생애였으나, 어려서부터 창작활동을 해 왔기 때문에 모차르트가 남긴 작품은 성악·기악의 모든 영역에 걸쳐 다채롭다. 그의 공적은 하이든과 함께 빈고전파의 양식을 확립한 데 있으며, 그를 앞섰던 이른바 전고전파(前古典派)의 여러 양식을 한몸에 흡수, 하이든과도 뚜렷이 구별되는 개성적인 예술을 이룩하였다.

 

 

14.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12.17~1827.3.26]

 

요약

하이든 ·모차르트와 함께 빈고전파를 대표하는 독일의 작곡가로 고전파의 형식이나 양식을 개성적으로 다듬었고 낭만파로의 이행단계에 있다. 작풍은 동적인 힘이 특징이고 강고한 형식감(形式感)으로 일관되어 곡마다 독자적으로 하나의 세계를 이룬다. 후기에는 다이내믹한 힘은 부족하지만, 보다 깊은 마음의 세계가 표현되어 있다.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본

주요작품 《영웅교향곡》(1804) 《피아노협주곡 제5번(황제)》(1809)

 

본문

본 출생. 할아버지 루트비히와 아버지 요한도 음악가였으며 악재(樂才)를 인정한 아버지는 아들의 천재적 소질을 과시하려고 4세 때부터 과중한 연습을 시켰으며, 7세 때에는 피아노 연주회까지 열었다.

 

베토벤은 몇몇 선생의 지도를 받았는데 1779년에 그를 가르친 크리스찬 고트로프 네페로부터는 음악뿐만 아니라 정신적 ·정서적인 영향까지 받았다. 1782년 궁정예배당 오르간 연주자로 출발, 2년 만에 정식 멤버로 임명되고 1787년에는 빈에 가서 흠모하던 모차르트를 만났으나, 어머니의 위독으로 곧 본으로 돌아와 이 해에 끝내 홀아비가 된 아버지를 대신하여 집안을 떠맡았다.

 

그러다가 1792년 바르트슈타인백작을 비롯한 친구들의 원조로 빈에 유학, 결국 그 곳이 그의 영주의 땅이 되었다. 빈에 자리 잡은 베토벤은 귀족들의 보호를 받았으며, 셴크 ·알브레히트베르거 ·하이든 ·살리에리 등에게 사사하여 음악가로서의 지식과 능력을 키워 나갔다.

 

1795년 피아노 연주자로서 데뷔하고 이 시기에 최고 작품으로 꼽히는 《피아노 3중주곡》을 발표하여 착실한 첫발을 내디뎠다. 1796년 프라하 ·드레스덴 ·베를린을 여행하고, 1800년에는 《제1교향곡》과 6곡의 현악4중주곡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무렵부터 귓병이 나서 점차 악화하였다. 절망한 그는 1802년 《하일리겐슈타트의 유서》를 쓰고 연주자로서의 활동을 포기, 작곡에만 전념했으며 두문불출로 외부와의 접촉을 피했다. 그런 생활 속에서 《제2교향곡》(1802), 오라토리오 《감람산상(橄欖山上)의 그리스도》(1803), 그리고 1804년에는 《제3교향곡(영웅교향곡)》을 작곡하여 하이든이나 모차르트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난 개성적인 스타일을 확립하였다.

 

1805년 오페라 《피델리오》의 초연에 실패하고, 이듬해 이를 손질하여 재연하였지만 역시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 작품이 최종적인 형태로 무대에서 인정을 받은 것은 1814년의 일이다. 베토벤의 작품은 빈을 비롯하여 유럽 각지의 출판사가 앞을 다투어 간행하였다. 출판에서의 보수와 귀족들의 지원으로 모차르트와는 달리 안정된 생활을 보낼 수 있었다.

 

후원자로서 특히 유명한 귀족은 루돌프대공(大公), 롭코비츠공작, 킨스키공작 등이었다. 1810년에는 괴테의 극시(劇詩)로 《에그몬트》를 작곡하였다. 그 후에 유명한 《영원한 연인》에 부치는 편지를 썼는데, 그것이 구체적으로 누구에 대한 것이었는지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러한 여성에의 동경에도 불구하고 그는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다.

 

《영웅교향곡》이 작곡된 이후의 약 10년간은 창작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였으며, 교향곡 ·서곡 ·협주곡 ·피아노소나타 ·바이올린소나타 ·기타 실내악의 대부분이 이 시기에 씌어진 것들이다. 특히 《제5교향곡(운명교향곡)》(1808) 《제6교향곡(전원교향곡)》(1808) 《피아노협주곡 제5번(황제)》(1809) 《바이올린협주곡》 (3곡, 1806), 피아노곡 《아파시오나토 소나타》(1805) 등이 유명하다.

 

1815년 이후의 12년간은 베토벤의 창작기 중에서 후기에 속한다. 이 무렵에는 정치와 사회 정세의 변화도 있었고, 친지(親知)도 적어졌으며, 또 귓병의 악화로 완전히 귀머거리가 되어 필담(筆談)을 통해서만 의사를 소통할 수 있었다.

 

그 자신의 연주회 횟수도 줄었고, 빈에서는 보다 가벼운 음악이 애호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의 일련의 창작활동은 1817년에 가장 저조했으나, 그 이후 다시 힘찬 작곡활동을 계속하여 뛰어난 대작들을 내놓았으며, 루돌프대공에게 바친 《장엄미사곡》(1823)과 합창을 포함한 《제9교향곡》(1824)이 그 정점을 이루었다.

 

장례는 29일에 거행되었는데, 2만을 넘는 시민들이 참가, 애도하였다고 한다. 베토벤은 하이든 ·모차르트와 더불어 빈고전파(古典派)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하이든과 모차르트가 확립한 고전파의 형식이나 양식은 베토벤에 의하여 더 개성적으로 다듬어졌으며, 또한 그의 손으로 낭만파에의 이행(移行)도 준비되었다.

 

본 시절에는 만하임악파의 영향 아래 습작적인 작품을 썼으나, 벌써 이때부터 개성적인 특징이 엿보였다. 1800년 전후에는 특히 하이든에게 받은 영향을 나타내면서도 개성적인 스타일의 작품들을 거쳐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하였다.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이를테면 정적(靜的)인 고전성(古典性)에 비하여 베토벤의 작품은 동적인 다이내믹한 힘을 특징으로 하는데 형식적으로는 강고한 형식감(形式感)으로 일관되어, 곡마다 독자적인 스타일로 하나의 세계를 이루고 있다.

 

후기의 창작활동은 중기에 비하여 다이내믹한 힘은 부족하지만, 보다 깊은 마음의 세계가 표현되어 신비스러울 정도의 감동적인 스타일을 보이고 있다. 이 시기는 낭만파의 초기의 대표자들인 베버나 슈베르트의 활동과도 겹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베토벤의 작품들은 그후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후대 사람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으며, 지금도 그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음악가이면서도 청각을 잃었지만, 이를 극복한 정신력은, 인간의 집념과 생활태도의 귀감으로서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고 있다.

 

베토벤의생애

 

요약

프랑스의 소설가 겸 극작가·평론가인 로맹 롤랑(Romain Rolland:1866~1944)의 전기물.

 

원어명 La Vie de Beethoven

저자 로맹 롤랑

장르 전기

발표 1903년

 

본문

1903년에 발표된 루트비히 베토벤(Ludwig Beethoven)의 전기(傳記)이다.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작가인 로맹 롤랑은 19세기말 물질주의와 이기주의적 사조로 침체된 유럽문화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작업으로 예술가들의 생애를 조명해내는 작품을 썼는데 , 이 작품을 비롯해 《미켈란젤로의 생애 La Vie de Michel-Ange》(1905)와 《톨스토이의 생애 La Vie de Tolstoi》(1911)가 대표적이다. 훗날 이들 전기는 《탁월한 사람들의 생애 Les Vies des Hommes illustres》라는 표제 아래 1권으로 정리되어 출판되었다.

 

롤랑은 책의 서언에서 '영웅이란 오랜 세월의 초인적 분투와 노력으로 고난을 극복하고 인류에게 용기와 위안을 불어넣어주는 사람으로, 그런 의미에서 베토벤이야말로 영웅 대열의 맨 앞에 세울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베토벤은 제9교향곡 《합창》을 작곡할 당시 귀가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였을 뿐만 아니라 물질적으로 궁핍하고 조카에게 배신당하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는 슬픔과 절망의 심연 속에서 좌절하지 않고 영원불멸의 음악을 만들어냄으로써, '인생이란 고뇌 속에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풍요하고 가장 행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 것이다.

 

연대기 위주의 영웅적 전기물과는 달리 인간 베토벤의 실제 용모와 성품 및 정신적 고뇌를 생생히 그려낸 작품으로 베토벤을 다룬 많은 전기물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은 명저로 평가된다.

 

 

15. 요한 네포무크 훔멜 (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

 

훔멜(Hummel)은 헝가리 태상으로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하이든이나 베토벤, 슈베르트와 동시대에 빈(Vienna)에서 활약했던 음악가이다. 훔멜의 작품은 고전에서 낭만주의로 전환되는 과도기의 음악을 반영하는 것이다. 훔멜의 오페라는 거의 잊혀져 있으나 그의 피아노 작품 등은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훔멜은 프레쓰부르크(Pressburg: 현 슬로바키아의 Brastilava)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요셉 훔멜은 오스트로-헝가리제국 군악학교 교장이었으며 비엔나의 쉬카네더(Schikaneder: 모차르트의 마적 대본 작성자)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였다. 어느날 요한 훔멜을 만난 모차르트는 어린 훔멜의 재능에 깊은 인상을 받고 자기가 데리고 피아노와 작곡공부를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그 때 모차르트는 30세였고 훔멜은 8세였다. 훔멜은 2년동안 무료로 모차르트의 집에서 기숙하며 지냈다. 아마 모차르트로부터 그런 대접을 받은 사람은 역사상 훔멜이 처음일 것이다. 피아니스트로서 훔멜의 첫 무대 연주는 9살 때 모차르트의 콘서트에 출연한 것이었다.

 

훔멜의 아버지는 어린 아들이 자랑스러워서 죽을 지경이었다. 훔멜의 아버지는 모차르트의 아버지가 어린 모차르트를 데리고 유럽 순회연주를 다녔던 것과 마찬가지로 어린 훔멜을 데리고 유럽 순회연주를 떠났다. 우선 도착한 런던에서 상당한 환영을 받았다. 런던에서는 작곡가 무치오 클레멘티(Muzio Clementi)가 훔멜에게 레슨을 하겠다고 자원했다. 훔멜은 런던에서 4년을 보냈다. 어느날 런던을 방문한 하이든이 훔멜의 재능을 보고 감동격하여 얼마후 훔멜을 위해 소나타를 작곡해 주었다. 피아노 소나타 A플랫이었다. 훔멜은 이 소나타를 하이든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런던의 하노버연주회장에서 당당하게 초연했다. 하이든은 어린 훔멜에게 자기의 곡을 연주해 주어서 고맙다고 말하고 1기니의 돈을 쥐어 주었다. 프랑스혁명과 그 후의 공포정치로 인하여 훔멜의 프랑스 및 스페인 순회연주는 취소될 수밖에 없었다. 비엔나에 돌아온 훔멜은 당대의 알브레헤트버거(Albrechtsberger), 하이든, 살리에리로부터 레슨을 받았다.

 

그때쯤하여 청년 베토벤이 비엔나에 왔다. 베토벤은 훔멜보다 8살 위였다. 베토벤도 알브레헤트버거와 하이든에게서 레슨을 받았다. 그로부터 훔멜과 베토벤은 동문으로서 친구가 되었다. 두 사람은 간혹 의견이 달라 격론을 벌이기도 했지만 평생 친구였다. 베토벤이 병마와 싸우며 생의 마지막을 기다리고 있는 시기에 훔멜은 자기 부인 엘리자베트, 제자인 페르디난트 힐러(Ferdinand Hiller)와 함께 과일을 사들고 베토벤을 자주 찾아가 병문안을 했다. 베토벤은 훔멜에게 자기가 죽은 후에 미발표된 작품을 연주해 달라고 부탁까지 했다. 훔멜은 베토벤의 희망에 따라 베토벤이 세상을 떠난 후 이 위대한 인물을 추모하는 기념음악회를 주선하였다. 이 음악회를 통하여 슈베르트와 훔멜은 좋은 친구가 되었다. 그러나 슈베르트도 베토벤이 서거한지 1년후에 세상을 떠났다. 훔멜을 존경한 슈베르트는 마지막 3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훔멜에게 헌정하였다. 그러나 이 소나타들이 출판될 당시에는 두 사람 모두 세상을 떠났으므로 출판업자는 이를 슈베르트가 로베르트 슈만에게 헌정하는 것으로 하여 초판을 출판했다. 슈만은 당시 활동하고 있었다. 그리고 당시로서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에게 작품을 헌정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1804년 훔멜은 하이든의 뒤를 이어 아이젠슈타트에 있는 에스터하지 궁전의 음악감독이 되었다. 하이든이 양로원에서도 환영하지 않을 정도로 연로하여 에스터하지 궁전에서의 직분을 감당할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훔멜은 7년동안 이곳에 머물렀으나 하이든처럼 성실하지는 못해서인지 아무튼 책임과 임무를 소홀히 한다는 이유로 파면되었다. 기왕에 잘 되었다고 생각한 훔멜은 러시아를 비롯한 유럽의 다른 나라들을 여행하였다. 그 때 소프라노로서 오페라에 자주 출연했던 엘리자베트 뢰켈(Elisabeth Röckel)을 만났고 만난 김에 결혼했다. 훔멜은 후에 슈투트가르트와 봐이마르의 음악감독에 임명되었다. 이곳에서 그는 괴테, 쉴러와 친밀하게 지냈다. 훔멜은 봐이마르에 머무는 동안 이 도시를 유럽 제1의 음악도시로 만들고자 했다. 훔멜은 정상급 음악인을 자주 초청하였다. 훔멜은 또한 봐이마르의 동료 음악가들을 위한 연금제도를 만들었다. 연금의 재원이 부족하면 특별 연주회를 열어 기금을 충당했다. 훔멜은 음악의 지적재산권과 저작권 옹호를 위해 처음으로 투쟁한 음악인이었다. 모차르트가 가난하게 살았던 것은 저작권이 보호받지 못해서라는 얘기가 있다. 훔멜이 더 일찍 사회에 등장해서 음악가 연금제도를 만들고 저작권 보호 운동을 했다면 모차르트의 생명도 연장되었을 것이고 베토벤의 청각장애도 고쳤을 것이다. 훔멜은 1828년 ‘피아노연주예술에 대한 이론 및 실제 완전정복’(A Complet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 of Instruction on the Art of Playing the Piano Forte)라는 책을 썼다. 책이 나오자마자 며칠만에 수천권이 팔리는 인기를 끌었다. 운지법과 장식적 연주에 대한 새로운 스타일을 설명한 책이었다. 19세기 후반의 피아니스트들은 거의 모두 훔멜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었다. 칼 체르니(Carl Czerny)는 원래 베토벤에게 피아노를 배웠으나 어느날 밤 훔멜의 연주를 보고 훔멜에게 배우기로 결심했다.

 

생의 말년에 이른 훔멜은 수많은 젊은 작곡가들의 등장을 보고 작곡에서 손을 떼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훔멜은 많은 존경을 받았다. 훔멜은 봐이마르에서 조용하게 세상을 떠났다. 모차르트와 마찬가지로 프리메이슨이었던 훔멜은 그의 저택에 붙어있는 넓은 땅을 프리메이슨을 위해 유산으로 남겼다. 많은 사람들이 훔멜의 죽음을 애도했고 사후에도 상당기간 그의 작품을 소개하는 연주회가 열렸으나 세월이 지날수록 훔멜이라는 이름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 고전을 낡은 패션으로 인식하기 때문이었다. 훔멜은 모차르트와 베토벤이라는 거목의 그늘에 가려져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서 위대한 훔멜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훔멜은 10편 이상의 오페라를 작곡했으나 몇편은 미완성이었으며 완성된 것도 어떤 것은 악보를 찾을 수 없어 어떤 오페라였는지 알 수 없다.

 

그는 근대적인 주법으로 피아노 음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그 연주는 아름다운 음형적인 장식으로 인하여 극히 아름답고 부드럽다. 그의 피아노 음악의 양식은 쇼팽, 슈만, 리스트 등에게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였다. 훔멜(Hummel)의 피아노 작품은 125곡을 상회하는데 7곡의 피아노 협주곡이 대표적이라고 한다. 또한 그의 피아노 독주곡 "론도 파보리 (Rondo favori in Eb, Op.11)"는 지금도 즐겨 연주되고 있는 명곡이다. 그의 작품중 비교적 잘 알려진 "트럼펫 협주곡 Fb장조" 외에도 "바순 협주곡"이 있으며 사랑받던 실내악으로 "피아노 5중주"도 있는데 실내악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춘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 Link / Johann Nepomuk Hummel (Composers)

Johann Nepomuk Hummel (Mozart Forum)

Johann Nepomuk Hummel (Michael Haydn - Contemporary composers)

 

훔멜 - 피아노 3중주 7번, Op.96

 

훔멜 - 트럼펫 협주곡 / Timofei Dokshitser

훔멜 - 트럼펫 협주곡 1악장-윈튼 마샬리스

훔멜 - 트럼펫 협주곡 2악장-윈튼 마샬리스

훔멜 - 트럼펫 협주곡 3악장-윈튼 마샬리스

훔멜 - 바순 협주곡 F장조

훔멜 - 만도린 협주곡 G장조 Op.28

 

 

16. 파가니니 [1782.10.27~1840.5.27]

 

이탈리아의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음량은 그다지 풍부하지 않았지만 음색은 매우 아름다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형식적인 면보다 즉흥적인 화려함에 특색이 있다. 자기의 연주법을 비밀에 붙이고 제자도 단 한 사람 시보리뿐이었으며, 유파(流派)를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주법은 현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전해지지 못하고 있다.

 

원어명 Niccolò Paganini

국적 이탈리아

출생지 이탈리아 제노바

주요작품 협주곡 2곡, 카프리치오 24곡

 

제노바 출생. 어려서 제노바의 오페라극장 지휘자 세르베토와 산로렌초성당의 악장 G.코스타 등에게 사사하고 9세 때 첫 바이올린 연주회를 개최하였다. 13세 때 다시 A.롤라에게 바이올린을, 기레티에게 작곡을 배우면서 그는 그 무렵부터 연주여행과 초인적인 기교를 발휘하기 위한 난곡(難曲)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1799년 루카에서 연주회를 열어 대성공을 거둔 후 북부 이탈리아 각지를 돌며 화려한 연주생활에 들어갔으나 1801∼1804년 어느 귀부인과의 동거생활로 연주활동에서 떠나 어렸을 때 배운 기타에 열중하였다가 1805년 연주활동을 재개, 루카에서 대성공을 거두고 그 곳 궁정오페라극장의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1813년에는 밀라노에서 한 시즌에 36회나 연주회를 열고, 1815년에는 베네치아로 옮겨 그 곳의 여가수 안토니아 비안키를 만나 두 사람 사이에 남자 아이가 태어났으나 그들은 2년 후에 헤어졌다.

 

이 무렵부터 건강이 나빠졌으나 그의 명예욕과 활동력은 건강과는 반비례적으로 불타올라, 1823년에는 빈을 방문하여 이른바 파가니니선풍을 일으켰다. 이 선풍은 다시 프라하 ·드레스덴 ·베를린을 휩쓸고 1831년에는 파리, 이어서 런던을 비롯한 영국 각지에까지 미쳤다. 이 여행에서 파가니니는 거만의 부(富)와 연주사상 공전의 명성을 얻은 후 1832년 제노바로 돌아왔다. 그러나 1833년 파리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한 후부터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어 마침내 인후암(咽喉癌)으로 죽었다. 그는 자기의 연주법을 비밀에 붙이고 제자도 단 한 사람 시보리뿐이었으며, 많은 명바이올린 연주자들처럼 유파(流派)를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주법은 현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전해지지 못하고 있다.

 

그의 음량은 그다지 풍부하지 않았지만 음색은 매우 아름다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리고 4옥타브에 걸치는 넓은 음역, 각종의 중음(重音), 플라지올레토, 스타카토, 스피카토, 살타토 등의 기교를 극도로 구사하여 화려한 곡예적인 연주법를 창조하였다. 그것은 당시 급격히 무르익어 가고 있던 낭만파음악의 일대 특징인 명인적(名人的)인 연주의 선구를 이루는 것으로, 그의 주법은 직접 후세에 전달되지는 못했으나 낭만파음악에 준 영향은 매우 크다. 작품은 바이올린곡뿐이며, 모두가 어려운 기교를 곁들인 것으로 형식적인 면보다 즉흥적인 화려함에 특색이 있다. 대표작에 협주곡 2곡(미출판분은 제외), 카프리치오 24곡이 있다.

 

 

17. 베버 (Karl Maria Friedrich Ernst von Weber 1786∼1826)

   

독일 작곡가. 오이틴(지금의 올덴부르크) 출생. 극장의 무대감독과 악장을 겸하고 있었던 프란츠 안톤과 그의 후처 사이에서 태어났다. 출생한 이듬해에 아버지가 순회극단을 조직하여 각지를 순회했기 때문에 정규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6세부터 무대에 서게 되어 일찍부터 극장일을 익혔던 것이 훗날 오페라작곡가·지휘자로 활동하게 되는 바탕이 되었다. W.A. 모차르트와 친척관계(아버지의 형이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의 아버지)였고 또 아들을 모차르트와 같은 신동으로 키우려는 아버지는 음악교육에 주력하였다. 1798년에 잘츠부르크에서 J.M. 하이든(F.J. 하이든의 동생)에게 사사하여 습작 《6개의 푸게타》가 작품1로 출판되었다. 이해에 최초의 오페라 《사랑과 술의 힘》을 시도하였고, 이어서 《숲속의 처녀(1800)》 《페터 시몰과 이웃들(1801)》을 작곡하여 상연되었다. 1803년 빈에서 작곡가 G.J. 포글러에게 사사하였고 이듬해에 포글러의 천거로 브레슬라우오페라극장의 악장으로 취임하였다. 그러나 젊은 악장의 정력적인 활동이 주위의 반감을 사게 되어 《뤼베찰(1805)》은 상연되지 못하였다. 1806년 카를스루에의 오이겐공(公)의 악장으로 있으면서 두 곡의 교향곡을 작곡하여 호평을 받았다. 1807년에 슈투트가르트의 루트비히공의 비서 겸 음악교사가 되었으나 공의 방탕한 생활에 휘말려 음악생활은 정체되었고 1810년에는 공금형령 혐의로 추방처분을 받았다. 이 불명예스러운 사건을 깊이 반성한 그는 만하임으로 옮기고 연주여행을 하며 《질바나(1810)》 《아부하산(1811)》을 상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1813년 프라하시립오페라극장의 지휘자가 되었으나 창작할 시간이 적어 사직하고 1817년 드레스덴궁정오페라극장의 악장으로 취임하였고 가수 카롤리네 브란트와 결혼하였다. 그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세력에 대항하여 독일어 오페라 상연에 힘쓰면서 오랫동안 구상해 왔던 《마탄(魔彈)의 사수》의 작곡에 몰두하여 1820년에 완성하고, 1821년 6월에 베를린에서 초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1823년 빈에서 초연한 《오이뤼안테》는 대본이 약하여 실패로 끝나고 이때부터 지병인 폐결핵이 악화되어 생활도 궁하게 되었다. 1825년 런던의 코벤트가든극장의 의뢰로 《오베론》 작곡에 착수하였고, 1826년 런던에서 초연을 지휘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나 과로로 병이 악화되어 6월 5일 런던에서 죽었다. 베버는 모든 분야에 걸쳐 작품을 남겼으나 본질적으로는 오페라음악가였다. 오페라를 중심으로 낭만주의를 추진하고 《마탄의 사수》로 독일국민오페라를 확립하였다. 다른 오페라는 현재 거의 상연되지 않으나 독창적인 관현악법을 구사한 서곡은 널리 애호되고 있다. 피아노곡과 협주곡 등 많은 기악곡 중에는 《무도에의 권유(1819)》,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트슈튀크(1821)》가 낭만적 표제음악의 선구로 주목받고 있다.

 

 

18. 로시니 [Gioacchino Rossini, 1792.2.29~1868.11.13]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38곡의 오페라를 비롯하여 칸타타·피아노곡·관현악곡·가곡·실내악곡·성악곡 등 여러 방면을 많이 작곡했다.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킨 이탈리아 고전오페라의 최후의 작곡가라 할 수 있다.

 

국적 이탈리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이탈리아 페자로

주요작품 《세비야의 이발사》《오셀로》《도둑까치》

 

본문

페자로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음악가였던 부모님한테서 기악을 배우고 뒤에 교회의 성가대에서 활동하였다. 1804년 전 가족이 볼로냐로 이사하자, 그곳에서 종교음악의 작곡에 뛰어난 안토니오 테제이 밑에서 정식으로 작곡공부를 하고 1806년 볼로냐음악학교에 입학하여 다시 첼로·피아노·작곡 등을 배웠다.

 

재학 중에 발표한 칸타타 《오르페오의 죽음에 대한 아르모니아의 통곡》으로 상을 받고, 1810년 베네치아에서 공연한 《결혼 어음》으로 그 재능을 인정받았다. 1813년에 상연한 《탕크레디》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자》가 모두 호평을 받고, 1816년 로마에서 공연한 《세비야의 이발사》가 절찬을 받아 이때부터 그는 일류의 작곡가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어 《오셀로》(1816, 나폴리) 《도둑까치》(1817, 밀라노) 등도 절찬을 받았다.

 

그리고 1822년에는 빈을 방문하여 로시니 선풍을 일으켰으며, 1823년에는 런던을 방문, 영국왕실로부터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1824년 파리로 건너가서는 이탈리아오페라극장의 감독을 맡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연금과 보수를 받고 작곡에 종사하였다. 그의 작품은 이밖에도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1815, 나폴리) 《신데렐라》(1817, 나폴리) 《이집트의 모세》(1818, 나폴리) 등과 파리에서의 작품 《오리백작》(1828) 《빌헬름 텔》(1829) 등이 있다.

 

1836년 볼로냐로 돌아와 음악학교 교장으로 여생을 보내다가 1848년 피렌체로 옮겨 잠시 지낸 후 1855년 다시 파리로 건너가 살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한편 만년에는 요리연구에 몰두하여 많은 저서를 내기도 하였다. 38곡의 오페라를 비롯하여 칸타타·피아노곡·관현악곡·가곡·실내악곡(현악4중주곡 등)·성악곡 등 여러 방면에서 많은 작곡을 한 그는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킨 이탈리아 고전오페라의 최후의 작곡가로 널리 알려졌다.

 

 

19. 도니체티[Domenico Gaetano Maria Donizetti](1797-1848)

 

1797. 11. 29 알프스 남부 치살핀 공화국 베르가모~1848. 4. 8 베르가모(죽을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하나인 롬바르디아 공국에 속함).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도니체티-〈사랑의 묘약〉 중

그가 작곡한 많은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 오페라는 로시니와 베르디를 연결하는 오페라의 발전에 다리를 놓았다. 작품들 중 특히 〈람메르무어의 루차 Lucia di Lammermoor〉(1835)·〈연대의 딸 La fille du régiment〉(1840)·〈라 파보리테 La favorite〉(1840) 등이 유명하다. 그의 오페라세리아(:비극적 혹은 기타 진지한 주제에 의한 이탈리아 정통 오페라)에는 독특한 극적 중량감과 감정적 내용이 잘 표현되고 있으며, 희가극에서도 특유의 재치와 명랑함이 돋보인다.

 

[초기생애]

시(市) 전당포 관리인의 세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나 바이에른의 신부 요한네스 지몬 마이어(베르가모의 주요한 성당인 산타마리아 마지오레의 음악감독이자 성공적인 오페라 작곡가)에게 음악을 처음 배웠다. 합창단원으로서는 그다지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지만 그의 잠재된 음악 재능을 높이 산 마이어 신부가 그를 볼로냐에 있는 리체오 필라르모니코 음악원에 입학시켰다. 이곳에서 푸가와 대위법을 철저히 공부했으며, 아버지의 소원대로 교회음악 작곡가가 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양의 종교음악을 작곡해보기도 했지만 천성은 오페라 등 극음악에 적합했다.

 

 

최초의 성공작은 〈보르고냐의 엔리코 Enrico di Borgogna〉로 1818년 베네치아의 테아트로 산 루카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이후 12년 동안 작곡한 31개가 넘는 오페라들은 대부분 나폴리에서 공연되었는데 현재 거의 공연되지 않는 상태이다. 1830년 〈안나 볼레나 Anna Bolena〉를 밀라노에서 공연함으로써 전 유럽 도시와 이후 대서양을 넘어 미국에까지 그의 명성을 떨치게 된 계기가 되었다. 2년 후 그는 당시 최대의 극작가 펠리체 로마니의 대본에 의한 매력적인 희가극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으로 또한번 대성공을 거두었다. 역시 로마니가 대본을 쓴 〈루크레차 보르자 Lucrezia Borgia〉(1833)가 또다시 성공하면서 밀라노의 라 스칼라 가극장 등 이탈리아 여러 곳에서 명성을 굳혔다. 오페라 작곡가 로시니와 벨리니가 그보다 먼저 파리로 간 것처럼 그 역시 이탈리아에서 성공한 후 파리로 갔다. 파리에서 공연한 〈마리노 팔리에로 Marino Faliero〉는 실패작은 아니었지만 몇 주 전에 발표된 벨리니의 〈청교도 I Puritani〉로 인해 그늘에 가린 감이 없지 않다. 이후 그는 뛰어난 비극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차〉(1835. 9. 26)를 작곡하기 위해 나폴리로 돌아갔다.

 

 

1828년 로마의 한 친한 친구의 누이 비르지니아 바셀리와 결혼했고, 나폴리에서 가정을 꾸몄다. 1837년 그녀가 아들을 사산하고 죽자 아내를 무척 사랑했던 그는 평생 동안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3명의 자식이 태어났으나 1명도 살아 남지 못했다는 사실에 더욱 고통스러워했다. 가족들의 사인은 매독이었는데, 이 병은 훗날 도니체티에게도 죽음을 가져다주었다.

 

[파리에서의 성공]

도니체티는 나폴리에서 계속 작품활동을 하다가 1838년 시 검열관들이 〈폴리우토 Poliuto〉의 공연을 금지하자(그리스도교 순교를 다룬 이 작품은 종교적 주제가 공연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금지되었음) 다시 파리로 갔다. 파리는 벨리니가 젊은 나이에 요절하고 로시니가 은퇴한 후였기 때문에, 도니체티에게 있어 좀더 활동하기 쉬운 무대가 되었다. 이곳에서 그는 몇 가지 성공작을 재공연했지만 빅토르 위고의 희곡에 바탕을 둔 오페라 〈루크레차 보르자〉는 위고의 반대로 공연되지 못했다. 〈폴리우토〉는 외젠 스크리브의 프랑스 대본으로 〈순교자 Les Martyrs〉라는 제목으로 공연되었고, 이보다 2개월 앞서 오페라 코미크〈연대의 딸〉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이 작품의 인기는 수년 동안 계속되었고, 예뉘 린드, 아델리나 파티, 마르첼라 젬브리히, 엠마 알바니 등 당시의 뛰어난 소프라노 가수들이 주역을 맡았다. 같은 해에 파리 오페라 극장은 도니체티의 첫 그랑 오페라 〈라 파보리테〉를 공연했다.

 

 

〈마리아 파디야 Maria Padilla〉는 도니체티의 동료이자 제자였던 바르톨로메오 메렐리가 라 스칼라 가극장과 빈의 케른트네르토르 극장의 감독으로 일하면서 후원한 작품이며, 1841년 베르디의 〈나부코 Nabucco〉가 초연되기 불과 몇 주 전에 공연되었다. 역시 메렐리가 빈의 케른트네르토르 극장에서 공연할 생각으로 후원한 〈샤모니의 린다 Linda di Chamounix〉는 1842년에 공연되었고,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황후에게 헌정되었다. 이미 오스트리아 총리 메테르니히의 소개로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관심을 끌고 있던 상태였고, 로시니의 〈슬픈 성모 Stabat Mater〉를 황제 앞에서 지휘한 적도 있었던 도니체티는 이제 오스트리아의 궁정 작곡가로 임명되기에 이르렀다. 이 자리에 있으면서 그는 1년 중 6개월을 빈에서 보내고 나머지 6개월은 자유롭게 작품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궁정작곡가로 임명되던 때와 거의 같은 시기에 그는 로시니로부터 볼로냐에 있는 리체오 필라모니코 음악원의 원장직을 의뢰받았으나, 그 일을 감당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해 자신이 좋아하는 오페라 창작작업을 계속하기로 마음먹었다. 로시니는 파리에서 언제나 도니체티의 인기를 북돋워주었고, 볼로냐에서 자신이 작곡한 〈슬픈 성모〉를 초연하도록 했다. 도니체티는 파리로 돌아와 테아트르 이탈리앵 극장에서 흥겹고 재치넘치는 희가극 〈돈 파스콸레 Don Pasquale〉를 공연했다.

 

[신체의 쇠약]

그러나 도니체티는 이미 치명적인 질병에 걸려 있었다. 1843년에 스크리브의 대본으로 만든 최후의 걸작 오페라인 〈동 세바스티앙 Dom Sébastien〉이 파리 오페라단에서 공연되던 당시에 이미 만성 두통과 이따금의 정신발작증으로 시달리던 상태였다. 그는 갑자기 늙어갔고 빼어난 용모와 마음의 평정도 잃었다. 〈동 세바스티앙〉은 신문에 의해 시시한 작품으로 평가되었지만 실제로 오페라 청중에겐 성공적인 호응을 얻었다.

   

나머지 생애 동안 그는 절망적인 정신착란의 늪으로 더욱 깊숙이 빠져들어갔다. 그는 파리 근처의 개인 정신병원에 환자로 입원해 있으면서, 프랑스 경찰과 의사들을 애먹였다. 결국 그의 조카 안드레아(맏형의 아들)가 그를 고향 베르가모로 데려왔고, 그곳에서 삶을 연명하다가 1848년 4월 8일 죽었다. 그는 의지력·언어능력·신체조절능력이 상실된 채 대개의 매독환자처럼 정신발작 후유증의 제물이 되었다. 벨리니와는 달리 다른 작곡가들의 성공을 시기하는 법이 없이 언제나 넓은 아량을 지녔던 명랑하고 잘생긴 그에게는 너무나도 잔인한 최후였다. 그는 프랑스의 작곡가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주르날 데 데바 Le Journal des Débats〉지에 자신의 음악에 대해 혹독한 평론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빈으로 떠난다고 하자 아주 기꺼이 총리 메테르니히 앞으로 소개장을 써줄 정도로 아량이 넓은 사람이었다.

   

도니체티는 언제나 평론가들보다는 청중에게 더 많은 사랑을 받았다. 평생 동안 그가 거둔 성공은 대단한 것이었고,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상을 받았다. 도니체티의 인기는 19세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지만, 1914년경부터 베르디와 리하르트 바그너의 걸작들의 빛에 가려져 그의 오페라는 연주 레퍼토리에서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1950년대에 와서 도니체티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다시 일게 되었고, 이후 〈람메르무어의 루차〉·〈사랑의 묘약〉·〈돈 파스콸레〉와 같은 몇몇 오페라는 오늘날까지도 사람들의 사랑을 널리 받고 있다.

   

 

20. 슈베르트 [1797.1.31~1828.11.19]

 

요약

오스트리아의 초기 독일낭만파의 대표적 작곡가로 '가곡의 왕'으로 불린다. 주로 빈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부문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고 가곡을 독립된 주요한 음악의 한 부문으로 끌어올렸으며 다양한 가곡형식으로 독일가곡에 큰 영향을 주었다. 주요작품에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 《겨울나그네》 등이 있다.

 

원어명 Franz Peter Schubert

별칭 가곡의 왕

국적 오스트리아

활동분야 음악

출생지 오스트리아 리히텐탈(빈)

주요작품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 《겨울나그네》 《죽음과 소녀》

 

본문

리히텐탈(빈)출생. 초기 독일낭만파의 대표적 작곡가의 한 사람으로 ‘가곡의 왕’으로 불리고 있다. 아버지는 빈 교외의 리히텐탈에서 초등학교를 경영하고, 어머니는 장인(匠人)의 딸이었다. 그의 음악적 천분은 일찍부터 두드러져 8세 때 교회의 합창지도자들로부터 가창·바이올린·피아노·오르간 등의 기초적인 지도를 받고 11세 때 아름다운 소년 소프라노 음성을 인정받아 빈 궁정예배당의 합창아동으로 채용되어 국립 기숙신학교(寄宿神學校)에 들어갔다. 여기서 궁정 오르간 주자 루치카, 궁정악장 A.살리에리에게 작곡법을 배워 작곡을 시작하였으며 16세 때 1년 과정의 교원양성학교에 다닌 후 아버지가 경영하는 학교의 저학년 수업을 담임하기도 하였다.

 

1814년 《실을 잣는 그레트헨:Gretchen am Spinnarde》(작품 2 ·D. 118)을 비롯하여 많은 가곡과 3곡의 현악4중주곡 등을 작곡하였다. 1815년에는 《들장미:Heidenrö slein》(작품 3-3·D. 257), 《마왕 Erlkö nig》(작품 1·D. 328)을 비롯한 약 145곡의 가곡과 2곡의 교향곡, 그리고 이 밖에도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그의 작품은 극히 일부 친구들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작품이 지니는 매력에 끌려 친구가 된 사람도 많았다. 1816년 초등학교 교사직에 압박감을 느낀 그는 빈자리가 생긴 라이바하의 교원양성학교에 음악교사로 취직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또 이 해에 친구 슈파운의 권고로 바이마르에 사는 괴테에게 이제까지 괴테의 시를 가사로 작곡한 가곡을 몇 작품 골라 보냈으나 괴테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악보는 반환되고 말았다.

 

슈베르트를 세상에 알리려고 애쓴 그의 친구들은 다시 제2의 가곡집을 모아 괴테에게 보내려고 계획하였으나 그것은 그의 악보가 출판된 후 5년이 지날 때까지 실현되지 못하였다. b장조(D. 485), 그리고 가곡 《마부 크로노스에게》(D. 369), 《자장가》(D. 498), 《방랑자:Der Wanderer》(D. 489) 등이 이 시기의 작품들이다. 1816년 말경부터 그는 교직을 떠나 친구 쇼버와 같이 살면서 작곡에 전념하였는데, 이듬해 쇼버의 동생이 외국에서 돌아와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 무렵 쇼버의 소개로 유명한 성악가 J.M.포글과 알게 되었는데 그는 슈베르트의 가곡을 세상에 인정케 한 최초의 가수이다.

 

1818년 여름 헝가리의 P.A.에스테르하지 백작집의 하계(夏季) 음악교사로 초빙된 것을 기회로 그는 집에서 나와 그 후로는 빈 시내의 친구들을 찾아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보헤미안생활을 보내면서 작곡을 계속하였다. 1824년 여름 다시 에스테르하지 백작집의 가정교사로 초빙을 받았는데, 슈베르트는 그 후로는 공직을 맡은 적이 없었으며, 아내도 가정도 없이 1828년 11월 19일 31세의 짧은 생애를 마쳤다. 그의 유해는 유언에 따라 전년에 작고한 벨링크묘지에 있는 베토벤의 무덤 가까이 묻혔으며, 88년 두 묘는 빈의 지멜링크 중앙묘지로 옮겨졌다.

 

슈베르트는 베토벤을 깊이 존경하였고, 또 평생의 대부분을 빈에서 보냈으며 그 곳에서 음악활동을 하였으므로 베토벤과 비교해 보면 슈베르트의 작풍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베토벤은 음악을 계시로 생각하고 스스로 선민(選民)으로 자처하였다. 이것은 당시 독일 유식계급의 눈에 비친 프랑스혁명이나 나폴레옹 초기 활동의 지도이념에 바탕을 둔 것이다.

 

그러나 슈베르트는 이와 같은 선민의식을 갖지 않았고, 스스로 즐기며 타인도 즐겁게 하려고 작곡을 하였다. 이 즐거움은 메테르니히의 보수정책에 의하여 언동에 제약을 받아 현실에서 눈을 돌려 예술에서 도피장소를 찾으려는 오스트리아의 유식계급과, 거기에 안주하려는 서민계급의 즐거움으로 다분히 감상성(感傷性)·안이성·비논리성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슈베르트음악의 특징의 하나인 비구축성(非構築性)이 유래된다. 그의 교향곡·실내악·피아노소나타 등이 형식적으로는 소나타이기는 하나 실제는 아름다운 선율의 연계로 되어 있음은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의 작품은 그 이전의 빈고전파의 작곡가들과 같이 오페라·실내악·피아노곡·교회음악·가곡 등, 협주곡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 걸쳐 있고 작품량은 그의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극히 많은 셈이다. 오토 에리히 도이츠의 연대순(年代順)으로 정리된 작품번호(D.로 약기)에 따르면, 작품수는 998개에 이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약 633곡의 가곡이며, 이전의 고전파시대에는 별로 주목되지 않았던 가곡이라는 예술부문이 슈베르트에 의하여 아름다운 선율과 색채에 넘치는 화성(和聲)에 힘입어 비로소 독립된 주요한 음악의 한 부문으로 취급된 점이다.

 

1814년의 가곡 《실을 잣는 그레트헨》이 새로운 가곡양식의 제1보가 되는데, 이것은 변주유절가곡(變奏有節歌曲)의 형식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의 가곡형식은 그 밖에도 다양하여 《들장미》와 같은 엄격한 유절가곡(有節歌曲), 자유스러운 보통가곡, 낭창(朗唱)양식을 갖는 것들이 있으며, 이 다양한 가곡형식은 그 후의 R.A.슈만, F.리스트로부터 R.슈트라우스에 이르는 독일가곡의 작곡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는 교향곡을 비롯한 기악곡분야에서도 풍부한 선율과 아름다운 화음에 의하여 고전적인 단정함과 낭만적인 서정성이 감도는 많은 작품을 창출(創出)하였다.

 

W.뮐러의 시에 곡을 붙인 가곡집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 Die schö ne Müllerin》(작품 25·D. 795·1823·전20곡), 《겨울나그네 Die Winterreise》(작품 89·D. 911·1827·전24곡), 교향곡으로는 《미완성교향곡》 B단조 제8번(D. 759·1823), 《교향곡 제9번》 C장조 (D. 944·1828:종래에는 제7, 또는 제10이라고도 하였음), 실내악으로는 현악4중주곡 D단조 《죽음과 소녀》(D. 810·1824), 피아노5중주곡 A장조 《송어 Die Forelle》(D. 667·1819), 피아노곡으로는 8곡의 《즉흥곡 Impromptus》, 6곡의 《악흥(樂興)의 때 Moments Musicaux》 등이 있다.

 

 

21. 벨리니[Vincenzo Bellini](1801-1835)

 

1801. 11. 3 시칠리아 카타니아~1835. 9. 23 프랑스 파리 근처 퓌토.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감각적 표현력이 강한 독자적인 양식의 성악 선율을 만드는 데에 천부적 재능을 지녔다. 그는 바그너의 초기 작품을 포함한 그 이후의 오페라 작곡가들뿐만 아니라 쇼팽과 리스트 같은 기악음악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음악가 가문에서 태어난 벨리니는 오르간 연주자인 아버지가 입학시킨 나폴리 음악원에 재학중 첫번째 오페라를 작곡했다. 그후 벨리니는 영향력있는 오페라 흥행주의 후원을 얻어 그의 의뢰로 나폴리 오페라를 위해 〈비안카와 페르난도 Bianca e Fernando〉를 작곡했다. 이 작품의 성공으로 다른 작품들을 의뢰받았는데 특히 밀라노에 있는 라 스칼라 극장을 위해 작곡한 〈해적 Il pirata〉(1827)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아울러 당대 최고의 이탈리아 희극 작가인 펠리체 로마니를 대본작가로 쓰는 행운도 안았는데 이후 여섯 작품을 로마니와 공동으로 만들었다.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을 개작한 〈카풀레티가와 몬테키 I Capuleti ed i Montecchi〉(1830)와 〈몽유병 여인 La sonnambula〉(1831)·〈노르마 Norma〉(1831)가 있다. '오페라 세미세리아'(심각한 내용이지만 행복하게 끝나는 오페라)에 속하는 〈몽유병 여인〉은 영국에서까지 큰 인기를 얻어 영어로 번역되어 공연되기도 했다. 고대의 갈리아 지방을 무대로 한 대표작 〈노르마〉는 초연이 실패했는데도 지속적인 성공을 누리고 있는 작품이다. 1833년 런던에 잠시 머물렀던 벨리니는 파리로 가서 로시니의 영향을 받아 테아트르 이탈리엔 극장에서 오페라를 의뢰받고 〈청교도 I puritani di Scozia〉(1835)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부적절한 대본이 약점이긴 하지만 그의 작품 중 가장 야심적이고 아름다운 오페라이다. 벨리니의 명성은 전적으로 당대 명가수들의 벨칸토 창법에 의존한 것이었다. 개혁가가 아니었던 그는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이상과 동일했고 명료성, 형식과 멜로디의 우아함, 가사와 음악의 밀착된 결합을 추구했으며 인내를 가지고 당시 오페라의 폐단을 고쳐나갔다. 관현악단의 반주보다 가수의 노래를 더 중시해 가수의 목소리를 극적 표현의 주된 수단으로 삼았으나, 그의 화성은 동시대인이었던 도니체티에 비한다면 매우 획기적이었으며 서주와 간주에서 관현악의 처리는 형식적인 겉치레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그러나 벨리니를 영원히 기억하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아름다운 성악 선율의 독자적인 매력과 우아함에 있다.

 

 

22. 베를리오즈 [Louis-Hector Berlioz, 1803.12.11~1869.3.8]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프랑스의 유일한 교향곡 작곡가였고 '표제음악'이라는 새로운 극적인 관현악곡 스타일을 창시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그의 새로운 '관현악법'은 이후의 많은 작곡가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국적 프랑스

활동분야 음악

출생지 프랑스 라코트생앙드레

주요저서 《근대의 악기법과 관현악법》(1844), 《회상록》

주요작품 《테 데움》《환상교향곡》(1830), 《이탈리아의 해럴드》(1834), 《레퀴엠 Requiem》(1837), 《벤베누토첼리니》(1838)

 

본문

남프랑스의 라코트생앙드레 출생. 17세 때까지 가정에서 일반교육을 받고, 그 후 파리에서 글루크의 오페라에 매혹되어 작곡가가 되고자, 르쉬외르에게 사사하였다. 1826년 파리음악원에 입학, 작곡법과 푸가를 공부하고 1830년 로마상 콩쿠르의 대상으로 로마에 유학하였다. 그사이 파리를 방문한 영국 셰익스피어극단의 여배우 해리엇 스미스슨을 짝사랑하여 《환상교향곡 Symphonie fantastique》(1830)을 작곡하게 되었다.

 

그리고 위고, 리스트, 쇼팽, 힐러, 넬바르, 뒤마(父) 등과 교유하는 한편, 1834년부터는 자작의 연주회와 작곡 등으로 정력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품에는 독주 비올라에 이탈리아의 추억을 상기시킨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럴드 Harold en Italie》(1834), 《레퀴엠 Requiem》(1837), 오페라 《벤베누토첼리니 Benvenuto Cellini》(1838), 그리고 독창과 합창이 곁든 극적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 Roméo et Juliette》(1839) 등이 있다.

 

그러나 1838년 《벤베누토첼리니》의 상연 실패로 후반생에 어두운 그림자를 남기게 되었다. 파리에서 자작의 활동무대를 잃은 그는, 1842년부터 국외로 나가 연주여행을 하게 되었다. 곧 1842∼1843년에는 독일 각지에서 연주를 하면서, 서곡 《로마의 사육제 Le Carnaval romain》(1843)를 작곡하였으며, 《근대의 악기법과 관현악법》(1844)이라는 저서를 출판하였다.

 

그러다가 1845∼1846년의 프라하·부다페스트에서의 연주여행이 성공하자, 이에 힘입어 귀국 후 《파우스트의 겁벌(劫罰) La Damnation de Faust》(1846)을 완성, 초연하였으나 이 역시 성공하지 못하였다. 1847년 러시아와 영국에서 장기 체류할 예정으로 건너갔으나 이듬해 일어난 프랑스혁명(2월혁명)이 걱정되어 귀국하였으며 그의 《회상록》은 이 무렵 영국에서 착수되었다.

 

1850년에는 '필하모닉협회'를 결성하여 혁명 후의 파리에서 적극적인 연주활동을 추진하였지만, 이 역시 이듬해에 좌절되어 다시 국외 연주여행을 떠났다. 1854년 3부작 오라토리오 《그리스도의 어린 시절 L'Enfance du Christ》이 비로소 파리에서 성공을 거두고, 이듬해 1849년에는 완성 이후 연주장소를 얻지 못하였던 대작 《테 데움 Te Deum》이 만국박람회 개막을 축하하여 연주되었으며, 1856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회원으로 선출됨으로써 마침내 그는 생활의 안정을 얻었다.

 

만년에는 2부작 오페라 《트로이 사람 Les Troyens》의 작곡에 열중하였으나, 이 작품을 상연할 기회는 좀처럼 얻을 수 없었으며, 1863년 제2부 《카르타고의 트로이 사람 Les Troyens a Carthage》만이 상연되었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희극 《베아트리스와 베네딕트 Béatrice et Bénédict》(1862)가 있다. 다년간에 걸친 연주여행은 1867∼1868년의 러시아 연주회를 끝으로 종지부를 찍고, 지병의 악화로 1869년 3월 8일 파리에서 고뇌에 찬 일생을 마쳤다.

 

베를리오즈가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프랑스에서 유일한 교향곡 작곡가이었으며 '표제음악'이라는 새로운 극적인 관현악곡 스타일을 창시한 데 있다. 그리고 이 음악과 더불어 그의 새로운 '관현악법'은 이후의 많은 작곡가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문장에도 뛰어나 바그너와 더불어 명문가로 명성이 높으며, 자서전 《회상록》은 음악가가 쓴 전기문학 분야에서 걸작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23. 슈트라우스 [Johann Baptist Strauss, 1804.3.14~1849.9.25]

 

요약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며 바이올린 연주자로 '왈츠의 아버지'라 불린다. 자작의 무도곡을 주요 레퍼토리로 유럽 각지에서 연주, 이른바 빈왈츠를 전 유럽에 알렸으며 빈의 궁정무도회 지휘자를 맡았다.

 

출생지 오스트리아 빈

 

본문

빈 출생. '왈츠의 아버지'로 불리며, '왈츠의 왕' 요한 슈트라우스는 그의 아들이다.

 

맥주홀과 여관을 경영하는 집안에 태어나 제본사에서 일하면서 바이올린을 익혔다.

 

1823년 J.F.라너의 4중주악단에 들어가 주로 비올라로 왈츠·카드리유 등의 무도곡을 연주하였는데, 이 악단은 1824년 현악오케스트라로 발족하여 슈트라우스는 그 제2오케스트라의 지휘자가 되었다. 그리고 1825년에는 자신의 악단을 조직하여 자작의 무도곡을 주요 레퍼토리로 유럽 각지에서 연주, 이른바 빈왈츠를 전 유럽에 널리 전파하였으며, 1845년에는 빈의 궁정무도회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작품은 왈츠, 카드리유 등의 무도곡이 대부분이며, 그 중에서도 왈츠에서는 서주(序奏)에 이어 5부의 왈츠를 계속하고 코다(coda:結尾)로 끝을 맺는, 리듬에 미묘한 뉘앙스를 지닌 빈왈츠의 형식을 확립하였다.

 

  

24. 글린카 [Mikhail Ivanovich Glinka, 1804.6.1~1857.2.15]

 

요약

러시아의 작곡가. 오페라 《이반 수사닌》등을 작곡해 러시아의 첫 작곡가, 러시아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데, 이는 19세기 러시아 음악의 양식을 결정하는 데 그 영향력이 가장 컸기 때문이며, 차이코프스키나 러시아 국민악파의 음악도 이 기반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별칭 러시아음악의 아버지

국적 러시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러시아 스몰렌스크주

주요작품 《이반 수사닌》(1836) 《루슬란과 류드밀라》(1842)

 

본문

1804년 스몰렌스크주에서 출생하였다. 대지주의 아들로 페테르부르크에서 F.필드에게 피아노를 배웠으나, 음악가가 될 마음이 없어 처음에는 교통성의 관리가 되었다. 그러나 26세 때 건강문제로 이탈리아와 독일로 여행을 떠나, 이 여행 중 베를린에 머문 것이 그의 생애를 결정지었다. 그는 베를린에서 화성과 작곡을 S.W.덴에게 배우고, 본격적인 작곡활동을 개시하였다. 페테르부르크에 돌아와서는 푸슈킨, 주코프스키 등 문학서클의 사람들과 사귀었으며, 그들의 자극으로 오페라 《이반 수사닌》(1836)을 썼는데, 이것이 러시아음악의 시작이 되었다. 그 후 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1842)를 비롯한 여러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다.

 

1844년에 다시 외국여행을 하였으며, 죽을 때까지 유럽 각지를 순방하였다. 그러는 동안 베를리오즈와 친교를 맺고, 에스파냐에서는 작곡을 위한 소재를 수집하기도 하였다. 그는 러시아의 첫 작곡가, 러시아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데, 이는 19세기 러시아 음악의 양식을 결정하는 데 어떠한 작곡가보다도 그 영향력이 컸기 때문이며, 차이코프스키나 러시아 국민악파의 음악도 이 기반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외의 작품으로 《호타 아라고네사에 의한 화려한 카프리치오소》(1845) 《카마린 스카야》(1848) 등의 관현악곡이 유명하다.

 

 

25.  멘델스존 [Jac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2.3~1847.11.4]

 

요약

독일의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지휘자가 되어 고금의 명곡과 신작을 소개하는 데 진력, 유럽 제1급의 악단으로 키웠다. 고전주의 낭만파 음악의 대작곡가라는 명성과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함부르크주

주요작품 《한여름밤의 꿈》(서곡 1824, 기타 부분 1842) 《이탈리아교향곡》(1833) 《바이올린협주곡》(1844)

 

함부르크주 출생. 아버지는 유대계 은행가, 조부는 유명한 계몽주의 철학자 M.멘델스존이다. 교양 있는 어머니와 일생 동안 두터운 애정으로 지낸 누이 파니 등에 둘러싸여 어린 시절을 보냈다. 1811년 가족과 함께 베를린으로 이사, 일찍부터 음악교육을 받아 여러 악기를 다루게 되었고 그림 ·어학에도 재능을 발휘하였다. 괴테와 절친한 보수적 음악가 F.첼터의 지도도 받았다. 9세 때 피아니스트로 데뷔하고, 10세 때 작곡을 시작, 17세 때 관현악곡 《한 여름밤의 꿈》의 서곡을 쓰는 등 매우 조숙한 천재였다. 18세 무렵 베를린대학 청강생으로 헤겔의 미학 강의도 듣고 또 멘델스존가(家) 음악회에 모이는 베를린의 지식인들과도 교제하게 되었다.

 

1829년 베를린의 징 아카데미에서 J.S.바흐가 죽은 후 처음으로 그의 《마태오 수난곡》을 재연하였는데, 이것은 바흐 르네상스의 개막을 위한 19세기의 기념비적 연주로 높이 평가된다. 그 후 영국과 유럽 각지를 연주여행하였으며, 스코틀랜드에서의 경험이 명작 《핑갈의 동굴》(1830) 《이탈리아교향곡》(1833) 《스코틀랜드교향곡》(1842) 등을 낳게 한 계기가 되었다. 이 여행 중에 쇼팽, 리스트, 로시니, 베를리오즈 등 여러 작곡가들과 알게 되고 많은 악상(樂想)도 얻었다.

 

1833년 남(南)라인음악제를 지휘하고 뒤셀도르프시의 악단장, 1835년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지휘자가 되어 고금의 명곡과 신작을 소개하는 데 진력, 유럽 제1급의 악단으로 키웠다. 1841년 프로이센왕(王)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명으로 베를린의 음악활동 향상을 위해 힘쓰고, 1843년 슈만과 함께 라이프치히음악학교를 설립하였다. 그의 일생은 짧았으나, 고전주의 낭만파 음악의 대작곡가라는 명성과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주요작품으로 관현악곡 《이탈리아교향곡》(1833) 《스코틀랜드교향곡》(1842), 서곡 《핑갈의 동굴》(1830), 협주곡 《바이올린협주곡》(1844) 《카프리초 브릴란드》, 피아노곡집 《무언가(無言歌)》(48곡, 1829~1845) 《엄숙한 변주곡》(1841), 오르간곡 소나타 6곡, 전주곡과 푸카 3곡, 오라토리오 《성파울로》(1836) 《찬미의 노래》(1840) 《에리야》(1846) 등, 극음악(劇音樂) 《한 여름밤의 꿈》(서곡 1824, 기타 부분 1842) 《안티고네》(1840) 외에 합창곡 ·독창곡 등이 있다.

 

 

26. 쇼팽 [1810.3.1~1849.10.17]

 

요약

폴란드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자유롭고 시대를 앞서나가는 독자적인 양식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특히, 약 200곡에 이르는 피아노곡으로 유명하다. 페달의 사용과 약박(弱拍)을 약간 인접한 강박(强拍)에 접근시키는 연주법으로 후세의 피아노 연주법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원어명 Frédéric Fran??ois(Fryderyk Franciszek) Chopin

국적 폴란드

출생지 폴란드 바르샤바

주요작품 《빗방울전주곡》(1839) 《영웅폴로네즈》(1842)

 

본문

1810년 3월 1일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그가 세례를 받은 날은 2월 22일로 기록되어 있어 실제 출생일은 7일이 앞선다. 아버지는 바르샤바 육군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친 프랑스인 니콜라스 쇼팽이고 어머니는 폴란드의 명문 귀족 출신인 유스티나 크지노프스카이다. 어려서부터 집에서 피아노를 배우고, 1816년 정식으로 보이치에흐 지브니에게 피아노를 사사 받았는데, 1818년 공개 연주회에서 기로베츠의 협주곡을 연주할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스승 지브니는 쇼팽에게 더이상 가르칠게 없다면서 스스로 그만두었다.

 

1822년부터는 바르샤바음악원 창설자인 J.엘스너에게 화성법과 대위법을 배우고, 중학 재학 중에 러시아 황제 앞에서 피아노를 연주, 칭송을 들었다. 또 시골에서 여름방학을 보내며 폴란드의 민속음악을 접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1926년 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아노소나타와 변주곡 등을 작곡하고, 또 이 무렵 J.N.후멜과 사귀게 됨으로써 창작하는 데 있어서 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830년 11월 쇼팽은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여행 중이있는데, 이때 폴란드에서는 혁명이 일어났다. 그후 그는 후멜, 탈베르크, K.체르니 같은 피아니스트와 교류를 가졌고, 1931년 9월 빈을 떠나 슈투트가르트에 도착하여, 러시아군에 의해 폴란드혁명이 진압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혁명에 큰 기대를 걸었던 쇼팽의 실망은 컸다. 사실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이 혁명 실패의 소식을 듣고 작곡한 것이 오늘날 《혁명 에튀드(작품 10의 12)》로 불리는 작품이다.

 

1831년 9월 중순 파리로 나온 쇼팽은 당시 유명한 피아니스트인 C.칼크브레너에게 피아노를 가르침을 받기로 하였으나, 그의 개성이 상실될 것을 염려한 친구 F.리스트와 F.힐러의 만류로 이를 포기하고 말았다. 1832년 그는 파리에서의 최초의 연주회를 개최하여 호평을 받고, 그뒤 폴란드 귀족의 소개로 파리 사교계에 발을 들여놓았으며, 또 이 무렵부터 창작활동도 활발하였다.

 

1836년 드레스덴에서 바르샤바 시절의 여자친구인 M.보진스카를 다시 만났고, 이듬해에는 약혼으로까지 진전되었으나, 이때 쇼팽은 이미 폐결핵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주위의 반대도 많아 결국 파혼하게 되었다. 이무렵 마리 다구 백자부인이 주최한 파티에 참석하여 한 여자를 만나게 되는데 그녀가 바로 여류문학가인 조르주 상드였다. 남성의 기능을 상실한 쇼팽보다 6세나 연상인 그녀는 쇼팽의 지병에 신경을 쓰며 모성애적 애정으로 그를 돌보아줌으로써 이 두 사람의 관계는 약 10년이나 계속되었다. 그러다가 1846년 가정불화와 쇼팽의 건강악화가 원인이 되어 두사람은 헤어지게 된다.

 

그후 쇼팽의 건강상태는 악화일로를 거듭하였지만,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1848년 영국으로 건너가 연주회와 개인적 모임 등에서 피아노를 계속 연주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후 그의 건강상태는 더욱 악화되어, 개인교수 이외의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이듬해 가을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장례식은 2주 후인 10월 30일에 거행되었는데, 그가 바르샤바를 떠날 때 선물로 받은 폴란드의 흙이 그의 유해 위에 뿌려졌다.

 

쇼팽의 작품에는 가곡과 첼로소나타, 피아노삼중주곡 등도 있으나, 중요한 것은 약 200곡에 이르는 피아노곡이다. 그리고 협주곡 2곡, 소나타 3곡 이외에 전주곡·연습곡·발라드·야상곡·즉흥곡·왈츠·폴로네즈·마주르카 등의 낭만파적인 소품이 압도적으로 많은 점이 특징이다. 작품에는 후멜과 J.필드의 영향이 다소 엿보이기는 하지만, 그의 양식은 거의 독립하여 형성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 개성적이다.

 

작품의 특징은 부드러운 선율에 의한 호모포니[單旋律]한 구성에 있으며, 선율의 움직임에 자유스러움을 주기 위하여, 반주 쪽을 화음적 패턴으로 함으로써 움직임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보인다. 리듬이나 프레이징에서도 당시로서는 상당히 자유로운 구조를 쓰고 있으며, 또 화음에서도 불협화음의 사용과 반음계적 취향을 구사함으로써 시대를 앞서가고 있다.

 

한편 마주르카 같은 민속음악의 형식을 쓴 것에서는 폴란드 민속음악에서 볼 수 있는 드로운 바스와 교회선법(敎會旋法)이 사용되고 있다. 피아노 연주에서는 쇼팽은 페달의 사용에 의해 음색의 종류를 늘렸으며, 또 약박(弱拍)을 악보에 기보(記譜)된 형보다도 약간 인접한 강박(强拍)에 접근시키는 연주법(tempo rubato:奏法)을 사용하여, 후세의 피아노 연주법에 큰 영향을 끼쳤다.

 

 

27. 슈만 [1810.6.8~1856.7.29]

 

요약

독일의 작곡가. 잡지 《음악신보》를 발행하여 작곡과 함께 평론활동을 하였으며 쇼팽과 브람스 등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낭만주의와 슈베르트의 영향을 받았고 피아노독주곡과 가곡 작곡에 특히 뛰어났으며 《피아노협주곡》, 《사육제》 등의 작품을 남겼다.

 

원어명 Robert Alexander Schumann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작센 츠비카우

주요저서 《음악평론집》(1854)

주요작품 《피아노협주곡》(1845), 《사육제》(1835)

 

작센의 츠비카우 출생. 아버지는 저술도 하는 서적상이었고 어머니는 신앙심과 음악적 감성이 깊은 사람으로 슈만은 아버지의 문학적 취미와 어머니의 섬세한 감수성을 이어받았다. 11세 때부터 작곡을 시작하였으나 16세 때 아버지가 죽자 그는 어머니의 뜻에 따라 음악가가 되려는 희망을 버리고 1828년 법률을 공부하기 위해 라이프치히대학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라이프치히에서 당시의 명교사 F.비크를 알게 되어 그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또한 슈베르트의 영향이 많이 풍기는 가곡과 피아노곡 등의 작곡도 시작하였다. 1829년 하이델베르크대학의 티보 교수에게 이끌려 잠시 그곳으로 옮겼으나 이듬해 다시 라이프치히로 돌아온 그는 다시 비크에게 피아노를, 극장 지휘자인 도른에게 음악이론을 배우고, 독학으로 작곡 연구도 하였다.

 

또 1831년경부터는 참신한 필치로 음악평론도 쓰기 시작하여 쇼팽 등의 새로운 음악가를 소개하였다. 1832년 오른손 넷째 손가락을 다치자 피아니스트가 될 꿈을 단념하고, 이때부터 작곡과 평론만을 지향하여 《나비》(작품 2, 1832) 《파가니니의 카프리치오에 의한 연습곡》(작품 3, 1832) 등의 피아노곡을 작곡하였으며, 34년에는 《사육제 Carnaval》(작품 9, 1835)와 《교향연습곡》(작품 13, 1834) 등을 내놓았다. 또 J.크노르, L.슝케, 비크 등과 함께 잡지 《음악신보 Neue Zeitschrift für Musik》를 발행하여 낭만주의의 새바람을 불어넣었다.

 

그들의 음악적 주장은 주로 이 잡지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1844년 드레스덴으로 떠날 때까지 많은 평론을 실었다. 1836년 어머니를 잃고, 스승 비크의 딸 클라라에 대한 친밀감은 더욱 강렬해져 연애에까지 발전했다. 그러나 이 사랑은 클라라 아버지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쳐 슈만은 이를 법정에 제소하여 1840년에 결국 결혼에 성공하였다. 그때까지 거의 피아노곡만 써 왔던 그는 이 해에 갑자기 가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여 그의 생애를 통하여 작곡한 가곡의 반수를 이 1년 동안에 내놓았다. 하이네의 시에 의한 《가곡집》(작품 24)과 《미르테의 꽃》(작품 25), 아이헨도르프의 시에 의한 《가곡집 Liederkreis》(작품 39), 이 밖에 《여자의 사랑과 생애 Frauenliebe und leben》(작품 42) 《시인의 사랑 Dichter Liebe》(작품 48)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교향곡에 전념하여 제1번과 제4번의 2곡의 교향곡을 작곡하고, 다시 1842년에는 실내악으로 전향하여 3곡의 현악4중주곡 ·피아노4중주곡(작품 47), 피아노5중주곡(작품 44) 등의 고전적 폴리포니(polyphony:다성음악)와 낭만적인 서정이 곁든 중요한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1843년 L.F.멘델스존의 초청을 받아 신설 음악원의 교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4개월에 걸친 아내의 러시아 연주여행에 동행하여 정신과 육체적 건강의 악화로 전지 요양을 권유받았다. 1844년 라이프치히를 떠나 드레스덴에서 ‘리더 타펠’의 지휘자가 되었으며, 1850년에는 힐러의 후임으로 뒤셀도르프의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의 지휘자가 되었다. 여기에서 《라인교향곡》으로 알려진 제3교향곡, 첼로협주곡 ·바이올린협주곡 등이 쓰여졌다. 평론으로는 마지막 것이 되지만, 1853년에 젊은 브람스를 소개한 《젊은 길》이 슈만의 명성을 남긴 논문이다. 그의 정신장애의 징후는 이미 1833년경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1844년경부터는 창작력이 왕성한 시기와 우울증에 빠진 시기가 서로 교차되어 나타났으며, 1854년 2월 심한 망상에 사로잡혀 라인강에 투신했으나 다행히 구조되어 그 후부터 본 교외의 엔데니히정신병원에 수용되고, 1856년 여름 2년간의 투병 끝에 46세로 세상을 떠났다.

 

슈만의 작품은 고전파 작곡가처럼 모든 분야에 걸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질적으로 가장 뛰어나고 작품수가 많은 것은 피아노독주곡과 가곡이다. 이 가운데 3곡의 피아노소나타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시적 서정성이 담긴 낭만주의 향기가 풍기는 표제적(標題的)인 음악이다. 특히 가곡은 슈베르트가 개척한 리트형식을 계승하고 거기에다 시와 음악을 밀착시켜 보다 예술성이 높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주요작품 중 오페라에는 《Genovena》(1848), 교향곡으로는 《제1, 봄의 교향곡 Frühlingssymphonie》(1841) 《제3, 라인교향곡 Rheinishe Symphonie》(1850), 피아노곡으로는 《피아노협주곡》(1845) 《사육제》(1835) 《환상소곡집 Fantasiestücke》(1837) 《교향적 연습곡 Etudes symphonique》(1834, 개작 1852) 《어린이의 정경 Kinderszenen》(1838), 관현악이 딸린 대합창곡으로 《Paradies und die Peri》(1843), 가곡으로는 《유랑의 무리 Zigeunerleben》(1840) 《Myrthen》(1840) 등이 있으며, 주요저서로는 《음악평론집 Gesammelte Schriften über Musik und Musiker》(4권, 1854)과 서한집 《R.Schumanns Jugendbriefe》(1885) 등이 있다.

 

 

28. 리스트 [Franz von Liszt, 1811.10.22~1886.7.31]

 

요약

헝가리의 피아노 연주자 ·작곡가. 피아노 연주상의 명기주의의 완성과 표제음악의 확립이라는 음악사상 매우 중요한 공적을 남겼다. 작품은 편곡까지 포함해 방대한 수에 이르며 악종도 다양한데, 그 중심은 피아노곡과 교향시다.

 

국적 헝가리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헝가리 라이딩

주요작품 《헝가리광시곡》《순례의 해》

 

본문

라이딩 출생. 에스텔하지 후작의 토지관리인의 아들로 태어나 6세 때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1820년 프레스부르크에서 독주회를 가져 천재의 출현이라는 평을 받았다. 1823년 빈으로 가서 K.체르니에게 사사하면서 A.살리에리에게서 작곡을 배우고, 다시 파리로 가서 파에르와 라이하로부터 화성(和聲)을 배웠다. 다음해 파리에서 데뷔한 후 프랑스 각지로 연주여행을 하였고, 런던에서도 출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1827년 여행길에서 부친을 여의고 수년 동안은 고난의 시기였으나, 그 동안에 체험한 7월혁명(1830), 여제자 카롤린과의 사랑, 페티스, 쇼팽, 베를리오즈, 파가니니 등과의 교제는 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주었다. 특히 파가니니와의 접촉으로 그의 연주는 종래 체르니의 스타일로부터 명기주의(名技主義)의 스타일로 전환하였다. 그 후 교향시 창조의 기반이 되는 문학적 교양을 쌓고, 6세 연상인 다구 백작부인도 이 무렵에 알게 되었다. 1835년 리스트와 부인은 제네바로 가서 동거생활에 들어가, 두 사람 사이에서 브랑딘, 코지마, 다니엘 등 세 아이가 태어났는데, 코지마는 후에 바그너의 부인이 되었다.

 

그는 1838년 빈에서부터 시작하여 유럽 일대를 무대로 한 연주여행을 하였으며, 이것은 그가 바이마르에 정주(定住)한 1847년까지 계속되었다. 1847년 유럽 전역에 걸친 연주여행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리스트는 바이마르에 정주하였고, 그것은 동시에 여행 중에 알게 된 비트겐슈타인 후작부인과의 새로운 생활의 시작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바이마르에서는 지휘자 ·작곡가 ·교육가 ·사회활동가로 폭넓게 활동하였으며, 지휘에서는 슈만 ·베를리오즈 ·바그너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창작면에서도 《3개의 연주회용 대연습곡》 《초절기교연습곡(超絶技巧練習曲)》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과 소나타 ·협주곡 등의 피아노곡, 《파우스트교향곡》 《단테교향곡》 《전주곡》 《타소》 《마제파》 《오르페우스》 《이상(理想)》 등의 교향시와 대표작을 연달아 내놓았다.

 

1861년 후작부인과의 결혼식 때문에 로마로 갔으나 부인 친척의 이의(異議)로 실패, 그 후 부인은 종교생활에 들어가고, 리스트도 수도원에 들어가서 평생 동안 흑의(黑衣)를 두르게 되었다. 이 때부터 그의 작품에는 종교성이 강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869년 로마에서 바이마르로 돌아와서는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리스트는 피아노 연주상의 명기주의의 완성과 표제음악의 확립이라는 음악사상 매우 중요한 공적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편곡까지 포함하여 방대한 수에 이르며 악종도 다양한데, 그 중심이 되는 것은 《헝가리광시곡》과 《순례의 해》를 포함한 피아노곡과 교향시이다.

 

   

29. 바그너 [Wilhelm Richard Wagner, 1813.5.22~1883.2.13]

 

요약

독일의 작곡가. 오페라 외에도 거대한 규모의 악극을 여러 편 남겼는데 모든 대본을 손수 썼고 많은 음악론과 예술론을 집필했다. 예술론의 사상이 전 작품에 걸쳐 구현된 것은 아니지만 작품의 양식적 특색은 이 사상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겨난 것이다.

 

국적 독일

활동분야 작곡

출생지 독일 라이프치히

주요저서 《독일음악론》(1840) 《독일예술과 독일정치》(1868)

주요작품 《혼례》 《파르지팔》 《트리스탄과 이졸데》

 

본문

1813년 5월 22일 라이프치히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드레스덴으로 이사하여 9세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고, 18세 때 라이프치히대학교에 들어가 음악과 철학을 공부하였다. 1832년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첫 오페라 《혼례 Hochzeit》를 프라하에서, 1834년에는 제2작인 《요정 Die Feen》을, 1836년에는 제3작인 《연애금제(戀愛禁制) Das Liebesverbot》를 뷔르츠부르크에서 완성하였다. 1836년 여배우 미나 플라너와 결혼하였으나 불행하게 끝났고, 1839년 《리엔치 Rienzi》를 작곡하던 중 러시아령(領)의 리가에서 파리로 갔으나 생활은 불우하였다. 그러다가 1842년 《리엔치》가 드레스덴오페라극장에서 상연된 것을 계기로 드레스덴으로 이사하여 궁정 오페라극장의 지휘자가 되었다. 그로부터 《방황하는 네덜란드 사람 Der Fliegende Holländer》을 직접 지휘하여 초연했고(1843), 다음 작품 《탄호이저 Tannhäuser》는 1845년에 상연되었다. 또, 당시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으로 여겨지던 베토벤의 《제9교향곡》을 지휘하여 그 진가를 일반에게 알렸다.

 

1849년 드레스덴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바그너도 이에 참여하였다는 혐의로 체포령이 내렸다. 이를 미리 알고 피신하여, 리스트의 집에서 잠시 신세를 지다가 스위스의 취리히로 갔다. 여기에 머무는 동안 그를 돌봐준 베젠동크부인과의 이루어질 수 없었던 사랑을 《베젠동크가곡집》과 악극(樂劇) 《트리스탄과 이졸데 Tristan und Isolde》에 담아 승화시켰다. 한편, 1850년에는 바이마르궁정극장에서 리스트의 지휘로 《로엔그린 Lohengrin》이 상연되고, 1861년에는 《탄호이저》의 파리 초연을 위해 《바카날》을 작곡하였는데, 이 곡은 오페라극장에서 3회나 상연되었다. 또 같은 해에 《트리스탄과 이졸데》 상연을 위해서 빈에 가기도 했으나 상연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1864년 봄, 추방이 해제되면서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2세의 초청으로 뮌헨에 정착하고 작곡에 몰두하였으나 그를 백안시하는 자가 많아 이듬해 1865년 스위스의 루체른 교외의 트리프셴으로 이사하였다. 그 해에 뮌헨에서 H.뷜로의 지휘로 《트리스탄과 이졸데》가 상연되어 그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또 1868년에도 역시 뷜로의 지휘로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젱거 Die Meistersinger von Nürnberg》가 초연되었으며, 1870년에는 리스트의 딸이자 뷜로의 부인이었던 코지마와 재혼하였다(전처 미나는 1866년에 사망하였다). 이때 그에게는 이미 코지마와의 사이에 3명의 자녀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1869년에 출생한 지크프리트는 훗날 아버지의 음악 지휘자 겸 작곡가가 되었다.

 

1870년 바그너는 아들의 생일을 축하하여 《지크프리트의 목가 Siegfried Idyll》를 작곡하였다. 바그너는 자기 악극을 상연할 극장 건립을 추진하여, 마침내 1876년 바이에른의 소도시 바이로이트에 극장을 완성시켰다. 이 극장 개관기념으로 대규모의 악극 《니벨룽겐의 가락지 Der Ring des Nibelungen》 전곡을 상연하였는데, 전 유럽의 명사들이 몰려와서 일대 성황을 이루었다. 그리고 1882년에는 《파르지팔 Parsifal》이 상연되었다. 이것이 상연된 후 요양차 물의 도시 베네치아로 갔으나, 1883년 2월 13일 벤다르민궁(宮)에서 70년의 생애를 마쳤다. 바그너는 거대한 규모의 악극을 여러 편 남겼는데, 이 모든 악극의 대본을 손수 쓴 것은 아마도 그의 악극의 이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또 많은 음악론도 집필했으며, 이에 따르면 그가 생각하고 있던 '전체예술(종합예술)'이란 대략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① 예술이란 일부 계층의 오락도구가 아니라 사회 각계 각층을 망라한 국민 전체의 예술적 표현이어야 한다. ② 가장 근원적이며 순수한 국민적 시작(詩作)의 소재는, 모름지기 한 시대의 성격에 사로잡히지 말고 본질적인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신화(神話)이어야 한다. ③ 예술이란 근원적이며 인간적인 것, 또한 인간 전체의 표현이어야 한다. 단순히 개개의 예술(이를테면, 조형예술·시·음악 등)이 고립된 채로는 전체 인간을 표현할 수 없다. 이들 예술이 모두 하나로 뭉쳐져 작품이 만들어져야 한다. ④ 개개의 예술은 근원적으로는 공통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 멜로디는 말에서 생겨난 것이다. 시는 뜻깊은 선율을 낳기 위해서는 두운(頭韻)을 써야 한다. 관현악은 그리스비극에 있어서의 합창과 같은 몫을 하며, 이야기의 일반 인간적(一般人間的)인 것을 표현하여, 과거를 회상케 하며 또한 미래를 예감하도록 한다. ⑤ 일반적인 사상면에서는 쇼펜하우어의 의사부정적(意思否定的)인 염세철학과 그리스도교, 그리고 불교에서 영향을 받아 인간존재의 비극적인 모순을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독일 낭만파의 한 사람으로서 그는 ‘구제의 이데아’를 그 작품의 중심에 두었다. ⑥ 음악은 여성이며 시는 남성이다. 양자의 결합으로 비로소 예술은 성립된다. 음악은 시의 의도를 존중하여 시에 봉사하여야 하고, 음악 스스로가 규정적(規定的)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그의 예술론은 주로 《로엔그린》 이후 《트리스탄과 이졸데》가 창작되기까지의 창작활동 중지기간에 씌어졌다. 이 예술론의 사상이 반드시 그의 전 작품에 걸쳐 구현된 것은 아니지만, 작품 중의 다음과 같은 양식적 특색은 이 사상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겨난 것이다. ① 극의 전개와 심화에 관현악을 참가시키기 위하여 도입동기(導入動機)를 유효적절하게 썼다. ② 무한선율(無限旋律)이라고 그 스스로가 명명한 양식에 의하여 음의 흐름을 중단시키지 않고 극의 진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③ 화성의 표현능력을 확대시켰다. 특히 대담한 반음계적 사용으로 음의 조성은 붕괴 직전까지 이르렀다. ④ 관현악 구성은 대규모화하여 표현의 폭의 넓이와 섬세함에는 종전의 낭만파음악에서는 볼 수 없었던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그는 음악가로서는 보기 드문 명문가로서 음악작품의 대본 이외에도 많은 예술론을 저술하여 《독일음악론 Über Deutsches Musikwesen》(1840) 《예술과 혁명 Die Kunst und die Revolution》(1849) 《미래의 예술작품 Das Kunstwerk der Zukunft》(1850) 《오페라의 사명에 대하여 Über die Bestinnung der Oper》(1871) 《오페라와 희곡 Oper und Drama》(1851) 《독일예술과 독일정치 Deutsche Kunst und Deutsche Politik》(1868) 등의 저서를 남겼다.

 

 

30. 베르디 [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10.10~1901.1.27]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그의 오페라는 19세기 전반까지의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 위에서 극과 음악의 통일적 표현에 유의하면서도 독창의 가창성을 존중하고 중창의 충실화와 관현악을 연극에 참여시키는 문제 등에서 남보다 한 걸음 앞서 있었다.

 

국적 이탈리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이탈리아 북부 파르마현 레론콜레

주요작품 《리골레토》(1851), 《라 트라비아타》(1853), 《아이다》(1871)

 

본문

이탈리아 북부 파르마현(縣)의 레론콜레에서 태어났다. 처음 마을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한테서 초보교육을 받고, 후에 부세트와 밀라노에서 본격적으로 음악공부를 하였다.

 

1836년 부세트시절의 보호자 바레치의 딸 마르게리타와 결혼하고, 학업을 마친 후 잠시 부세트의 악우협회(樂友協會) 악장 노릇을 하다가 1839년 밀라노에 나와, 스칼라극장의 지배인 메렐리의 후원으로 오페라 《산 보니파치오의 백작(伯爵) 오베르토》를 상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그후 곧 두 아이와 아내를 잃고 또 희가극 《왕국의 하루》(1840)의 상연마저 실패하여 극도로 우울한 나날을 보냈는데 이때 메렐리와 가수 주세피나 스트레포니(나중에 그와 결혼) 등의 격려로 용기를 얻어 다시 활발한 작곡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때 쓴 것이 오페라 《나부코》이다. 이 작품은 1842년에 상연되었는데, 그 내용이 애국적이어서 당시 오스트리아의 압제하에 있던 이탈리아인들에게 크게 어필하였다. 그후에도 《십자군의 롬바르디아인》(1843), 《에르나니》(1844), 《아틸라》(1846), 《레냐노의 전쟁》(1849) 등 애국심이 넘치는 많은 작품을 썼다.

 

이 밖에도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 따 온 《맥베스》(1847), 실러의 《간계(好計)와 사랑》을 각색한 《루이자 밀러》(1849) 등으로 새로운 극적 경지를 개척해 나갔다. 그후 베르디는 밀라노를 비롯하여 베네치아·로마·파리·카이로 등지에서 잇달아 오페라 초연을 가졌다.

 

《리골레토》(1851), 《일 트로바토레 Il trovatore》(1853), 《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1853), 《시칠리아섬의 저녁 기도》(1855), 《시몬 보카네그라》(1857), 《가면무도회》(1859), 《운명의 힘》(1862), 《돈 카를로스》(1867), 《아이다》(1871), 《오셀로》(1887), 《팔스타프》(1893) 등은 모두가 19세기 이탈리아오페라의 걸작으로서 높이 평가되며 오늘날까지 상연되고 있다.

 

베르디의 오페라는 19세기 전반까지의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 위에 서서, 극과 음악의 통일적 표현에 유의하고 있으면서도, 독창의 가창성을 존중하고 또 중창의 충실화와 관현악을 연극에 참여시키는 문제 등에서 남보다 한 걸음 앞서 있었다. 베르디의 오페라가 주로 남자 주인공을 중심으로 전개된 것은 그의 오페라의 힘차고 당당한 극적 성격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비극적인 작품을 많이 썼던 말년에 《폴스타프》와 같은 희가극을 써낸 정력적인 창작력에 대해서는 우리는 그저 경탄할 따름이다. 오페라 이외의 작품으로는 《레퀴엠》, 현악사중주곡 등이 널리 알려졌다.

 

 

31. 구노 [1818.6.17~1893.10.18]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프랑스음악에서 독일과 이탈리아의 양식을 배제하려고 노력한 전통을 계승했으나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했다고는 할 수 없다. 작품의 특징은 아름다운 선율에 있지만 지나치게 화사하거나 감상적이지 않으며, 알맞게 절제되고 조화도 잘 되어 있다.

 

원어명 Charles-Fran??ois Gounod

국적 프랑스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프랑스 파리

주요수상 로마대상(1839)

주요작품 《파우스트 Faust》(1859) 《아베 마리아》

 

본문

프랑스 파리 출생이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에게 음악을 배웠으며, 1836년 파리음악원에 들어가 작곡 등을 공부하였다. 1839년에는 로마대상을 받아 이탈리아에 유학했다.

 

그후 독일을 거쳐 프랑스에 돌아온 후부터 극장음악에 흥미를 갖고 공부하였으며, 몇 차례 실패작을 쓴 후 《벼락치기 의사》(1858)와 대표작 《파우스트 Faust》(1859)의 성공으로 오페라 작곡가로서 유명해졌다. 그후 《로미오와 줄리엣》(1867) 등의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오페라는 일반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종교음악 분야에서 활약하였으며, 직접 합창단을 만들어 자작과 고전적 종교작품의 소개에 힘썼다.

 

그는 프랑스음악에서 독일과 이탈리아의 양식을 배제하려고 노력한 메율, 브와엘디외 등의 전통을 계승하였으나 스스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했다고는 할 수 없다. 작품의 특징은 아름다운 선율에 있지만, 같은 시대의 마이어베어처럼 지나치게 화사하거나 감상적인 것이 아니며, 알맞게 절제되고 조화도 잘 되어 있다. 작품은 오페라 이외에 오라토리오·칸타타 등의 종교작품과 《아베 마리아》 《세레나데》 등 가곡이 많은데, 특히 후자는 후일의 프랑스가곡 발전을 위한 기초가 되었다

 

 

32. 오펜바흐[Jacques Offenbach](1819-1880)

 

본명은 Jacob Offenbach.

1819. 6. 20 쾰른~1880. 10. 5 파리.

 

독일 태생 프랑스의 작곡가.

 

오펜바흐-오페레타 〈천국과 지옥〉 서곡

'오페레타'라는 경쾌하고 풍자적인 프랑스 희가극의 한 유형을 만들어냈는데 그 양식은 당시의 가장 독특한 예술적 산물 중 하나였다.

  

쾰른 예배당 칸토르인 아버지 이자크 유다 에베르스트의 아들로 오펜바흐암마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더 오펜바허'로 알려졌으며 그는 다만 '오펜바흐'로만 알려졌다. 유대교를 묵인하는 정책에 이끌린 그의 아버지는 젊었을 때 아들을 파리로 데려와서 1833년 파리 음악원 첼로과에 입학시켰다. 1844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스페인 카를로스주의자의 딸인 에르미니에 달카인과 결혼했다. 1849년 오페라 코미크 극장의 관현악단에서 첼로를 연주한 후 테아트르 프랑수아 극장의 지휘자가 되었다. 1855년 자신의 극장인 부프 파리지앵을 열어 1866년까지 감독으로 있었는데 그곳에서 〈지옥의 오르페우스 Orphée aux enfers〉를 비롯해서 대부분 유명한 자신의 오페레타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그는 또 독일의 엠스에서 오페레타를 제작했으며 빈에서 오페라발레 〈라인 강의 물의 요정 Rheinnixen〉을 제작했다. 1864년 파리로 돌아와 바리에테에서 그의 성공작인 오페레타 〈아름다운 엘렌 La Belle Hélène〉(1864)을 제작했으며 그밖에 〈파리의 생활 La Vie Parisienne〉(1866)·〈젤로스탱 대공비 La Grande-Duchesse de Gérolstein〉(1867)·〈페리콜 La Périchole〉(1868) 등이 계속 성공했다. 1872~76년 테아트르 드 라 가이테에서 감독으로 있으면서 1874년 〈지옥의 오르페우스〉의 개정판을 공연했다. 그당시 오페라 페리크(요정에 대한 오페라)라고 묘사한 이 공연은 재정적으로 실패였다. 1876년 미국 순회공연을 했으며 남은 생애를 작곡에 전념하며 보냈다.

 

 

그의 유일한 대작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 Les Contes d'Hoffmann〉는 미완성으로 남아 있었는데 〈라인 강의 물의 요정〉에서 유명한 뱃노래를 발췌해 소개한 에른스트 기로에 의해 관현악으로 편곡되고 낭독부분이 첨가되었다. 오페라 판타스티크(환상 오페라)라고 묘사된 이 작품은 1881년 2월 10일 오페라고 코미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그의 음악의 모음극인 〈즐거운 파리 사람 Gaîté Parisienne〉(마뉘엘 로젠탈 편곡)은 발레 음악과 함께 대중적인 관현악 작품으로 남아 있다. 그는 유창하고 우아한 양식의 서법과 인물의 성격화와 풍자(신화적인 소재를 다루는 데 부적절한 부분에서 두드러짐)에 대한 감각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로시니는 그를 '샹제리제의 작은 모차르트'라고 불렀는데 사실 그는 모차르트만큼이나 다작의 작곡가였다. 100곡이 넘는 무대음악을 작곡했으며 그중 대다수가 시대를 초월하여 20세기까지 연주 레퍼토리에 남아 있다.

 

 

33. 주페[Franz von Suppe](1819-1895)

  

Suppé는 Suppè라고도 씀. 본명은 Francesco Ezechiele Ermenegildo Cavaliere Suppé Demelli.

1819. 4. 18 오스트리아 제국 달마치야 스팔라토(지금의 크로아티아 스플리트)~1895. 5. 21 오스트리아 빈.

 

오스트리아의 경가극 작곡가.

 

주페-오페라 〈경기병〉 서곡

20세기 중반까지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경음악에 영향을 끼쳤다. 빈 극장과 요제프슈타트를 비롯한 빈의 다른 극장에서 지휘했다. 빈에서 〈경기병 Leichte Kavallerie〉(1866)·〈파티니차 Fatinitza〉(1876)·〈보카치오 Boccaccio〉(1879) 등의 희가극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그밖에도 합창곡, 교향곡 1곡, 현악4중주곡 등을 작곡했다.

 

 

 34. 프랑크[Cesar Auguste Franck](1822-1890)

 

1822. 12. 10 네덜란드 리에주~1890. 11. 8 프랑스 파리.

 

벨기에 태생 프랑스의 오르간 연주자, 작곡가.

 

교향곡 D단조,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교향적 변주곡 Variations symphoniques〉 같은 낭만적 대작으로 유명하다. 발롱 지방 출신인 아버지와 독일 혈통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8세에 놀라운 재능을 보여 리에주 음악원에 입학했다. 피아노의 연주 솜씨가 뛰어나 그의 아버지는 1834년 프랑크를 데리고 엑스와 브뤼셀 등 여러 도시로 연주 여행을 떠났으며 1년 뒤 파리로 보내 파리 음악원 교수로 있던 보헤미아의 작곡가 안톤 라이하에게 배우게 했다. 1836년에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요제프를 비롯한 가족이 파리로 이사했으며 1837년 파리 음악원에 들어갔다. 1년이 못 되어서 그는 독보력(악보 읽는 능력)시험에서 명예대상(Grand Prix d'Honneur)을 받았으며, 1840년에는 푸가 부문에서 1위, 1841년에는 오르간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로마 유학이 상으로 주어지는 로마 대상의 준비를 해야 했으나 아버지는 바이올린 연주자인 그의 동생과 프랑크에게 대가로서의 경력을 만들어 주기로 결심하고 연주회를 열었다. 그리하여 음악원을 도중에 그만두어야 했다.

 

아버지를 만족시키고 돈을 벌기 위하여 연주회를 열었는데 연주회의 레퍼토리는 주로 그당시에 유행했던 오페라 접속곡과 직접 작곡한 대중적 환상곡이었다. 1840년 이후 관심이 오르간 쪽으로 기울자 작품은 진지해졌으며 그때 작곡한 3개의 트리오(삼중주곡)는 헝가리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에게 감동을 주었다. 1846년 1월 4일 파리 음악원 무대에서 처음 연주되었던 칸타타 〈루트 Ruth〉는 그의 야심작이었다. 내키지 않는 연주회 공연, 수많은 언론의 악평, 수입을 위해 강행해야 하는 교습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었다. 자신의 재능을 착취하는 이기적인 아버지에게 대항할 수 있게 된 다음에 비로소 정신적으로 성숙하고 마음의 평정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프랑크는 본명이 펠리시테 사일로트인 여배우 데스무소와 사랑에 빠졌다. 그러나 그녀의 부모가 극장에서 일한다는 이유로 아버지가 결혼을 반대하자 프랑크는 1848년 결혼을 앞두고 잠시 집을 떠나 있어야 했다. 결혼하고 나서 그의 생활 방식은 그뒤 42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다. 오르간 연주자와 교사로서 생계를 유지했는데 생활은 소박하다 못해 금욕적이기까지 했다. 여름과 겨울에는 새벽 5시 30분에 일어나 2시간 뒤부터 하루 종일 계속되는 교습을 시작했다. 작곡은 주로 이른 아침 시간과 여름휴가 동안에 했다.

   

1851년 생장생프랑수아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 임명되었으며, 1858년에 성가대 지휘자로 일하고 있던 생트클로틸드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가 되었다. 생트클로틸드의 오르간실에서는 다른 오르간과 합창곡의 역작과 더불어 그를 유명하게 한 즉흥연주가 시작되었다. 이 즉흥음악은 연주하는 날의 기분에 따라 달라지는데 공식적인 직분을 맡기 전에 작곡된 음악으로 날렵하면서도 부드러우며, 달콤하고 서정적이다. 그러나 프랑크와 그의 친구인 샤를 구노가 교회의 직분을 맡게 되면서 그들의 교회음악은 어려워지고 엄격해지게 되었다. 1872년에 파리 음악원의 오르간 교수로 임명됨으로써 작곡가로서의 중요한 경력이 시작되었는데 이것은 그의 예상과 관심밖의 일이어서 무척 놀라워했다. 대인관계에서 솔직하고 직선적이었기 때문에 학생들 사이에서 호감과 반감을 동시에 얻었다. 그에 대한 적대감은 그가 오르간 수업시간을 작곡 수업시간으로 만들어버리고, 보수적인 그의 작곡 기법에 반감을 품은 학생들이 늘어나자 더해졌다.

  

1860년대 후반에 이미 프랑크에게서 개인교습을 받았던 앙리 뒤파르크와 알렉시스 드 카스티용이 그의 제자들 중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1871년 2월 25일 국립음악협회가 설립되어 진지함, 정서적 안정, 기술적 기초가 마련될 준비가 갖추어지고 난 후 비로소 그는 저술과 학생들과의 대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72년 프랑크의 제자가 된 프랑스의 작곡가 뱅상 댕디의 열정적인 선전은 피아노 연주와 작곡의 대가가 되는 데 실패해서 의기소침해 있는 프랑크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큰 힘이 되었다. 1880년대 초반 에른스트 쇼송, 피에르 드 브레빌, 샤를 보르드, 기 로파르츠를 포함한 프랑크파(派)가 형성되었다. 그뒤 뱅상 댕디가 〈세자르 프랑크 전기〉(1906)에서 보인 열렬한 찬사는 한때 프랑크가 '제자들이 만들어낸 인물'이라는 의혹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880년부터 1990년 그가 죽기까지 작곡한 음악을 보면 위의 말이 사실이 아님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화려한 연주와 기교적 성향의 작곡의 대가였던 그는 초기에도 뛰어난 음악적 감각을 보여주었는데, 그러한 예가 나타나고 있는 작품으로 피아노를 위한 〈Prélude, aria et final〉(1887 완성, 마지막 악장)과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교향적 변주곡〉(1885)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프랑크의 음악적 쇠퇴기의 몇 작품은 페렌츠 리스트, 리하르트 바그너, 더욱 멀게는 베토벤의 예를 들면서 피상성과 강렬한 정서의 배양에 대하여 지나칠 만큼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1890년 프랑크는 길가에서 마차채에 옆구리를 찔려 늑막염에 걸려서 죽었다. 19세기의 마지막 25년 동안 프랑스 음악의 새로운 진지함은 프랑크와 그의 제자들에게서 유래한다. 프랑크의 천사같이 부드러운 마음씨와 고결함, 세상사에 대한 순박함은 작품의 경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반면 활기 없다는 평도 있어서 자신의 음악적 특성과 상반되는 경향을 가진 작품 창작요구에 직면했을 때 그의 특성이 결점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예가 되는 작품은 1870년대에 작곡되어서 사후에 연주되었던 오라토리오 〈Les Béatitudes〉와 교향시 〈저주받은 사냥꾼 Le Chasseur maudit〉(1882)·〈귀신 Les Djinns〉(1884)이 있다. 한편 1886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소나타와 〈교향적 변주곡〉은 그가 기호와 정서의 다양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고수했던 철저한 장인정신과 따뜻하고 고귀한 음악성의 완벽한 기념물로 남아 있다.

 

  

35. 스메타나 [1824.3.2~1884.5.12]

 

요약

체코슬로바키아의 작곡가. 민족운동의 선두에 서서 국민극장의 전신인 가극장(假劇場)의 지휘자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교향시에는 리스트 등 신독일파의 수법을 도입하여 민족적인 음악을 창조하였으며 《국민의용군행진곡》, 《자유의 노래》 등의 작품을 남겼다.

 

원어명 Bedřich Smetana

국적 체코

출생지 체코 보헤미아 리토미실

주요작품 《국민의용군행진곡》,《자유의 노래》

 

본문

보헤미아의 리토미실 출생. 아버지는 맥주 양조업자로 그의 반대를 무릅쓰고 일찍이 프라하에 나가 프록시에게 피아노와 음악이론을 배웠다. 어릴 때부터 피아노 연주에 뛰어나 한때는 피아노 연주자가 될 것을 꿈꾸었으나, 1848년 오스트리아 2월혁명의 여파로 프라하에도 6월에 혁명운동이 일어나 이에 가담하였다.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지배하에 놓인 체코슬로바키아민족으로서의 의식에 눈떠, 민족운동에서의 작곡가의 역할을 새삼 자각하게 되었다.

 

혁명 실패 후의 가혹한 억압시대에는 스웨덴으로 건너가(1856) 5년간 에보리에 체재, 지휘자 ·작곡가 ·피아니스트로서의 발자취를 남겼다. 1860년대 오스트리아 정부의 탄압이 느슨해지자 체코슬로바키아 민족운동이 되살아났고, 그도 귀국하여 이 민족운동의 선두에 서서 지휘자 ·작곡가 ·평론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862년 체코슬로바키아 국민극장의 전신인 가극장(假劇場)이 프라하에 건립되자 이 극장을 위해 작곡한 오페라 《팔려간 신부 Prodaná nevěsta(The Bartered Bride)》를 상연, 큰 성공을 거두고, 그해 가을에는 이 가극장의 지휘자로 임명되어 여러 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으나 1874년 50세의 한창 나이에 숙환인 환청(幻聽)이 악화되어 10월에는 귀가 전혀 들리지 않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모든 공적 활동을 중지하고 프라하 교외에 은퇴하였다. 그는 오페라에 민족적 제재를 많이 쓰고 음악에는 폴카 ·프리안트 등 민족무용의 리듬을 많이 도입하였으나, 국민오페라에서는 민요를 도입하지 않고, 정신면에서 체코적인 요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전념하였다. 또 교향시에는 리스트 등 신독일파의 수법을 도입하여 민족적인 음악을 창조하는 데 성공하였다. 주요작품으로는 《국민의용군행진곡》 《자유의 노래》 등이 있고, 오페라에는 《보헤미아의 브란덴부르크가의 사람들》(1866) 《달리보르 Dalibor》(1868) 《리부셰 Libuše》(1872) 《두 명의 홀아비》(1874) 등이 있다. 만년의 작품으로는 연작 교향시 《나의 조국 Mávlast》(1874∼1879), 현악 4중주곡 《나의 생애로부터 Z mého života》(1879) 등이 있다.

 

 

36. 브루크너 [Josef Anton Bruckner, 1824.9.4~1896.10.11]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오르간 연주자와 즉흥연주자로서 인정받고 바그너의 작품을 접한 뒤 창작에 자극을 받았다. 미사곡, 교향곡, 합창곡 등을 작곡했다. 19세기 후반 최대 교회음악가였고 최근 최대의 교향곡 작곡가로서도 평가되고 있다.

 

국적 오스트리아

출생지 오스트리아 린츠 근처 안스펠덴

주요작품 《테 데움》(1881), 《제7교향곡》(1883), 《제 8교향곡》(1885)

 

린츠 근처의 안스펠덴 출생. 학교 교사의 아들로 태어나 그도 역시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을 받은 뒤 조교원까지 지냈으나, 그 사이 피아노·오르간·통주저음(通奏低音)·화성·대위법 등을 공부하고, 또 성플로리안수도원의 오르간 연주자로 일하면서 J.S.바흐의 작품과 G.P.팔레스트리나, A.가브리엘리 이후의 교회음악 연구를 계속하여, 그 스스로도 《레퀴엠》(1854)과 《미사 솔렘니스》(1854) 등을 쓰고 그는 30세가 넘어서야 교사직을 떠나 음악가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1855년 린츠대성당의 오르간연주자가 되어 오르간 연주자와 즉흥연주자로서 인정을 받았으며, 동시에 린츠극장 악장인 키츨러에게서 악식론(樂式論)과 악기론(樂器論)을 배워, 고전파와 낭만파의 기악곡형식을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키츨러를 통하여 바그너의 작품에 접하여 창작에 자극을 받게 되었다.

 

린츠시대에 그는 미사곡 3(제1·제2·제3)과 교향곡 2(0번·제1번) 같은 큰 곡을 작곡하고 1868년에는 빈음악원의 교수가 되어 빈에 정주하였으며, 1878년에는 빈대학 강사도 겸하였다. 제2번부터 제8번까지의 교향곡은 이 시기에 작곡되었다. 브루크너는 바그너에게 깊이 심취하여 1865년에는 그와 만나고 작품도 헌정(獻呈)하였으며, 이러한 그의 행동이 절대음악을 중시하는 전통파(反바그너派로 대표격은 한슬리크)의 반감을 사게 되었으나 이에 저항하는 그를 위해 G.말러·괼레리히·샬크형체·레베 등이 결속하여 그를 도와 주었으며, 그도 《관현5중주곡》(1879) 《테 데움》(1881) 《제7교향곡》(1883) 《제 8교향곡》(1885)의 성공으로 비로소 작곡가로서의 명성이 높아졌다.

 

만년에는 병에 걸려 음악학교의 직책을 사임하고, 합창곡 《타펠리트》(1893) 《헬골란트》(1893) 등 작품을 썼을 뿐 창작보다는 오히려 옛 작품인 교향곡의 개작과 퇴고(推敲)에 힘을 기울였으며 《제9교향곡》을 완성 못하고 사망하였다. 1891년 그는 명예박사학위도 받았다. 또 그는 19세기 후반의 최대 교회음악가였을 뿐 아니라, 최근에는 최대의 교향곡 작곡가로서도 평가되고 있다.

 

 

37. 슈트라우스 [Johann Strauss, 1825.10.25~1899.6.3]

 

요약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자 지휘자로 J.B.슈트라우스의 장남이다. 악단을 이끌며 연주여행을 하였고 작곡에도 열중하여 새로운 독자적인 왈츠양식 '연주회왈츠'를 낳았다. 왈츠에 처음으로 합창이 곁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등의 대규모 왈츠와 《집시남작》등의 오페레타를 작곡하였다.

 

별칭 왈츠의 왕

국적 오스트리아

주요작품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예술가의 생애》 《집시남작》

 

본문

'왈츠의 왕'으로 불리며 '왈츠의 아버지' J.B.슈트라우스의 장남이다.

 

아버지는 처음 그를 상공학교(商工學校)에 입학시켜 은행업을 배우게 하였으나, 음악에 대한 집념이 강한 그는 아버지 몰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웠다. 1843년 아버지와 어머니가 별거생활을 하자 이를 기회로 생애를 음악에 바치기로 결심하고 피아노 교수로 생계를 꾸리면서 바이올린 외에 작곡이론을 배웠다.

 

처음에는 교회음악 작곡에 뜻을 두었으나, 19세 때 시 당국의 허가를 얻어 15인조악단을 조직, 무도회에 데뷔하여 그 자신의 작품 1∼4번의 무도곡을 연주하여 크게 성공하였다.

 

아버지와의 갈등은 1846년에 일단 수습되었으나 그는 아버지의 악단에는 가담하지 않고 자기 악단을 인솔하여 독립활동을 계속하였으며, 1849년 아버지가 죽자 아버지의 악단도 지휘하게 되어, 동생이 악단에 가담하기까지 수년간 그는 분주한 세월을 보냈다.

 

1851년에는 함부르크·프라하·드레스덴·라이프치히·바르샤바 등지에서 연주를 하고, 분주한 가운데 작곡에도 열중하여 1853년에는 1년 동안에 27곡 이상을 작곡하였다.

 

그러한 정열적인 활동으로 마침내 병석에 눕게 되자 악단을 동생에게 맡긴 후 요양지로 옮겨다니다가 건강을 회복한 그는 1855년에 다시 러시아의 페테르부르크까지 연주여행을 하였다.

 

1862년 통칭 예티(Jetty)라고 불린 가수 헨리에테 트레프츠와의 결혼으로 커다란 전기를 맞았다. 그의 연주는 공원에서의 연주회와 자기 작품의 첫공연에 한정되고, 온갖 정력이 작곡에 투입되어 새로운 독자적인 왈츠양식 '연주회왈츠'를 낳았다.

 

《아침 신문》(1864)을 비롯하여 1867년부터는 왈츠에 처음으로 합창이 곁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예술가의 생애》 《빈 숲속의 이야기》 《술·여자·노래》 《빈 기질》 등의 대규모 왈츠의 걸작을 계속 작곡하고, 1870년 어머니와 동생 요제프가 모두 세상을 떠나 큰 타격을 받았으나 오펜바흐와 수페 등에게서 자극을 받아 그때부터 오페레타의 작곡도 시작, 《박쥐》 《집시남작》을 비롯한 작품으로 당시 빈 오페레타계에 군림하게 되었다.

 

1878년 아내가 죽자 30세 연하인 릴리 디트리히와 재혼했으나 어울리지 않는 이 결혼은 얼마 후 파탄되고 1887년 아델레 도이치와 재혼, 빈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축복받는 만년을 보냈다.

 

그는 오페레타 16, 왈츠 168곡을 비롯하여 많은 무도곡을 작곡하였는데, 이 모든 작품에는 인생을 찬미하는 빈의 독특한 분위기가 담겨 있다.

 

 

38.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5.7~1897.4.3]

 

요약

독일의 작곡가. 오페라 이외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작곡했다. 독일음악의 전통을 보수적일 만큼 존중하며 견고한 구성감을 보이나 형식주의적인 단순한 것이 아닌 풍부하고 다양한 감정을 내포하고 있다. 낭만주의 시대에 고전파음악의 전통을 지켜 독자적 작풍을 견지했다.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함부르크

주요작품 《독일레퀴엠》(1868), 《알토랩소디》(1869), 《대학축전서곡》(1880), 《승리의 노래》《11의 코랄전주곡》(작품 l12)

 

본문

함부르크 출생. 5세 때부터 아버지에게 바이올린과 첼로를 배우고, 7세 때 O.코셀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0세 때 음악회에 나가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자, 부모는 미국으로 건너가 그의 재능을 이용하여 치부(致富)할 생각이었으나 코셀은 이를 반대하고 그의 스승인 E.마르크센에게 브람스를 사사받도록 하였다.

 

여기서 그는 작곡법, 고전음악의 가치, 음악의 견실한 구성법과 이론을 배웠는데, 이는 그의 음악적 생애의 초석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1850년까지는 브람스의 고난의 시대가 계속되었다. 가정 사정으로 학교를 중퇴하고, 가계를 돕기 위해 술집 ·식당 ·사교장 등을 돌면서 피아노 연주를 하였으며 여가가 나면 피아노 개인지도, 합창단의 지휘, 합창곡의 편곡 등으로 동분서주해야만 했다.

 

그러다가 1850년 헝가리의 바이올리니스트 J.요아힘을 알게 되어 1853년 그와 함께 연주여행을 떠나 이 여행에서 그의 생애를 통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슈만부처를 만나게 되었다. 그들은 브람스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각 방면에 소개하여 음악계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1854년 신경쇠약으로 인한 슈만의 자살미수와 입원, 그리고 1856년의 사망에 이르는 약 2년 동안에 브람스는 작곡에 몰두하는 한편, 어려움에 처해 있는 슈만가(家)를 도왔다.

 

한편 슈만의 부인이며 뛰어난 피아니스트인 클라라와의 우정도 깊어져 갔다. 1857∼1859년 그는 처음으로 공적인 직위를 얻어 데트몰트궁정에서 피아니스트로 근무하면서 작곡에도 몰두할 수 있었다.

 

이곳에서의 근무를 마친 후 1862년 가을까지는 고향인 함부르크로 옮겨 합창단의 지휘, 합창곡의 작곡 등을 하다가 1862년 9월 빈으로 이주, 1863년 징아카데미합창단의 지휘자로 초빙되었다. 그는 그곳에 머무는 동안 많은 뛰어난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1865년 2월부터 어머니의 죽음을 추도하는 작품에 착수, 1868년에 대작 《독일레퀴엠》을 완성하고 1869년에는 슈만의 셋째 딸 유리에에 대한 그의 실연을 노래한 《알토랩소디》를, 1871년에는 프로이센의 대 프랑스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는 《승리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관현악부 성악곡을 많이 만들었다.

 

1872년 가을부터 1875년까지는 빈 음악인협회 회장으로 있으면서 그 합창단과 관현악단의 정기연주회를 지휘하였는데, 이때의 관현악단을 통한 실지 체험은 1876년에 완성된 《제1교향곡》에 잘 나타나 있다. 브람스의 작곡가로서의 진면목은 이때를 전후하여 발휘되기 시작했고 대가로서의 품격도 갖추게 되었다.

 

1878년 이후 매년 걸작을 발표하였는데, 《바이올린협주곡(D장조)》(작품 77) 《바이올린소나타》(작품 78) 등은 모두 이 무렵에 발표된 것들이다. 1879년 브로츨라프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게 되자, 이에 대한 사의로 그 이듬해 《대학축전서곡》(작품 80)을 작곡하였다. 이어 1890년까지 《비극적 서곡》(작품 81), 《피아노협주곡 제2번》(작품 83), 《현악 5중주곡》(작품 88) 등 수많은 작품을 완성하였으나, 1890년부터는 체력과 창의력의 쇠퇴를 자각하고 대곡의 창작을 단념, 신변 정리를 결심하였다.

 

그러나 1891년 3월 뛰어난 클라리넷 주자 R.뮐펠트의 연주를 접하자, 다시 영감과 창의력을 얻어 1891년 《클라리넷 3중주곡》(작품 114) 《클라리넷 5중주곡》(작품 115)과 1894년 두 곡의 클라리넷소나타 등 일련의 클라리넷을 포함한 실내악곡을 쓰게 되었다. 1896년 3월 그의 평생의 친구인 클라라가 졸도한 후 병세가 악화되자, 죽음을 진지하게 생각하며 성서를 토대로 한 《4개의 엄숙한 노래》(작품 121)를 작곡하였다.

 

5월 20일 클라라가 세상을 떠난 뒤 브람스의 건강도 눈에 띄게 쇠약해졌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오르간용의 종교적인 오르간곡 《11의 코랄전주곡》(작품 l12)을 작곡하였다. 그러나 1897년 4월 3일 마침내 간암으로 이 세상을 떠났다.

 

브람스는 오페라 이외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의 음악은 독일음악의 전통을 보수적일 만큼 존중하며, 견고한 구성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형식주의적인 단순한 것이 아니라, 매우 풍부하고 다양한 감정을 내포하고 있다. 때로는 북독일적이며, 때로는 빈(Wien)적이지만, 인간 브람스의 피가 흐르는 매우 소박한 풍격이 그의 음악의 큰 매력이 되고 있다. 그만큼 브람스의 작품에서는 호화스런 색채감각은 찾아볼 수 없다.

 

그는 신앙심이 두터운 프로테스탄트 신자이었기 때문에 종교적이면서도 죽음의 예감이 감도는 장중한 작품들이 많으며, 특히 만년에 발표한 성악곡에는 이러한 것들이 많다. 브람스는 낭만주의의 화려한 시대에 있어 고전파음악의 전통을 지킴으로써, 시대의 풍조에 휘말리지 않는 독자적 작풍을 견지한 작곡가이다. 또한 그는 R.슈트라우스, A.드보르자크 등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39. 보로딘 [1833.11.12~1887.2.27]

 

요약

러시아의 작곡가·화학자·사회개혁자. 페테르부르크의과대학에서 조교수를 지내며 화학자 지닌의 제자가 되어 유기화학연구를 하였다. 작곡가로서는 신러시아악파에 속한다. 연구생활 중 작곡활동을 하였으며 러시아 국민음악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원어명 Aleksandr Porfir'evich Borodin

국적 러시아

출생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주요작품 교향곡 2번(1876), 현악4중주곡(1881), 오페라 《이고리공》(미완성)

 

본문

페테르부르크 출생. 러시아의 귀족 게데아노프공작의 사생아로 태어나 농노(農奴) 보로딘의 호적에 얹혔다. 그 때문에 충분한 교육을 받고도 사회활동을 규제당하였으며, 그와 같은 사회적 불공정이 그의 민주사상의 원천이 되었다.

 

어릴 때부터 악재(樂才)를 보였고, 화학에도 열중하여 1850년 페테르부르크의과대학에 들어갔으며, 58년에는 하이델베르크대학에 유학하였다. 1862년 귀국 후는 모교의 조교수가 되고, 여기서 화학자 지닌의 제자가 되어 유기화학연구를 계속하였다.

 

작곡가로서는 신러시아악파(樂派), 즉 5인조에 속한다. 연구생활의 틈을 이용한 작곡활동이었으나 러시아의 유수한 실내악 작곡가로, 또 러시아 국민음악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졌으며, 첼로의 명수이기도 했다. 작품은 동방적(東方的)인 색채가 농후하며 대표작에 교향곡 2번(1876), 현악4중주곡(1881), 오페라 《이고리공》(미완성) 등이 있다.

 

 

40. 생상스 [1835.10.9~1921.12.16]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작품은 모두 고전적인 단정함, 세련된 관현악법에 의한 화려한 표현이 특징이다.

 

원어명 Camille Saint-Saëns

국적 프랑스

출생지 프랑스 파리

주요작품 《삼손과 데릴라》(1877)

 

본문

파리 출생. 7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뛰어난 음악적 재능은 흔히 모차르트의 유년시절과 비교되었다. 1846년 10세 때 데뷔하고, 12세 때 파리음악원에 입학하여 오르간과 작곡을 배웠다.

 

1853~1877년 마들렌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 근무하면서는, 오르간 ·피아노 연주의 명수, 즉흥연주의 대가로 이름을 떨쳤다. 또 1861∼1865년에는 에콜 니데르메이에르음악학교에서 피아노를 교수하였는데, A.메사제, G.포레 등은 이 시기의 제자들이다.

 

1871년 유지들과 파리에서 '국민음악협회'를 결성하고 유력한 멤버로서 프랑스음악계에 교향악운동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작곡가로서는 1852년과 1864년에 로마대상에 낙선하여 그 이후 1880년경까지는 별로 인정받지 못하였으나, 국민음악협회, C.라무뢰 등의 오케스트라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명성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작품에는 《삼손과 데릴라 Samson et Dalila》(1877)를 비롯한 13편의 오페라, 교향곡 4, 피아노협주곡 3, 그 밖에 피아노곡을 비롯한 많은 기악곡이 있다. 작품은 모두 고전적인 단정함, 세련된 관현악법에 의한 화려한 표현이 특징이다.

 

 

41. 브루흐 [Max Bruch, 1838.1.6~1920.10.2]

 

요약

독일의 작곡가·지휘자. 여러 악단의 지휘자, 브레슬라우 연주협회장을 지냈다. 작풍은 멘델스존의 영향을 받아 로맨틱한 아름다운 음향을 가졌다. 창작의 주된 영역은 합창음악이나 그 밖에도 많은 성악곡과 연주곡, 오페라가 있다.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쾰른

주요작품 《콜니드라이》

 

본문

쾰른 출생. 본에서 이론을 배운 후 1852년부터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힐러와 라이네케에게 작곡을 사사하였다.

 

1865년 코블렌츠의 연주협회 지휘자, 1867년 존더스하우젠의 궁정악단 지휘자, 1880년부터는 영국의 리버풀교향악단 지휘자, 1883∼1890년에는 브레슬라우 연주협회장을 지냈다. 1891∼1910년에는 베를린 예술아카데미의 교수 겸 작곡부장을 역임하였다. 그의 작풍은 멘델스존의 영향을 받아 로맨틱한 아름다운 음향에 특징이 있다.

 

오라토리오 작곡가로서도 알려졌으나 오늘날에는 1868년 라인음악제에서 요아힘의 초연으로 대성공을 거둔 바이올린협주곡 제l번으로 특히 유명하다. 그의 창작의 주된 영역은 합창음악이었으나, 3곡의 바이올린협주곡과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콜니드라이》가 가장 자주 연주되며, 그 밖에도 많은 성악곡과 오페라가 있다.

 

   

42. 비제 [Georges Bizet, 1838.10.25~1875.6.3]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비제는 오페라음악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는데, 어느 것이나 등장인물의 정확한 표현, 빈틈없는 무대구성, 세련된 작곡기법과 새로운 맛으로 당시의 오페라 계에 큰 자극을 주었다.

 

국적 프랑스

출생지 프랑스 파리

주요작품 《카르멘 Carmen》(1875)

 

본문

파리 출생. 아버지는 성악교사, 어머니는 피아니스트였다. 1848년 10세 때 파리음악원에 들어가 A.마르몽텔에게 피아노를, F.브누아에게 오르간과 푸가를 P.지메르만에게 작곡을 배우고, 때로는 구노의 강의를 들었다. 그리고 1853년 지메르만이 죽은 후에는 알레비에게 사사하였는데, 그는 구노와 알레비에게서 특히 많은 영향을 받았다.

 

1856년 칸타타 《다윗 David》을 로마대상 작곡 콩쿠르에 제출하여 입상하고 다음해인 1857년에는 칸타타 《클로비스와 클로틸드 Clovis et Clotilde》로 로마대상을 받아, 관비로 3년 가까이 유학했다가 파리로 돌아와서는 그때부터 오페라 창작에만 주력하였다.

 

1863년 이국적인 선율의 3막 오페라 《진주잡이 Les Pêcheurs de Perles》를 작곡하였는데, 이 작품은 오페라 작곡가로서의 비제의 최초의 중요한 작품이다. 그리고 1869년 2월 로마 체재 중의 회상을 담은 모음곡 《로마의 추억 Souvenirs de Rome》(나중에 교향곡 《로마》로 개작되었음)이 파들루의 연주회에서 연주되고, 또 6월에는 은사인 알레비의 딸 주네비에브와 결혼하였다.

 

그 후 1872년 보드빌오페라극장의 지배인 L.카르발로의 권고로 A.도데의 소설을 극화한 《아를의 여인 L’Arlésienne》의 부수음악 27곡을 써서 성공하고 그중 4곡을 스스로 선택한 모음곡은 파들루의 연주회에서 연주되어 청중을 매료하였다. 또 그의 유명한 오페라 《카르멘 Carmen》은 1875년 3월 오페라코미크에서 초연되었는데 3개월 후인 6월 3일 비제가 37세로 요절할 때까지 무려 33회나 공연되었다 한다.

 

이 오페라는 그의 어떤 작품보다도 많이 연주된 것으로 외국에서 먼저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비제는 오페라음악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는데, 어느 것이나 등장인물의 정확한 표현, 빈틈없는 무대구성, 세련된 작곡기법과 새로운 맛으로 당시의 오페라계에 큰 자극을 주었다.

 

특히 《카르멘》은 노래도 음악도 낭비가 없으며, 극과 음악이 잘 융합되어 있다. 이는 프랑스의 노래답게 샹송이나 쿠플레를 도입하였으며, 악기의 개성을 잘 살린 데도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이국정취가 많이 풍기는 이 곡은 그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뛰어났으며, 이 작품은 같은 시대에 있어서나 그 다음 시대에 있어서나 특히 베리스모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의 극음악적 재능은 특히 제4막의 대단원의 장면에서 노래가 서로 얽히면서 합창과 관현악이 숨막힐 듯이 밀집 ·응결하는 극적 효과에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다. 이 작품은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와 함께 R.롤랑이 말했듯이 프랑스오페라의 쌍벽을 이루는 명작으로서, 지금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43. 무소르크스키 [Modest Petrovich Musorgskii, 1839.3.21~1881.3.28]

 

요약

러시아의 작곡가. 여러 편의 피아노곡 ·교향곡 ·오페라 ·가곡 등을 작곡했고 러시아 고유의 선법과 대담한 화성, 변칙적인 리듬 등을 구사해 근대 인상파음악의 선구자가 되었다.

 

국적 러시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러시아 프스코프주

주요작품 《보리스 고두노프 Boris Godunov》(1874) 《어린이의 방》(1868∼1872) 《전람회의 그림》(1874)

 

본문

프스코프주(州) 출생. 귀족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웠다. 1852년 근위사관학교에 입학, 1859년 임관되자 곧 예비역에 편입되어 음악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 M.A.발라키레프에게서 작곡을 배우고 국민악파 5인조의 일원으로 활약하면서 작곡에 전념하였다. 1861년 농노해방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으로 1863년부터 관리가 되고, 1865년 어머니가 죽자 심한 음주벽과 신경쇠약으로 주위로부터 소외되었다.

 

그러나 이런 가운데에서도 여러 편의 피아노곡 ·교향곡 ·오페라 ·가곡 등을 작곡하였으며, 러시아 고유의 선법(旋法)과 대담한 화성(和聲), 변칙적인 리듬 등을 구사하는 기법으로 근대 인상파음악의 선구자가 되었다. 또 C.A.드뷔시를 비롯한 많은 근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푸슈킨의 희곡을 작곡한 《보리스 고두노프 Boris Godunov》(1874)는 그 고도의 음악성으로 높이 평가되며, 피아노곡과 가곡으로 《어린이의 방》(1868∼1872) 《죽음의 노래와 춤》(1875∼1877) 《전람회의 그림》(1874) 등이 있다.

 

 

44. 차이코프스키 [Pyotr Il'ich Tchaikovskii, 1840.5.7~1893.11.6]

 

요약

러시아의 작곡가로 모스크바음악원의 교수를 지내다가 40년간 창작에 전념하여 러시아 고전주의 음악의 완성을 가져왔다. 교향곡, 오페라, 발레곡 이외에 다수의 실내악곡, 협주곡 등을 남겼으며 특히 발레곡 《백조의 호수》, 교향시 《만프레드 교향곡》 등이 유명하다.

 

국적 러시아

출생지 러시아 우랄지방 캄스코보트킨스크

주요저서 《화성학 개요》(1875)

주요작품 《백조의 호수》(1876) 《만프레드 교향곡》(1885) 《비창》(1893)

 

우랄지방 캄스코보트킨스크 출생.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제립(帝立) 법률학교를 졸업하고 관리가 되었다가, 1860년 안톤 루빈스타인이 주재한 음악교실에 입학, 이 교실이 러시아 최초의 음악원으로 개편되면서 제1기생이 되었다. 그 뒤 모스크바음악원이 설립되자 교관이 되었으나(1866∼78), 77년 이전부터 러시아 철도왕(鐵道王)의 미망인 폰 메크 부인(1831∼94)으로부터 연금을 받아왔기 때문에 곧 교직을 떠나 창작에 전념하게 되었다.

 

그는 얼마 후 교향곡 제4, 5, 6의 3곡을 완성하고 93년 10월에는 제6교향곡을 완성 초연하였는데, 그날로부터 며칠 후인 11월 콜레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음악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엽에 걸쳐 성립된 러시아 고전주의 음악의 완성으로 볼 수 있으나 낭만파의 수법을 초월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러시아악파의 특징으로 되어 있는 변박자(變拍子)와 민요의 사용도 극히 상식적인 것이었고, 비조리성(非條理性)과 논리의 비약이 없어 서유럽에서는 높이 평가되지 못하고 속류(俗流)로 취급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그의 작품의 역사적 의의를 찾아보면 약 40년간에 걸친 창작활동 중에는 시민세대의 음악의 기점(基點)과 종말이 있었고, 19세기 후반의 러시아악파의 중요한 일익을 맡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법상 피아노 ·바이올린에서 대단한 진보를 보였음은 물론, 이것이 고전적인 작풍과 서로 작용하여 그의 음악에 신선하고 쉬운 영상(影像)을 심어줌으로써 차이코프스키음악의 독특한 매력을 지탱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아 그의 작품에는 표제음악적(標題音樂的)인 색채가 짙다. 무대음악은 별도로 하더라도, 교향작품의 거의 대부분이 표제적인 의도를 포함하고 있어 사상성이 매우 강하다. 특히 교향시 《만프레드 교향곡:Manfred Symphony)》(1885)은 문학적 사고가 깊은 작품으로 유명하며, 그의 오페라 가운데서도 푸슈킨의 원작을 대본으로 한 것은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의 역사주의와는 반대로 동시대의 증언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의 작품은 1854년 14세 때의 《왈츠》에서 시작하여 1893년에 완성된 교향곡 제6번 《비창》(작품 74)으로 끝났다. 작품 74는 자신이 붙인 번호이고, 그 후의 보주(補註)로 80, 이 밖에 번호 없는 초기의 소품이 약 20곡 현존한다. 즉 교향곡 6곡, 미완성의 교향곡 1곡, 교향시 1곡, 오페라 11곡, 발레곡 3곡 이외에도 다수의 실내악곡 ·피아노곡 ·가곡 및 협주곡 등이 있다.

 

그의 창작활동은 모스크바음악원 교수를 그만 둔 시기(78)를 중심으로 2기로 나눌 수 있다. 전기는 교직과 비평에 종사하였던 시기로 작품의 경향도 낭만적인 향취와 피아노협주곡 제1번(75)과 바이올린협주곡(78) 등에서 볼 수 있는 현란한 색채감을 지니고 있다.

 

후기는 제4번(77) 이후의 3곡의 교향곡, 그리고 오페라 《예브게니 오네긴:Evgenii onegin》(78)을 포함하여, 모두가 충실한 창조력과 기법의 완결을 상기시킨다. 이 두 시기 사이에는 그의 불행한 결혼문제가 개재되어 있어 그의 작풍변화의 중요 요인이 되고 있다.

 

교향곡 중에서는 전기의 것 중 제2번(1872)이 소러시아민요에서 취재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 제4번 이후의 3곡의 교향곡들은 단일 모티프인 이른바 ‘숙명의 동기’에 의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3곡을 일련의 곡으로 보려는 견해도 있다. 발레음악에서는 《백조의 호수:Swan Lake》(1876) 《잠자는 숲 속의 미녀:The Sleeping Beauty》(1889)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1892)의 3곡 중 특히 《백조의 호수》가 장대한 짜임새와 다채로운 음악으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오페라에서는 푸슈킨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예브게니 오네긴》과 《스페이드의 여왕:The Queen of Spades》(1890)이 유명하다. 특히 전자는 러시아문학사에서 등장하는 ‘쓸모없는 사람’의 한 사람인 오네긴을 주인공으로 하여, 러시아적인 인간상의 애환을 깊이 있게 묘사한 작품이다.

 

또 그의 방대한 작품들 중에서 실내악은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3곡의 현악4중주곡(1871, 74, 76)은 보로딘, 타네예프의 작품과 더불어 러시아악파의 훌륭한 소산으로 간주되고 있다. 저작으로 《화성학 개요》(1875)가 있다.

 

 

45. 드보르자크 [1841.9.8~1904.5.1]

 

요약

체코의 작곡가. 자연스러운 음악 속에 체코민족의 애환을 담은 독자적인 작풍(作風)을 이루었다. 표제음악 전성기에 절대음악을 많이 작곡했고 미국 체류 중에는 니그로나 아메리칸 인디언 음악 요소를 곁들인 작품을 썼다.

 

원어명 Antonín Dvořák

국적 체코

출생지 체코 프라하 교외 넬라호제베스

주요작품 《신세계》 《루살카》

 

본문

프라하 교외 넬라호제베스 출생. 17세 때 프라하의 오르간학교에 들어가 2년간 공부하고 졸업 후 레스토랑·호텔 등에서 비올라를 켜오다가 1862년 프라하에 가설극장(假設劇場:훗날의 국민극장)이 신설되자 그곳 비올라 연주자가 되었다.

 

1866년 그곳 지휘자로 취임한 B.스메타나의 영향을 받아, 당시 고조된 민족운동의 와중에서 음악가로서 체코의 민족문화를 일으켜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게 되었다. 1872년 애국적인 시 《백산(白山)의 후계자들》에 의한 합창 찬가가 호평을 받음으로써 인정을 받고, 1874년에는 성아달베르트교회의 오르가니스트가 되었다.

 

이해부터 오스트리아 정부의 장학금을 얻기 위해 매년 작품을 제출하던 중 1877년 심사원이던 J.브람스에게 인정되어 베를린의 출판사에서 작품이 출판되면서 유명해졌다.

 

이때부터 여러 연주자가 그의 실내악이나 관현악곡을 베를린·런던에서도 연주하게 되어, 그의 명성은 국내외로 퍼졌으며 1878년부터 지휘를 시작하여 1884년 이후 영국을 9회나 방문하여 자작곡을 지휘, 대환영을 받았다. 1891년 프라하음악원 교수가 되고, 같은 해 영국의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892년에는 뉴욕의 내셔널음악원 원장으로 초빙되어 도미했고, 다음해 미국에서의 신선한 인상을 소재로 교향곡 9번 《신세계 From the New World》를 작곡했다. 1895년 4월 프라하로 돌아온 후로는 음악원의 작곡 교수직과 창작에 전념하여, 1901년 프라하음악원 원장이 되고, 오스트리아 상원의원에 임명되는 등 음악가로서 최고의 영예를 누렸으나, 1904년 신장병으로 사망하였다.

 

드보르자크는 2년간 오르간학교에서 공부한 이외에는 거의 독학으로 베토벤, 슈베르트를 연구하였다. 한때 그는 바그너, 리스트에도 열중하였으나 자연스레 물이 흐르는 듯한 음악 속에 체코민족의 애환을 담은 독자적인 작풍(作風)을 이루었다. 표제음악 전성기에 절대음악(絶對音樂)을 많이 작곡한 그는 브람스의 영향을 받았으나, 미국에서 귀국한 다음에는 교향시와 오페라 이외의 것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았다.

 

미국 체류중에는 니그로나 아메리칸 인디언 음악에 흥미를 느껴 그 요소를 곁들인 작품을 썼으며, 이런 작품이 그의 대표작처럼 되었으나, 미국 체류시대 이외의 것도 재인식되었다. 주요작품으로 오페라 《루살카》 외 6, 교향곡 9, 교향시 5, 교향서곡 5, 바이올린협주곡 ·첼로협주곡 각 1, 현악4중주곡 8, 피아노3중주곡 3편 등이 있다.

 

 

46. 마스네 [1842.5.12~1912.8.13]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오페라 창작에 전념했으나 그 외 관현악곡 ·가곡 ·부수음악 ·피아노곡 ·종교음악 등도 작곡했다. 그의 음악은 모두 섬세하고 감각적이며 인상적이다.

 

원어명 Jules Emile Frédéric Massenet

국적 프랑스

출생지 프랑스 리옹 근처 몽토

주요수상 로마대상(1863)

주요작품 《라올의 왕》(1877) 《마농》(1881) 《베르테르》(1892)

 

본문

리옹 근처 몽토 출생. 1851년 파리음악원에 입학, 피아노 ·작곡 등을 수학하고 1863년 로마대상을 받았다. 이탈리아에 유학한 후 오페라 창작에 전념했으며, 《라올의 왕》(1877)으로 명성을 얻었는데, 이 작품에는 친구인 비제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그 후 《마농》(1881) 《베르테르》(1892) 《타이스》(1894) 《노트르담의 곡예사》(1902) 등을 발표하여 작곡가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굳혔다. 오페라 이외에 관현악곡 ·가곡 ·부수음악 ·피아노곡 ·종교음악 등도 있으며 그의 음악은 모두 섬세하고 감각적이며 인상적이다. 또 파리음악원의 교수로서 샤르팡티에, F.슈미트 등을 길러냈다.

 

 

47. 그리그 [Edvard Hagerup Grieg, 1843.6.15~1907.9.4]

 

요약

노르웨이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민족주의적인 작곡가들과 사귀면서 독자적 작풍을 확립하였다. 작품 속에 민족음악의 선율과 리듬을 많이 도입하고 민족적 색채가 짙은 작품을 다수 만들어 오늘날 노르웨이 음악의 대표적 존재가 되었다.

 

국적 노르웨이

출생지 노르웨이 베르겐

주요작품 《페르귄트》《피아노협주곡》(1868)

 

본문

베르겐 출생. 스코틀랜드 가계(家系) 출신, 어머니에게서 피아노의 기초를 익힌 뒤 1858년부터 4년간 라이프치히음악원에서 수학하였다. 이때 R.슈만과 J.멘델스존의 영향을 받았으며, 게제 ·노르들라크 등 민족주의적인 작곡가들과 사귀면서 독자적 작풍을 확립하였다. H.입센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부대음악(附帶音樂) 《페르귄트》(1876 초연)와 《피아노협주곡》(1868)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몸에 밴 고전적 형식에서 민족적인 음악을 찾으려고 애쓴 그는 《제3바이올린소나타》(1885∼1887)에서 피아노곡인 《노르웨이의 농민무용》(1902)에 이르는 일련의 작품 속에 민족음악의 선율과 리듬을 많이 도입하였으며, 민족적 색채가 짙은 작품을 다수 만듦으로써 오늘날 노르웨이 음악의 대표적 존재가 되었다.

 

 

48. 사라사테 [Pablo de Sarasate, 1844.3.10~1908.9.20]

 

요약

에스파냐의 바이올린 연주자·작곡가. 연주의 특색은 투명하고, 부드러우며 감미로운 음색과 화려한 기교의 구사에 있었다. 폭넓은 비브라토(떨려 울리는 음)와 개성적인 리듬의 매력을 잘 살린 연주, 특히 에스파냐 풍의 연주 등에 뛰어났다.

 

국적 에스파냐

출생지 에스파냐 팜플로나

주요작품 《치고이너바이젠》

 

본문

팜플로나 출생. 8세 때부터 수도 마드리드에서 음악공부를 하고, 1856년 여왕 이사벨라2세와 함께 나바라주(州)의 장학금으로 파리국립음악원에 입학하여 알라르에게 바이올린을 사사(師事)하였다.

 

졸업 후 1861년 런던에서의 첫 공연을 시작으로 유럽 각지와 남북아메리카에 걸친 대연주여행을 하여 성공을 거두고, 파가니니(1782∼1840) 이래의 음악의 거장으로서 명성을 떨쳤다.

 

1870년에 다시 파리로 돌아와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각지에서 활발한 연주활동을 계속하였다. 연주의 특색은 투명하고, 부드러우며 감미로운 음색과 화려한 기교의 구사에 있었다. 폭넓은 비브라토(떨려 울리는 음)와 개성적인 리듬의 매력을 잘 살린 연주, 특히 에스파냐풍의 연주 등에 뛰어났다.

 

프랑스의 작곡가 랄로는 그의 최초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스페인교향곡》을 그에게 헌정(獻呈)하였고, 독일의 작곡가 브루흐(1838∼1920)도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과 《스코틀랜드 환상곡》을 그를 위해 썼다.

 

또 비제(1838∼1875)로 하여금 《에스파냐 무곡집》과 《카르멘 환상곡》 《서주와 타란텔라》 《호타 아라고네스》 등 바이올린 연주를 위한 기교적이며 화려한 효과를 가진 에스파냐풍의 관능적 선율의 작품을 작곡해 내게 한 사실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자신의 작품으로 《치고이너바이젠》이 유명하다.

 

 

49. 림스키코르사코프 [Nikolai Andreevich Rimskii-Korsakov, 1844.3.18~1908.6.21]

 

요약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사회운동가이다. 주요 작품에는 《스페인기상곡》와 같은 표제음악과 《사드코》등의 오페라가 많다. 이들의 소재로는 러시아의 민요와 권력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이교적인 세계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다.

 

국적 러시아

출생지 러시아 노브고로트 근처 티흐빈

주요저서 《러시아민요 100곡》(1877) 《화성학 실습》(1884) 《나의 음악 연지(年誌)》(1909)

주요작품 《스페인기상곡》(1887) 《사드코》(1898)

 

1844년 3월 18일 노브고로트 근처 티흐빈에서 출생하였다. 유년시절부터 음악적 재질을 보였으나, 정식 음악교육은 받지 않고 1856년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졸업 후 해군사관이 되었다. 이 무렵 발라키레프와 사귐으로써 ‘5인조(발라키레프, 큐이, 무소르크스키, 보로딘,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한 멤버가 되었으며, 그때부터 작곡지도도 받았다. 1871년 페테르부르크음악원 교수로 초빙되고 또 해군군악대의 지휘자로서 내외의 명곡을 편곡하는 한편 궁정성가대지휘자도 지냈다.

 

1881년 무소르크스키가 사망하여 ‘5인조’가 해산되자, 악보 출판업자인 벨라예프의 도움으로 ‘벨라예프그룹’을 결성, 후진인 글라즈노프, 랴도프 등을 지도하였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이 계기가 된 혁명소동 때는, 스트라이크를 일으킨 학생측에 서서 학원에의 권력개입을 거절한 탓으로 페테르부르크의 교수직에서 쫓겨났으며, 그의 작품은 연주 금지처분을 당했다. 그후 복직이 되었으나 퇴직하고, 심장병으로 급서할 때까지 자택에서 작곡과 후진양성에 힘썼다.

 

그의 작풍은 대체로 색채적이고 묘사적이며 명쾌하고 이해하기 쉬운 화성적인 표현에 차 있다. 관현악의 묘사성 등은 러시아의 오페라, 표제교향시, 가곡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치고 라벨, 레스피기 등 근대 작곡가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주요 작품에는 《스페인기상곡》(1887) 《세헤라자데》(1888)와 같은 표제음악과, 《사드코》(1898) 《설희(雪姬)》(1882) 《금계(金鷄)》(1909) 등의 오페라가 많으며, 이들의 소재로는 러시아의 민요와 권력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이교적인 세계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다. 이 밖에 합창곡 ·가곡 ·피아노곡 ·관현악곡 등도 많다. 저서에는 《러시아민요 100곡》(1877) 《화성학 실습》(1884), 《관현악법 원리》(1913) 자서전인 《나의 음악 연지(年誌)》(1909) 등이 있다.

  

 

50. 포레 Faure, Gabriel Urbain(1845.5.12~1924.11.4) 프랑스

 

어려서부터 음악재능을 인정받아 9세 때 파리 니데르메이에 음악학교에 입학하였다. 여기서 중세 르네상스 종교음악과 J.S.바흐. F.J.하이든의 작품을 공부하고, 생상의 제자가 되어 베를리오즈, 리스트, 바그너 등의 음악을 배웠다. 재학 중이던 1863년 첫 작품인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무언가》를 발표하였으며, 졸업 후 파리 마들렌교회의 오르가니스트, 파리음악원 작곡법 교수로 활동하였다. 1870~71년 프랑스, 프로이센전쟁에 종군한 뒤 1871년 당시 창립된 프랑스 국민음악협회에 참가하였다.

   

1905년부터 청력상실과 건강쇠약으로 퇴직할 때까지 파리음악원 원장을 지냈으며, 1909년 아카데미회원이 되었다. 라벨, G.에네스코 등을 가르쳤으며 퇴직 후에도 창작활동을 계속 하였다. 근대 프랑스 서정파의 거장이며 나아가서는 근대 프랑스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그는 어려서부터 음악적인 천품이 나타났다. 우아한 기품을 지닌 그는 고전의 전통적인 형식과 거기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 넣었다. 그의 기교는 최고의 프랑스 음악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자유롭고 신선한 음의 취급과 섬세한 시적 감정에 차있다고 하겠다.

 

세련되고 심오하며 감수성 넘치는 작풍으로 성악, 피아노곡, 실내악곡, 관현악곡 등 거의 모든 장르를 포괄하였는데, 전통적인 음악형식을 바탕으로 대담하고 창의적인 표현양식을 더하였다. 드뷔시, 라벨로 이어지는 근대프랑스음악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한 대표적 음악가였다.그의 내성적인 기질은 실내악, 피아노, 그리고 특히 가곡을 그의 예술의 기본 바탕으로 하였는데 가곡은 프랑스 말과 떠날 수 없으리만큼 되어 있다. 그는 전통을 존중하였으며 그의 주의 깊은 대담성은 드뷔시처럼 혁명적은 아니라 해도, 초기의 로맨티시즘을 제외하고는 그 수법을 순화하고 스타일을 세련시킨 그의 독창성과 노력은 놀랄 만하다.

 

낭만파의 시대로부터 근대의 길을 개척한 중요한 인물이며, 근대 프람스 음악계의 대 작곡가이며 교육가인 포레가 차지한 비중은 크다고 하겠다. 그는 드뷔시보다 20년 먼저 나서 근대 프람스 음악의 기초를 세운 선구자라 할 수 있다.

 

그의 세련된 미는 순수한 프랑스 향취를 발하고 있으며 대담하고 화성적인 감각에는 지금까지 맛볼 수 없던 새로운 세계를 그렸다.

 

그는 저명한 오르가니스트였으며 교육자로서 마스네의 뒤를 이어 파리 음악원의 교수가 되었다. 그의 문하생에는 라벨, 에네스코, 슈미트, 블랑제 등 저명한 작곡가들이 있다. 그를 가리켜 대기 만성의 작곡가라고 한다. 걸작으로 알려진 실내악 작품들은 70세 이후의 소산이라 한다.

   

대표작품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자장가》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발라드》 관현악 모음곡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 오페라 《프로메테우스》 《페넬로페》 가곡 《꿈꾼 뒤에》 《이스파한의 장미》와 100곡이 넘는 작품이 있으며 성악곡《진혼곡》과 야상곡, 즉흥곡 등 다양한 작품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의 실내악과 가곡은 브람스 이후 그만한 공적을 남긴 작곡가가 드물다. 그는 독자적인 선율과 화성적인 감각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스타일에 알맞은 작품을 써 낸 작곡가라고 하겠다.

 

 

51. 엘가 [Edward Elgar, 1857.6.2~1934.2.23]

 

요약

영국의 작곡가로 오라토리오 《제론티어스의 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떨치고 준 남작(男爵)의 작위를 받았다. 후기낭만파에 가까운 작풍으로 《수수께끼》, 《팔스타프》 등의 작품을 남겼다.

 

국적 영국

출생지 영국 잉글랜드 우스터

주요작품 《수수께끼》(1898) 《제론티어스의 꿈》(1900) 《팔스타프》(1913)

 

본문

잉글랜드 우스터 출생. 가톨릭교회 오르간 연주자의 아들로 태어나 한때 아버지의 권유로 변호사 사무실에 근무하였으나, 음악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못하고 독학으로 각종 악기의 연주법과 작곡법을 습득하였다.

 

1880년경부터 직업음악가로 활동하기 시작하여 1900년 오라토리오 《제론티어스의 꿈》으로 파셀 이후 국제적인 명성을 떨치고, 31년 준 남작(男爵)의 작위를 받았다.

 

작풍은 후기낭만파에 가까우며 대표작에 전기 오라토리오 외에 관현악변주곡 《수수께끼》(1898), 교향시 《팔스타프》(1913) 등이 있다.

 

 

52. 푸치니 [Giacomo Puccini, 1858.12.22~1924.11.29]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작품으로 《라보엠 La Boheme》, 《토스카 Tosca》,《나비부인 Madame Butterfly》 등이 유명하다. 유려하고도 애절한 정에 넘치는 선율, 자신의 양식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청중에게도 호소력이 큰 대본의 선택 등에 의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국적 이탈리아

출생지 이탈리아 루카

주요작품 《나비부인》

 

본문

루카 출생. 아버지는 음악학교 교사로 종교음악 작곡가이기도 하였으나 어려서 사별하였다. 일찍이 앙제로니에게 음악을 배우고 10세 때 루카의 어느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로 있으면서 악재를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G.베르디의 《아이다 Aida》를 듣고나서부터 작곡가가 될 것을 결심, 1880년에 마르게리타여왕의 장학금과 그 밖의 후원으로 밀라노의 음악학교에 입학, 폰키엘리의 지도를 받았다. 재학 중 스승의 권유로 처녀작 《빌리 Le Villi》를 어느 현상에 내어 실패하였으나 리코르디출판사의 후원으로 상연되어(1884) 성공을 거두었다. 그후 잇달아 오페라를 발표하고 1893년 토리노에서 상연된 《마농 레스코 Manon Lescaut》로 그의 이름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896년 토스카니니 지휘로 《라보엠 La Bohème》을 상연, 성공을 거두고 1900년에는 로마에서 《토스카 Tosca》가, 1904년에는 밀라노에서 《나비부인 Madame Butterfly》이 초연되어 찬사를 받았다. 1907년 미국으로 건너가서는 그 곳에서 제재를 얻은 《서부의 처녀 La Fanciulla, del West》가 1910년 뉴욕에서 초연되고 1918년에는 각각 내용이 전혀 다른 3부작 《외투 Il Tabarro》 《수도녀(修道女) 안젤리카 Suar Angelica》 《지안니 스키키 Gianni Schicchi》가 역시 뉴욕에서 상연되었다. 그후 《투란도트 Turandot》의 제작에 착수하였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투란도트》는 알파노에 의하여 완결되어 1926년 밀라노에서 토스카니니의 지휘로 상연, 대성공을 거두었다.

 

푸치니는 그 자신의 말대로 "극장을 위하여 작곡할 것을 신에게서 명령받은" 사람이었다. 그의 작품은 유려하고도 애절한 정에 넘치는 선율, 극장의 요청에 대한 본능적인 감각, 자신의 양식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청중에게도 호소력이 큰 대본의 선택 등에 의하여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그리고 그의 오페라는 여성 등장인물의 묘사에 뛰어나, 미미·토스카·나비부인·안젤리카 등에게 주어진 선율은 청중의 가슴을 파고드는 것이 있다. 또한 《나비부인》 《투란도트》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이국취미적인 제재를 즐겨 선택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푸치니는 이탈리아오페라의 금자탑이라고도 할 수 있는 베르디의 여러 작품의 뒤를 이어, 인간 목소리의 표현에 의한 황홀감을 추구하는 이탈리아의 전통을 딛고 서서 당시의 베리즈모(진실주의)의 물결에도 씻기고, 또한 만년에는 20세기의 새로운 수법도 조금씩 받아들이면서 이탈리아의 근대적인 오페라에의 길을 걸어간 작곡가였다. 작품에는 위에 든 오페라들 외에도 칸타타 《아리따운 이탈리아의 처녀들》, 관현악곡 《전주곡》, 그리고 실내악곡·가곡·오르간곡 등이 있다.

 

 

53. 레온카발로 (Ruggiero Leoncavallo 1858∼1919)

   

이탈리아 작곡가. 나폴리 출생. 판사의 아들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18세에 나폴리음악원을 졸업했다. 오페라 작곡가를 지망하여 볼로냐대학에서 문학을 청강하면서 A. 비니의 비극 《차터톤(Chatterton, 1896)》의 오페라화를 시도했으나, 공연 직전 흥행사의 도피로 빚만 짊어졌다. 그 뒤 연주가로 여러 나라를 다녔고, 바그너로부터 격려를 받자 그를 본받아 대본 저작에 뜻을 품고 이탈리아 문예부흥기의 사실에 바탕을 둔 3부작 《황혼》에 몰두, 그 제1부 《메디치가(家)》를 완성했다. 마스카니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Lusticana, 1890)》의 대성공에 자극을 받아 그와 같은 경향의 베리즈모 오페라 《팔리아치(Pagliacci)》를 작곡하여 1892년 5월 밀라노에서 공연, 결정적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잇따라 공연한 앞의 두 작품은 실패로 끝났고, 그 후 푸치니와 같은 제재를 다룬 《라 보엠(La Bohème, 1897)》과 《자자(Zazà, 1897)》 등이 인정받았을 정도였다. 출세작이며 대표작인 《팔리아치》는 극중극(劇中劇)을 이용하여 연극의 희극과 현실에 있는 비극을 교묘하게 대조시킨 점, 가슴을 울리는 노래나 탁월한 관현악 효과 등 무대구성이나 극적 효과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54. 말러 (Gustav Mahler 1860∼1911)

 

  오스트리아 작곡가·지휘자. 보헤미아 출생.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체코슬로바키아로 이주하였다. 1869년 김나지움에 입학, 1870년 최초의 피아노 리사이틀을 열었고, 프라하에 가서 음악공부를 계속하였다. 1875년 빈음악원에 입학, 피아노와 화성학을 공부하였다. 20세 때 최초의 대작인 독창·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한탄의 노래》를 완성, 1880년부터는 지휘자로서 활동하였으며 특히 류블랴나·올로모우츠 등의 지방 오페라극장과 카셀·프라하·라이프치히·부다페스트 등의 오페라극장에서도 활동하여, 바그너와 모차르트를 레퍼토리로 삼는 지휘자로서 명성을 떨쳤다. 그리고 그는 이 동안에 《교향곡 제1번》을 작곡했다. 1891년 함부르크시립오페라극장의 수석지휘자에 취임, 휼륭한 가수들과 바그너의 작품을 상연함과 동시에 함부르크관현악단 무대에서도 수많은 교향곡을 다루었다. 이 시기부터 작곡가로서의 활동도 본격화하였고, 1893년 여름 이후 슈타인바흐에서 《교향곡 제2번 부활》 《교향곡 제3번》 등을 작곡했다. 1897년에는 빈궁정오페라극장·빈필하모니의 수석지휘자가 되어, 바그너와 모차르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참신한 연출과 무대장치로 오페라상연을 하였기 때문에 대지휘자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1902년 무명의 여성 작곡가와 결혼하였다. 아내의 도움으로 더욱 힘을 얻은 그는 벨터호반의 마이어니히에 작곡오두막을 만들어놓고 《교향곡 제6번 비극적(悲劇的)》 《교향곡 제7번 밤의 노래》 《교향곡 제8번 천인(千人)의 교향곡》 등의 대작을 완성하였다. 1907년 반유대주의세력에 협공당하자 빈궁정오페라극장을 떠날 결심을 굳히고 뉴욕으로 출발, 그곳에서 메트로폴리탄오페라극장과 뉴욕필하모니의 지휘자로서 연주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휴가철인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는 매년 유럽으로 돌아가, 이탈리아 국경에 가까운 어느 산장에서 말년의 걸작인 6악장의 독창부(獨唱附) 교향곡 《대지(大地)의 노래》와 《교향곡 제9번》 《교향곡 제10번(미완성, 1924년 초연)》을 작곡하였다. 5회에 걸쳐 두 대륙을 오갔던 말러는 과로로 인해 1911년 2월 21일 뉴욕필하모니의 콘서트 후에 쓰러져, 연쇄상구균성 인후폐렴을 치료할 겸 요양을 위하여 파리를 경유, 빈으로 되돌아갔으나 그곳에서 그해 5월 18일 51세로 죽었다. 20세기 작곡기법의 선구자로서, 말러의 10곡에 이르는 교향곡은 빈고전파(古典派)의 전통에 의거함과 동시에 그 전통을 새로운 각도에서 다시 평가하여 참신한 음악적 세계를 개척, A. 쇤베르크 등의 신(新)빈악파에의 길을 열어놓았다.

 

 

55. 드뷔시 [Achille Claude Debussy, 1862.8.22~1918.3.25]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드뷔시의 개성적인 양식은 현상적으로는 선법에 의거, 음색적인 계기를 뚜렷이 표면에 내세워 바로크 후기 이후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기능화성법에 의한 고전적 조성을 극복하고, 나아가서는 주제법·율동법 분야에도 점차 혁신을 가져오게 했다.

 

본문

파리 근교 출생. 어려서 양친을 따라 파리로 나와 1871년 칸에 사는 고모의 주선으로 피아노 교습을 받았다. 파리로 돌아와서는 시인 베를렌의 숙모 모테 부인에게 정식 레슨을 받았으며, 그 덕택으로 1872년 가을 파리음악원에 입학하게 되었다. 1884년 칸타타 《방탕한 아들》로 로마대상을 받았으며, 졸업할 때까지 솔페즈 부문에서 1등상, 피아노 부문에서 2등상, 피아노 반주과에서 1등상 등을 받았으나, 화성법에서는 관습적인 규범에 반발한 이유로 아무 상도 타지 못하였다.

 

한편, 학비를 벌기 위해 여름방학 동안 폰메크 부인의 피아노 반주자로 3년간 러시아와 유럽 각지를 여행, 감수성과 취미를 기르고 바니에 부부와 알게 되어 교양을 쌓았으며, 바니에 부인을 영감을 주는 여성으로 받들어 《만돌린》(베를렌의 시)과 그 밖의 가곡을 작곡하였다.

 

로마 대상의 로마 의무 체류기간 2년을 마치고 파리로 돌아왔다. 로마 유학시절의 작품에는 《봄》과 《선택받은 소녀》(프랑스어로 번역된 로제티의 시에 의함) 등이 있는데, 실제로는 거의 파리에서 작곡된 《선택받은 소녀》는 1893년에 초연되어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겨울에는 《현악 4중주곡》, 이듬해 겨울에는 출세작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등 걸작품을 계속해서 발표하였으며, 그 무렵까지 몇 해 동안은 전에 열중했던 바그너에 대한 비판과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와 가믈란음악의 계시, 말라르메, P.루이스 등 상징파 시인들과의 교우 등이 그의 미학과 작풍의 발효를 촉진시켰다.

 

베를렌의 시세계와의 접촉(가곡집 《화려한 잔치 제1·2집》 등)도 마찬가지 뜻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그 후 앞서 말한 《현악4중주곡》 및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에서 《빌리터스의 노래》(루이스의 시)와 모음곡 《피아노를 위하여》, 관현악을 위한 《녹턴》을 거쳐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1893∼1903)의 완성에서 초연에 이르는 10년간은 드뷔시의 개성적인 양식이 확립·확인된 시기에 해당된다.

 

그 양식은 단적으로 말해서 현상적(現象的)으로는 선법(교회선법·온음음계 등)에 의거, 음색적인 계기를 뚜렷이 표면에 내세움으로써 바로크 후기 이후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기능화성법에 의한 고전적 조성(調性)을 극복하고, 나아가서는 주제법(主題法)·율동법 분야에도 점차 혁신을 가져오게 하였다.

 

음색적 계기를 인상적 계기와 동일시할 수 있는 한 그것은 자주 불려오고 있듯이 인상파의 음악이지만, 이 감각과 이미지(영상)의 음악은 음악학자 쿠르트도 지적한 바와 같이 “수단으로서 가장 현저하게 음향감각적인 것을 두드러지게 하고 있으나 시종 음향을 초월한” 예술로 상징파의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양식을 대표하는 《펠레아스와 멜리장드》가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초월한 보다 새로운 차원에 있는 작품이라고 한다면, 1905년에 작곡된 관현악곡 《바다》는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를 한걸음 더 앞선 작품이다. 《바다》와 그 전후에 작곡된 피아노곡집 《판화(版畵)》, 《영상 1》, 《영상 2》에 의하여 그의 원숙기가 전개되었다. 이것은 피아노모음곡 《어린이의 세계》와 관현악을 위한 《영상 3》(《이베리아》 포함), 가곡집 《프랑스와 비용의 시에 의한 3개의 발라드》, 피아노곡 《전주곡집 1》 등으로 계속 이어졌다.

 

그 후 《전주곡집 2》, 신비극 《성 세바스티안의 순교》와 함께 만년의 자기 완성시기로 들어갔으며, 그것은 다시 새로운 음향형식을 발견하려는 흔적이 엿보이는 발레곡 《유희》, 피아노곡 《12의 연습곡》, 프랑스적 고전주의를 지향하는 3곡의 《소나타》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자기 경신(更新)을 계속 꾀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끊임없는 경신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기에 걸쳐 음악사의 진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던 그는 제1차 세계대전 중 파리에서 암으로 생애를 마쳤다.

 

 

56. 마스카니 [Pietro Mascagni, 1863.12.7~1945.8.2]

 

이탈리아의 작곡가. 순회 오페라단의 작곡가 겸 지휘자로 일하다가 뒤에 음악교사가 되어 체리뇰라에 정착했다. 그의 대표작《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레온카발로의 《팔리아치》와 함께 베리스모(진실주의) 오페라의 대표작의 하나이다.

 

토스카나주(州) 리보르노 출생. 리보르노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1881년 오페라 《제사장(製絲場)에서》로 인정을 받았다. 그 후 밀라노음악원에 입학했으나 1년 만에 그만 두고, 순회 오페라단의 작곡가 겸 지휘자로 일하다가 뒤에 음악교사가 되어 체리뇰라에 정착하였다.

 

1889년 음악출판사의 현상모집에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가 1등으로 당선, 이듬해 초연에서 대성공을 거둠으로써 유명해졌다. 이 작품은 레온카발로의 《팔리아치》와 함께 베리스모(진실주의) 오페라의 대표작의 하나이다. 그 후에도 일본을 무대로 한《이리스》(1898) 등 10여 편의 오페라를 썼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해설

 

작가 베르가의 극을 번안하여 각색한 단막가극으로, 원작의 기분을 잘 살린 작시법(作詩法)은 이 가극에 귀중한 생명을 주고 있다.

1막이긴 하지만 막이 길어서 2장으로 나뉘며, 그 사이에 간주곡이 들어 있다. 초연은 1890년 5월 17일 로마의 코스탄틴 극장이었는데, 그날 밤 극장은 만원이었으며, 개막 전에 서사(序詞)로 유명한 「시칠리아나」가 불려지기 시작하자 청중은 순식간에 감격의 물결에 파묻혀 버렸다고 한다.

줄거리는 시칠리아섬에서 일어난 비극이다. 젊은 농부 투리두가 군대에 나간 동안, 연인 롤라는 마부 알피오와 결혼한다. 전쟁에서 돌아온 투리두는 그것을 알자 돌연 산투짜라는 처녀를 사랑하지만, 그러나 또다시 옛날의 연인 롤라와 사랑을 속삭이게 된다. 이것을 알고 실망한 산투짜는 알피오에게 이 사실을 통고한다. 알피오는 투리두와 결투를 하여 그를 쓰러뜨리고, 산투짜는 스스로 빚은 실연에 고뇌한다.

전주곡과 시칠리아나 아름다운 가락의 전주곡은 가극의 주요 주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환상곡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다. 「시칠리아나」는 하프 반주로 주인공 투리두가 롤라를 찬양하는 세레나데로, 개막 전 무대 뒤에서 부른다.

간주곡 관현악과 오르간의 연주에 의한 간주곡은, 오늘날에는 독립해서 콘서트 프로그램을 장식하고 있다.

 

 

57. 슈트라우스 [Richard Georg Strauss, 1864.6.11~1949.9.8]

 

요약

독일 후기낭만파의 마지막을 대표하는 대작곡가로 《살로메》 등의 오페라와 《돈 후안》 등의 교향시 등을 남겼다. 마이닌겐관현악단의 악장을 비롯하여 뮌헨 ·베를린 ·빈 등지의 각 오페라극장과 유명한 음악제에서 지휘자로 활약하였다.

 

국적 독일

출생지 독일 뮌헨

주요작품 《돈 후안》(1889) 《살로메》(1905) 《장미의 기사》(1911)

 

본문

뮌헨 출생. 아버지 F.슈트라우스도 뛰어난 음악가로서 뮌헨 궁정관현악단의 제1호른 주자 겸 왕립음악학교 교사를 지냈다.

 

부모로부터 음악적 재능을 이어받은 그는 11~16세 때까지 그곳 궁정악장(宮廷樂長) 마이어에게 사사하여 12세 때 《축제행진곡》(작품 1)을 작곡하고 13세 때는 멘델스존의 협주곡과 바흐의 평균율(平均律)을 연주하였다 한다.

 

1882년~83년 뮌헨대학에서 철학과 미학을 공부하고, 쇼펜하우어에 심취하였다. 또 그 사이 자기의 작품을 가지고 빈 ·베를린 등지로 연주여행을 하면서 뷰로와 사귀는 등 그의 재능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84년 《교향곡》(작품번호 12)이 뉴욕필하모니에서 초연되고, 같은해 뷰로의 뒤를 이어 마이닌겐관현악단의 악장에 취임, 지휘자로서도 활동하게 되었다. 브람스에게 재능을 인정받은 것도 이 무렵이다.

 

슈트라우스는 철저한 반(反)바그너주의자였던 아버지의 감화로 바그너를 좋아하지 않았으나 그 후 점차 리스트와 바그너에 심취, 마침내는 열렬한 바그너 신봉자가 되었다.

 

그리하여 오페라에서는 바그너보다 감미로우면서도 관능적인 선율로, 교향시(交響詩)에서는 리스트보다 자유로우면서도 광범한 내용 속에서 자신의 음악을 발전시켜 나갔다.

 

87년에는 소프라노가수이자 자신의 가곡에 대한 가장 뛰어난 해석자가 된 파울리네와 결혼하였다.

 

그 후 그는 뮌헨 ·바이마르 ·베를린 ·빈 등지의 각 오페라극장 지휘자를 역임하였으며, 또 베를린필하모니와 빈필하모니의 지휘도 맡고, 잘츠부르크음악제를 비롯한 유명한 음악제에서도 지휘를 맡았다.

 

1908년 뮌헨 근교에 산장을 짓고 때때로 연주여행을 하는 이외에는 주로 그곳에서 음악 창작에 몰두하였다.

 

슈트라우스의 생애에 오점이라 할 수 있는 비극은, 만년에 그가 나치스정권에 협력한 결과가 된 몇몇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일이었다. 그 때문에 많은 사람으로부터 주의 ·사상을 가지지 못한 사람이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독일 후기낭만파의 마지막을 대표하는 대작곡가로서의 공적은 부인할 수 없다.

 

주요작품으로는 《살로메:Salome》(1905) 《엘렉트라:Elektra》(1909) 《장미의 기사(騎士):Der Rosenkavalier》(11) 등 15개의 오페라, 《돈 후안 Don Juan》(1889)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 《돈키호테 Don Quixote》(98) 《영웅의 생애:Ein Heldenleben》(99) 등을 비롯한 10곡의 교향시, 그리고 수많은 가곡과 약간의 실내악곡 등이 있다.

 

 

58. 시벨리우스 [Jean Sibelius, 1865.12.8~1957.9.20]

 

요약

핀란드의 작곡가로 민족적인 소재를 유럽풍인 지적 묘사로 처리한 작풍이 특징이다. 모교 헬싱키음악원의 교수를 지냈으며 국민적 대서사시 《칼레발라》를 비롯하여 《투오넬라의 백조》, 교향시 《핀란디아》등으로 명성을 떨쳤다.

 

본명 Johan Julius Christian Sibelius

국적 핀란드

출생지 핀란드 헤멘린나

주요작품 《칼레발라》 《투오넬라의 백조》 《핀란디아》

 

본문

본명 Johan Julius Christian Sibelius. 헤멘린나 출생. 9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15세 때부터는 바이올린과 작곡법을 배워 이 무렵부터 점차 음악적 재능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가족들은 음악가가 되려는 그의 희망을 반대하여 1885년 헬싱키대학에 입학, 법률을 전공하는 사이사이 헬싱키음악원에서 베겔리우스에게 음악이론과 작곡을 배웠다. 그 후 음악을 전공하기 위하여 대학을 중퇴하고 당시 음악원 교수로 있던 명피아니스트 부조니에게 사사하였다.

 

시벨리우스는 본래 바이올리니스트가 될 뜻을 품었으나 무대에 서면 상기하는 성격 때문에 연주가를 단념했다는 이야기는 그의 내성적인 성격을 잘 말해 주고 있다.

 

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정부의 장학금을 받아 베를린(1889) ·빈(90)에 유학하고, 빈에서는 브람스를 만나 가곡에 호의적인 평을 받았다. 민족적인 소재를 통속적인 묘사에 빠지지 않고 유럽풍인 지적 묘사로 처리한 그의 작풍은 유학시절에 쌓은 지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92년 모교 헬싱키음악원의 작곡과 바이올린교수가 되고, 작곡면에서는 국민적 대서사시 《칼레발라:Kalevala》에 의한 교향시 《크레르보》 《엔사가》, 모음곡 《칼레발라》 등으로 국외에서도 알려지게 되었다. 이어 《투오넬라의 백조》를 비롯한 《4개의 전설》, 교향시 《핀란디아》 《제1교향곡》 등으로 명성을 얻고 1897년에는 국가에서 종신 연금을 주기로 하여 작곡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아감에 따라 국외로의 연주여행도 많아졌으나, 《제2교향곡》을 완성한 1902년 전후부터 4년간은 귓병으로 고생을 하고 1904년에는 헬싱키 교외의 별장으로 옮겨 여기에서 죽을 때까지 반 은둔생활을 하였다.

 

24년 《제7교향곡》, 이듬해의 교향시 《타피오라》 이후는 거의 작품이 없고, 뇌출혈로 91세의 생애를 마쳤다. 7개의 교향곡 외에도 많은 교향시 ·바이올린협주곡 등이 있고, 《핀란디아》 《투오넬라의 백조》 등이 특히 널리 알려졌다.

 

 

59. 라흐마니노프 [Sergey Rachmaninoff, 1873.4.1~1943.3.28]

 

요약

러시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20세기 초 가장 탁월한 피아니스트의 한 사람이었고 낭만파의 마지막 작곡가이기도 했다. 작풍은 ‘차이코프스키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일종의 회고적 경향을 띠고 있다.

 

원어명 Sergey Vasilyevich Rachmaninoff(Rachmaninov/Rakhmaninov)

국적 러시아

출생지 러시아 노브고로트

주요수상 글린카상(1901)

주요작품 《피아노협주곡 제2번》(1901) 《죽음의 새》(1906)

 

본문

노브고로트 출생.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의 기초를 배우고 그 후 페테르부르크 및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A.실로티에게 피아노를, S.I.타네예프와 A.S.아렌스키에게 작곡을 배웠다. 재학 중에 이미 작곡을 시작하여 졸업하던 해인 1892년에는 가극 《알레코》와 피아노곡 《전주곡(내림마단조)》을 작곡하였다. 졸업 후에는 스크랴빈과 더불어 스베리오프에게 사사하였다. 1893년 평소 사숙하던 차이코프스키가 죽었을 때는 《위대한 예술가의 회상》을 썼다. 1899년 런던에서 피아니스트 ·작곡가 ·지휘자로서의 명성을 얻고, 《피아노협주곡 제2번》(1901)으로 글린카상을 받았으며, 다시 드레스덴에서 교향시 《죽음의 섬》(1909)을 작곡하였다.

 

1909년 미국에 건너가 피아니스트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후 귀국, 1910∼1917년 모스크바극장 및 마린스키극장의 지휘자를 역임하였다. 1917년 러시아혁명이 일어나자 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 연주활동과 작곡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의 패색이 짙어지자 모금연주회를 개최하는 등 구국운동에 앞장서기도 하였다. 그 후 소련 당국의 권유로 귀국준비를 하던 중 발병하여 사망하였다. 20세기 초 가장 탁월한 피아니스트의 한 사람이었으며, 《피아노협주곡》 제2번 및 제3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낭만파의 마지막 작곡가이기도 하였다. 작풍은 ‘차이코프스키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일종의 회고적 경향을 띠고 있다. 작품으로는 피아노곡을 비롯하여 관현악곡 ·가곡 ·합창곡 ·오페라 등 많은 곡들을 남겼다.

 

 

60. 쇤베르크 [1874.9.13~1951.7.13]

 

요약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12음기법의 창안하였고 많은 뛰어난 제자를 육성하였다. 이후 베를린의 예술아카데미의 교수를 지냈고 미국으로 망명하여 작곡활동을 계속 하였다. 《달의 피에로》, 《바르샤바의 생존자》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

 

원어명 Arnold Schönberg

국적 오스트리아

출생지 오스트리아 빈

주요저서 《화성악 Harmonie Lehre》(1911)

주요작품 《달의 피에로 Pierrot lunaire》(작품 21, 1912)

 

본문

빈 출생. 12음기법의 창안으로 20세기 음악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으며, 또 베르크, 베베른 등 많은 뛰어난 제자를 육성, 그들과 더불어 제2차 빈악파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경제적으로 윤택하지 못하여 거의 독학으로 음악의 기초를 닦았다. 초기의 작풍은 연면(連綿)한 주정(主情)의 세계를 묘사하는 후기 낭만파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며, 현악6중주곡 《정화된 밤 Verklärte Nacht》(작품 4, 1899), 교향시 《펠레아스와 멜리잔데 Pelleas und Melisande》(작품 5, 1903) 《구레의 노래 Gurrelieder》(1900∼1911) 등의 작품에서는 바그너와 말러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작풍을 거치고 나서 조성(調性:tonality)의 틀에 박힌 음악에 질식감을 느끼게 된 그는, 마침내 이를 무시하는 방향으로 나가 《3개의 피아노 소품》(작품 11, 1909)에서 조성과 결별하기에 이르렀다. 이 무렵부터 12음기법을 고안하기까지를 ‘무조(無調)시절’이라고도 부르는데, 이 시기에 그는 《관현악의 5개 소품》(작품 16, 1909)과 《달의 피에로 Pierrot lunaire》(작품 21, 1912) 등의 걸작을 내놓았다.

 

12음기법은 조성조직(調性組織)을 대신하는 이론으로서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작품 25, 1921)에서 이룩되었다. 이 무렵부터 비난의 대상이었던 그는 점차 인정받게 되어 1925년에는 베를린의 예술아카데미의 교수로 초청되어 이듬해 베를린으로 이사하였다. 옛 도시 빈에서 나와 자유로운 베를린의 공기를 마시게 된 이 시기에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작품 31, 1928), 미완성 오페라 《모세와 아론 Moses und Aron》(1932)을 작곡하여 그의 충실한 기량을 보였다. 그러나 나치스의 대두와 더불어 유대인이었던 그는 1933년 미국으로 망명하였고, 그 후로는 미국에 영주하였다. 그는 만년에도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히틀러에 대한 분노를 곁들인 《나폴레옹에로의 오드》(작품 41, 1942)와 유대인 대량학살을 소재로 한 《바르샤바의 생존자》(작품 46, 1947) 등은 특히 유명하다. 저서에 《화성악 Harmonie Lehre》(1911) 《작곡 초보자를 위한 범례 Models for Deginners in Composition》(1940), 논문집 《스타일과 아이디어 Style and idea》(1950) 《화성의 구조적 기능 Structural Functions of Harmoney》(1954) 등이 있다.

 

 

61. 크라이슬러[Fritz Kreisler](1875.2.2-1962.1.29)

 

1875. 2. 2 오스트리아 빈~1962. 1. 29 미국 뉴욕 시.

 

오스트리아 태생 미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그 시대의 가장 성공적인 바이올린 거장의 한 사람이며 바이올린 소품들을 작곡한 신비에 싸인 작곡가이다. 7세 때 빈 음악원에 입학했고, 1885년 파리 음악원에서 작곡과 바이올린을 공부했다. 미국 순회 연주(1888~89)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빈으로 돌아와 의학을 공부했다. 그후 파리와 로마에서 미술을 공부했고 오스트리아 육군에서 장교로 복무했다. 1899년 바이올린 연주자로 다시 무대에 복귀했다. 그의 기교는 강한 비브라토와 경제적인 운궁법이 특징이다. 1910년 에드워드 엘가 경이 그에게 헌정한 바이올린 협주곡을 초연했다. 그의 레퍼토리에는 그가 작곡한 소품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는 〈빈 카프리치오 Caprice viennois〉·〈아름다운 로즈마린 Schön Rosmarin〉·〈사랑의 기쁨〉·〈사랑의 슬픔〉 등이 있다. 그의 〈고전 필사본 Classical Manuscripts〉은 비발디, 쿠프랭, 요한 슈타미츠, 파드레 마르티니와 그밖의 작곡가들의 작품들에 대한 편곡집의 형태로 출판되었으나 1935년에는 그 자신의 작품들로 인정되었다.

 

 

 

62. 라벨 [Maurice Joseph Ravel, 1875.3.7~1937.12.28]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고전적인 형식의 틀 활용과 새로운 피아니즘의 개척이라는 두 가지 요인은 일생 동안 지녀온 경향이다. 인상주의 작곡가로 분류하고 새로운 음색법은 드뷔시와 공통이나 윤곽이 명료한 선율선, 규칙적인 프레이즈 구조, 고전적인 형식의 활용이 다른 점이다.

 

국적 프랑스

출생지 프랑스 바스크지방 시부르

주요수상 로마대상 2위(1901)

주요작품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1899) 《물의 장난》(1901)

 

본문

바스크 지방의 시부르 출생. 생후 3개월 때 파리로 이주, 14세 때 파리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아노 ·대위법(對位法) ·작곡 등을 공부하였다. 고전적인 형식의 틀을 활용하는 것과 새로운 피아니즘의 개척이라는 두 가지 요인(要因)은 그가 일생 동안 지녀온 경향으로, 이 경향은 최초의 대표작이라고도 할 수 있는 그의 재학 중의 작품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1899)과 《물의 장난》(1901)에 잘 나타난다.

 

작곡계의 등용문인 로마대상에 1901년에 응모하여 2위로 입상하였으나, 그 후로는 그의 작풍(作風)에 반감을 품은 심사위원회로부터 응모조차 거부당했으며, 이것이 스캔들로 발전, 파리음악원장 사직으로까지 확대되어, 결국 1위는 하지 못했다.

 

그러나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와 《거울》(1905) 등에서 대담한 화성과 음색의 표현법을 확립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이국을 동경하고 환상을 좋아하는 그의 취미는 《셰라자드》(1898), 《박물지(博物誌)》(1906), 《마다가스카르섬의 노래》(1925∼1926) 등의 가곡과, 오페라 《스페인의 한때》(1909), 《어린이와 주문(呪文)》(1920∼1925), 그리고 《스페인광시곡》(1907)과 《볼레로》(1928) 등의 관현악곡과 결부되었다.

 

그는 흔히 드뷔시와 함께 인상주의 작곡가로 분류된다. 사실 새로운 화성어법(和聲語法)과 음역의 확대 등, 새로운 음색법에서 두 사람은 공통점이 있으나, 윤곽이 명료한 선율선(旋律線), 규칙적인 프레이즈 구조, 고전적인 형식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드뷔시와는 다르다. 주요 작품으로 앞에 열거한 것 외에 발레음악 《다프니스와 클로에》(1912), 《마 메르 루아》(1913)와 현악사중주곡 ·피아노곡 《밤의 가스파르》(1918), 《쿠프랭의 무덤》(1917) 등이 있다.

 

 

62-2 레스피기 <Respighl, Ottorino. 1879-1936>

 

1879. 7. 9 이탈리아 볼로냐~ 1936. 4. 18 로마.

이탈리아의 작곡가.

레스피기

 

이탈리아 음악에 러시아 관현악곡의 색채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과감한 화성 기법을 도입했다.

 

볼로냐의 리체오 음악원에서 공부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림스키 코르사코프에게 배웠으며, 그곳 오페라 관현악단의 제1비올라 연주자로 일했다. 레스피기는 외국의 대가 선생들로부터 관현악 색채를 터득했고 관현악곡 작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02년 볼로냐에서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했으며 그해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에서 관현악을 위한 야상곡을 연주했다. 그는 희가극 〈엔초 왕 Re Enzo〉과 오페라 〈세미라마 Semirama〉로 인정받아 1913년 로마의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작곡 교수가 되었다. 1924년 음악원장이 되었고 1926년 퇴임했다.

 

시인 단눈치오가 묘사한 감각적·퇴폐적인 로마의 풍토에 매료당한 그는 유명한 모음곡들인 〈로마의 소나무 Pines of Rome〉와 〈로마의 분수 Fountains of Rome〉에서 미묘하고 다채로운 시인의 상상력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밖의 모음곡들로 〈교회의 창 Vetrate di chiesa〉(1927)·〈새 Gli ucelli〉(1927)·〈로마의 축제 Feste Romane〉(1929),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보티첼리의 병풍화 Trittico Botticelliano〉(1927)가 있다.

 

레스피기는 옛 이탈리아 음악에도 흥미를 갖게 되어 류트곡을 관현악곡으로 편곡한 1쌍의 〈옛 무곡과 아리아 Antique Dances and Arias〉를 썼다. 1919년 디아길레프 러시아 발레단의 런던 공연을 위해 작곡한 〈이상한 가게 La Boutique fantasque〉는 로시니의 작품을 편곡한 것으로서 그의 유명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후년에 로시니의 피아노곡을 편곡한 〈로시니아나 Rossiniana〉(1925)도 발레곡이 되었다.

 

외국에서는 오페라 작곡가로서 별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가장 유명한 오페라는 〈벨파고르 Belfagor〉(1923, 밀라노)와 〈불꽃 La fiamma〉(1934, 로마)을 들 수 있다. 후자는 한스 비어스 옌센의 음울한 노르웨이 비극(영어권에는 존 메이스필드의 〈마녀 The witch〉로 알려짐)을 비잔틴 라벤나 지방의 이야기로 각색하여 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신비극 〈이집트의 마리아 Maria Egiziaca〉(1932)와 유작 〈루크레치아 Lucrezia〉(1937년 아내 엘사에 의해 완성)는 위 작품들과는 다른 차분한 분위기를 풍기며, 〈루크레치아〉에서는 말년에 그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극적 레치타티보에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 Orfeo〉를 편곡하여 1935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공연했다. 아내이자 제자인 엘사 올리비에리 산자코모 레스피기(1894 출생)는 가수이자 오페라·합창곡·교향곡·가곡의 작곡가이기도 했다.

 

63. 버르토크 [Bartok Bela 1881.3.25~1945.9.26]

 

요약

헝가리의 작곡가. 민족적 색채를 기조로 하면서 종래의 조성이나 민요의 음계에 머물지 않고 비상한 긴장력과 밀도 높은 20세기 최대의 걸작들을 썼다. 후기에는 중기의 강도 높은 긴박감이 쇠퇴한 대신 맑고 평명한 스타일을 보였다.

 

원어명 Bartók Béla

국적 헝가리

출생지 헝가리 나지센트미클로슈

주요작품 《현악기 ·타악기 ·첼로를 위한 음악》(1936)

 

본문

나지센트미클로슈 출생. 5세 때부터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10세 때는 자작 피아노소품을 연주할 정도의 음악적 재능을 발휘하였다. 1899년 부다페스트 왕립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아노를 토만(Thomán István)에게, 작곡을 쾨슬러(Koessler János)에게 배웠다. 이 시기에는 F.리스트, J.브람스, W.R.바그너의 영향을 받았으나, 1902년 R.슈트라우스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 Also Sprach Zarathustra》의 초연을 듣고 작곡기법에 관한 깊은 계시를 받았다. 이러한 기법상의 영향과 민족의식의 결정이 이 무렵 작품의 토대가 되어 교향시 《코수트 Kossuth, symphonic poem》(1903) 《랩소디 Rhapsody》(1904) 등이 작곡되었다.

 

1905년부터 코다이와 함께 헝가리민요의 수집을 시작, 조국의 농민음악을 다룬 일련의 작품을 썼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그는 인상파의 화성법, 쇤베르크의 표현주의, 스트라빈스키의 원시주의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독자적인 스타일을 확립해 나갔다. 즉 피아노곡 《알레그로 바르바로 Allegro barbaro》(1911), 발레음악 《허수아비왕자 The Wooden Prince》(1916), 오페라 《푸른수염공작의 성(城) Duke Bluebeard’s Castle》(1911) 등은 이 무렵의 작품으로 그의 명성을 떨치게 한 최초의 작품들이다.

 

그 후 두 곡의 바이올린소나타(1921∼1922)를 작곡한 시기부터는 새로운 작풍을 보이고 있으며, 그는 있는 그대로의 민요를 소재로 한 작법을 지양하고 인상파적인 기법, 쇤베르크의 음렬작법과 민족성이 융합된 독자적 작법을 사용하였다. 이런 그의 작풍은 중기의 첫번째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피아노소나타》(1926)와 《제1피아노협주곡》(1926)에서 잘 구현되었다.

 

버르토크가 익힌 이러한 작법은 민족적 색채를 기조로 하면서 종래의 조성이나 민요의 음계에 머물지 않고 선율에서 사용하는 음과 반주에서 사용하는 음 사이에 공통음을 취하지 않는 방식에서 그의 비상한 긴장력과 밀도 높은 작품들을 낳게 하였으며, 이 밖의 일련의 작품군 제3 ·제4 ·제5현악 4중주곡(1927, 1928, 1934), 《현악기 ·타악기 ·첼로를 위한 음악》(1936) 등 20세기 최대의 걸작들을 쓰게 한 것이다.

 

1930년대 후반 버르토크는 가중되는 나치즘의 압박을 피해 1940년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그 후의 미국 생활이 그의 후기로 구분되며, 이때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43) 《무반주 바이올린소나타》(1943) 등을 작곡하였다. 이들 작품에서는 중기의 강도 높은 긴박감이 쇠퇴한 대신 맑고 평명(平明)한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뉴욕에서 가난과 백혈병으로 불행한 만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64. 스트라빈스키 [1882.6.17~1971.4.6]

 

요약

러시아 출신의 미국 작곡가. 발레곡《불새》, 《페트루슈카》 로 성공을 거두고 그의 대표작《봄의 제전》으로 당시의 전위파 기수로 주목 받았다. 제1차 대전 후에는 신고전주의 작풍으로 전환하였으며 종교음악에도 관심을 보였다.

 

원어명 Igor Fëdorovich Stravinsky

국적 미국

출생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주요저서 《음악의 시학 Poetics of Music》

주요작품 《봄의 제전 Le Sacre du printemps》(1913)

 

본문

페테르부르크 출생. 양친의 권유에 따라 페테르부르크대학에서 법률을 전공하면서 N.A.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작곡 개인지도를 받았다. 1908년 관현악곡 《불꽃 Feu d’artifice》으로 러시아발레단의 디아길레프에게 인정을 받고, 그의 의뢰로 발레곡 《불새 L’oiseau de feu》(1910)·《페트루슈카 Petrushka》(1911)를 작곡하여 성공을 거둠으로써 작곡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그 후 제3작인 《봄의 제전 Le Sacre du printemps》(1913)은 파리악단에서 찬반 양론의 소동을 일으켰으나, 그는 이 곡으로 당시의 전위파 기수의 한 사람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이 곡은 혁신적인 리듬과 관현악법에 의한 원시주의적인 색채감, 그리고 파괴력을 지닌 곡으로 앞의 2곡과 함께 이 시기의 그의 대표적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러시아혁명으로 조국을 떠난 그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신고전주의 작풍으로 전환하였으며, 발레곡 《풀치넬라 Pulcinella》(1919)·《병사 이야기 Histoire du soldat》(1916)·《결혼 Les noces》(1912∼1923) 등의 작품에 그의 새로운 작풍이 나타나 있다. 고전파와 바로크스타일의 정신을 부흥시키려고 한 음악풍조는 제1 ·2차 세계대전 사이에서 유럽음악의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는 이 시기의 풍조에 선도적 역할을 했으며, 오페라 오라토리아인 《오이디푸스왕 Oedipus Rex》(1927)과 《시편교향곡 Symphony of Psalms》(1930) 등을 통해 이 작풍의 완성을 보았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1945년 미국으로 망명, 귀화하였다. 그는 한때 침체기를 거쳐 《3악장의 교향곡 Symphony in 3 Movements》(1945)과 《미사 Mass》(1948) 등으로 재기, 다시 제2의 전기(轉機)를 맞이하였다. 이는 이미 쇤베르크일파가 취해 온 음렬작법(音列作法)으로부터 12음작법(音作法)으로 갈라지는 분기점이었으며, 《칸타타 Cantata》(1952)에서 시작하여 《아곤 Agon》(1957)과 《트레니 Threni》(1958) 등의 시도로 차차 엄격한 12음작법을 구사하였다.

 

그 이후로는 종교음악에 관심을 두어 《설교, 설화 및 기도 a Sermon, a Narrative and a Prayer》(1961), 칸타타 《아브라함과 이삭 Abraham and Isaac》(1963), 합창곡 《케네디의 추억을 위하여 la mémoire de Kennedy》(1965) 등의 작품을 남겼다. 저서로는《내 생애의 연대기 Chronicle of My Life》(1935)와 그가 하버드대학에서 강연한 것을 정리한 《음악의 시학 Poetics of Music》 등이 있다.

 

 

65. 프로코피예프 [Sergei Sergeevich Prokofiev, 1891.4.23~1953.3.5]

 

요약

소련의 작곡가. 러시아혁명을 계기로 1918년 미국에 망명, 오페라 《3개의 오렌지에의 사랑》 등을 발표한 후 유럽으로 건너가《피아노협주곡 제3번》등 많은 곡을 작곡하였다. 소련의 여러 차례에 걸친 귀국 종용으로 조국으로 돌아가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교향곡 제5번》 등을 완성하였다.

 

본문

예카테리노현 손초프카(현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 출생. 아버지는 유대인 대지주이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음악과 친숙해져 5세 때 《인도풍(風)의 갤럽》을, 9세 때 피아노반주가 딸린 오페라 《거인》을 작곡하였다.

 

1904년 페테르부르크음악원에 입학, A.K.리아도프, A.N.체레프닌, N.A.림스키코르사코프 등에게 사사하여 작곡·음악이론·피아노·지휘 등을 배우고 1914년에 졸업하였다. 이 사이에도 《제1피아노협주곡》을 비롯하여 많은 곡을 작곡하였으며 또 1908년에는 ‘현대음악의 저녁’이라는 모임에 참여하여 이때부터 유럽 근대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다.

 

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런던에서 S.P.디아길레프에게 발레음악 작곡을 권유받아 귀국 후 《알라와 롤리》를 작곡하였으나 이 작품은 상연되지 않은 채 《스키타이모음곡》으로 개작되었다. 러시아혁명을 계기로 1918년 미국에 망명, 오페라 《3개의 오렌지에의 사랑》 등을 발표한 다음 유럽으로 건너가 유명한 《피아노협주곡 제3번》을 포함한 많은 곡을 작곡하였다.

 

1933년 소련의 여러 차례에 걸친 귀국 종용으로 조국으로 돌아가 당국의 비판을 받아가면서도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교향곡 제5번》 등을 완성하고, 스탈린의 사망과 같은 해에 죽었다. 작풍은 초기의 원시적인 격렬함에서 점차 고전적 경향으로 이행하여 감미롭고 간소한 스타일을 취하였다. 8개의 오페라, 7개의 발레, 각 10곡의 교향곡과 협주곡 외에도 많은 작품을 남겼다.

 

 

66. 오르프 [Carl Orff, 1895.7.10~1982.3.29]

 

요약

독일의 작곡가 겸 지휘자이자 교육가로 킨터와 함께 음악과 체육을 결합시키는 데 힘썼으며 음악교육부에서 교편을 잡았다. 대표작 《카르미나부라나 Carmina Burana》등을 작곡하여 독자적 작풍을 확립하였다.

 

국적 독일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독일 뮌헨

주요작품 《카르미나부라나》 《안티고네》 《아프로디테의 승리》

 

뮌헨 출생. 1914년 뮌헨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각지에서 지휘활동을 하다가 1921년 H.카민스키에게 사사, 그 영향으로 르네상스와 바로크음악에 흥미를 가졌다. 1924년부터는 킨터와 함께 음악과 체육을 결합시키는 데 힘썼으며, 또 E.J.달크로즈의 교육노선에 따라 1935년까지 음악교육부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때의 경험을 토대로 음악교육용의 독특한 작품 《슐베르크 Schulwerk》를 출판하고 1937년에는 대표작의 하나인 《카르미나부라나 Carmina Burana》를 작곡하여 독자적 작풍을 확립하였다. 1943년 《카툴리 카르미나》를 발표하고 이후 《안티고네》 《아프로디테의 승리》 등 그리스 비극을 제재로 한 많은 작품을 썼다.

 

그의 작풍은 리듬을 중시하여 타악기를 많이 이용하고, 거기에다 단순 명쾌한 유니즌(unison)과 5회 반복의 선율을 사용하여 힘차고도 원시적인 효과를 냈다. 1950∼1960년에는 뮌헨대학교에 있었다.

 

 

67. 거슈윈 [George Gershwin, 1898.9.26~1937.7.11]

 

요약

미국의 작곡가. 대중적인 경음악을 작곡하면서 재즈기교에 의한 수준 높은 관현악곡과 오페라를 창작하여 새로운 측면을 개척했다. 고전음악과 경음악을 조화시킨 관현악곡, 오페라 외에도 많은 통속 희가극과 대중음악, 영화음악을 작곡했다.

 

국적 미국

활동분야 음악

출생지 미국 뉴욕

주요작품 《랩소디 인 블루》(1924) 《포기와 베스》(1935) 등

 

본문

뉴욕에서 태어났다. 대중적인 경음악을 작곡하면서 재즈기교에 의한 수준 높은 관현악곡과 오페라를 창작하여 새로운 측면을 개척하였다. 소년시절 개인교사에게 피아노와 화성학을 배우고 16세 때 고등학교를 중퇴, 음악출판사의 피아니스트로서 작곡을 시작하였다. 19세 때부터는 극장 전속 피아니스트로 근무하였으며, 21세 때에는 《스와니》를 발표하여 히트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인기를 모아 리뷰나 쇼의 일류 작곡가가 되었으며, 1924년(26세) 폴 화이트먼이 위촉한 재즈의 기법을 따른 피아노협주곡 《랩소디 인 블루》를 내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고전음악과 경음악을 조화시켜 관현악곡 《파리의 미국인》(1928) 《피아노협주곡 F장조》(1925) 및 오페라 《포기와 베스》(1935) 등의 본격적인 작품 외에도 많은 통속 희가극과 대중음악, 영화음악을 작곡하였는데 뇌종양이 발병해 39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68. 쇼스타코비치 [Dmitrii Dmitrievich Shostakovich, 1906.9.25~1975.8.9]

 

러시아의 작곡가. I.F.스트라빈스키의 원시주의, A.베르크의 표현주의 작품들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운동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썼다. 그는 뛰어난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다.

 

국적 러시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페테르부르크

주요수상 쇼팽 국제콩쿠르 2위(1927), 제1회 스탈린상(1940)

주요작품 《피아노5중주곡》(1940) 《제7교향곡》(1942) 《10의 시》(1951)

 

본문

페테르부르크 출생. 여러서부터 페테르부르크음악원 출신의 피아니스트인 어머니에게 피아노의 기초를 배우고, 11세 때 글랴세르의 음악학교에 들어가 정규의 작곡공부를 시작하였다. 러시아혁명 후인 1919년에는 페트로그라드음악원에 입학, L.니콜라이에프에게 피아노를, M.시타인베르크와 A.K.글라주노프에게 작곡을 배우고 25년에 졸업하였다. 졸업작품인 《제1교향곡》은 소련뿐 아니라 세계 악단에 그의 이름을 떨치게 하였다.

 

당시 페테르부르크에는 유럽의 새로운 경향의 음악, 즉 I.F.스트라빈스키의 원시주의, A.베르크의 표현주의 작품들이 한창 연주되었으므로, 그도 그들의 작품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이 시기의 작품에 《제2교향곡》(27) 《제3교향곡》(29), 그리고 《피아노·트럼펫과 오케스트라의 협주곡》(33) 《피아노전주곡집》, N.V.고골리에 의한 오페라 《코》(30), 발레 《황금시대》(30) 등이 있다.

 

한편 이 무렵부터 예술에서 이른바 사회주의 리얼리즘운동이 전개되었는데, 그가 34년에 발표한 《므첸스크의 맥베스부인》이 공산당의 예술운동에 역행한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았다. 창작에 대한 이러한 간섭은 당연히 문제가 되었으나, 그는 이 비판을 견디어 내고 작풍을 전환하여 37년의 《제5교향곡》으로 명예를 회복하고, 40년 《피아노5중주곡》으로 제1회 스탈린상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페테르부르크에서 방공감시원으로 종군하였고, 1942년 《제7교향곡》으로 다시 스탈린상을 받았다. 그러나 대전 후인 1945년에 발표한 《제9교향곡》은 그 경묘한 내용과 신고전적 작풍 때문에 “타락한 유럽 부르주아지의 형식주의에의 추종”이라는 공격을 받았다. 즉 ‘지다노프 비판’이다. 그러나 49년의 오라토리오 《숲의 노래》와 51년의 합창모음곡 《10의 시(詩)》로 인기를 회복하고 또다시 스탈린상을 받았다. 그는 뛰어난 피아니스트이기도 하여 1927년 쇼팽 국제콩쿠르에서 2위를 차지하였다.

 

1937∼1941년에는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1943∼1948년에는 모스크바음악원의 작곡교수를 지냈다. 작품에 15곡의 교향곡 외에 현악4중주곡을 비롯, 기악곡·오페라·오라토리오·발레음악·영화음악 등 많은 걸작을 남겼다.

 

 

69.  안익태 [安益泰, 1906.12.5~1965.9.16]

 

요약

한국의 작곡가·지휘자. 1936년에 《애국가》를 작곡했다. 마욜카교향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지냈다. 문화포장을 받았으며 사후 문화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출생지 평양

주요수상 문화포장(1957), 문화훈장 대통령장(1965)

주요작품 《강천성악(降天聖樂)》 《한국환상곡》 《애국선열추도곡》

 

본문

평양(平壤) 출생. 평양 숭실학교(崇實學校) 재학 중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가담, 퇴학당한 뒤 일본에 건너가 중학을 마치고 구니타치[國立]음악학교에 들어가 첼로를 배웠다.

 

1932년 미국 필라델피아 커티스음악학교에 입학, 첼로와 작곡을 배우는 한편 신시내티교향악단의 제1첼로 주자로 활약하였다. 그 무렵 스토코프스키와 교분을 맺었으며 필라델피아의 카네기리사이틀홀 등에서 독주회를 열어 호평을 받았다.

 

1934년 헝가리로 건너가 도야니에게 작곡을 배우며 민족주의정신과 기법에 영향을 받았다. 이듬해 빈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에게 주로 지휘법을 사사하고 1936년에는 몇년 전 미국에서부터 착상해 왔던 《애국가》를 작곡했다.

 

1940년까지 슈트라우스의 보조지휘자로 있다가 그 이후부터는 독일에서 독자적 지휘활동을 하고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에스파냐 여인과 결혼, 에스파냐 국적을 얻고 마드리드 마욜카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가 되었으며 영국·이탈리아·미국 등의 저명한 교향악단을 객원 지휘하기도 하였다.

 

1957년 귀국하여 자작곡 《강천성악(降天聖樂)》 《한국환상곡》 등을 지휘하고 61년 다시 귀국하여 국제음악제를 개최토록 하였으며 1963년까지 3회에 걸쳐 주관하였다. 후기낭만파에 속하는 지휘자로서 베토벤, 브람스, 드보르자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의 작품을 즐겨 지휘했다.

 

1965년 에스파냐에서 병사. 1957년 문화포상을 받았으며 65년 문화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작품에 《애국선열추도곡》 등 다수가 있다.

 

 

70. 메시앙 [Olivier Messiaen, 1908.12.10~1992.4.27]

 

요약

프랑스의 작곡가. 당시 성행하던 신고전주의적 추상미를 추구하는 경향에 반대해 현대에 ‘살아 있는 음악’을 창조하고, 음악을 인간과의 깊은 관계 속에서 찾으려 하는 공통된 목적에 따라 실험적인 작곡활동을 했다.

 

국적 프랑스

출생지 프랑스 아비뇽

주요저서 《나의 음악어법》(1942)

주요작품 《튀랑갈리라교향곡》(1948) 《5개의 르샹》(1948)

 

본문

아비뇽 출생. 파리음악원에서 M.뒤프레, P.뒤카에게 사사하고 1936년 ‘젊은 프랑스’를 결성, 당시 성행하던 신고전주의적인 추상미를 추구하는 경향에 반대하여 현대에 ‘살아 있는 음악’을 창조하고, 음악을 인간과의 깊은 관계 속에서 찾으려 하는 공통된 목적에 따라 작곡활동을 하였다. 1942년 모교의 교수가 되고, 1944년에는 자신의 작곡법을 종합하여 《나의 음악어법》을 펴내 작곡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은 오늘날까지 현대 음악어법에의 귀중한 길잡이가 되고 있다.

 

1949년에는 피아노곡 《음가(音價)와 강도(强度)의 모드》 《뇜 리트미크》를 발표하였는데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중요한 작법인 ‘뮈지크 세리에르’의 출발점이 되어 브레즈 ·쉬토크하우젠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 1952년에는 파리방송국에서 뮈지크 콩크레트에도 손을 대어 《음색=지속(持續)》을 제작, 전위적인 활동을 하였다. 그 창작의 근원은 가톨리즘에 있는데, 오르간곡 《주의 강탄(降誕)》(1935) 《세상의 종말을 위한 4중주곡》(1941), 피아노곡 《아멘의 환영》(1943) 《아기 예수님을 바라보는 20개의 눈매》(1943) 등에 그 경향이 뚜렷하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이교적 엑조티시즘을 소재로 한 가곡집 《아라위, 사랑과 죽음의 노래》(12곡, 1945) 《튀랑갈리라교향곡》(1948), 합창곡 《5개의 르샹》(1948) 등 실험적인 작품을 작곡하고, 새소리를 악보에 채택한 피아노의 오케스트라 《새들의 눈뜸》(1952), 관현악곡 《이국의 새들》(1955∼1956), 피아노곡 《새의 카탈로그》(1956∼1958) 등을 작곡하였다. 그 후에도 실내악 《7개의 하이카이》(1963), 합창과 오케스트라 《주의 변용》(1969) 등을 작곡하였다.

 

  

71. 바버 [Samuel Barber, 1910.3.9~1981.1.23]

 

미국의 작곡가. 작풍은 대체로 온건한 편이지만 미국의 현대생활을 반영한 기지와 신선미를 찾아볼 수 있다.

 

국적 미국

활동분야 음악

출생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체스너

주요작품 《1악장의 교향곡》(1936) 《현악을 위한 아다지오》(1936) 《관현악을 위한 에세이》(1937)

 

펜실베이니아주(州)의 웨스트체스터 출생. 커티스음악학교를 졸업한 1932년에 서곡 《욕지거리 학교》로 인정을 받고, 1935년 로마에 유학하였다. 로마 체류 중에 그의 초기의 대표작 《1악장의 교향곡》(1936) 《현악을 위한 아다지오》(1936)를 작곡하였으며, 1937년에 작곡한 《관현악을 위한 에세이》는 토스카니니에 의해 초연(初演)되었다. 그의 작풍은 대체로 온건한 편이지만 그 속에 미국의 현대생활을 반영한 기지와 신선미를 찾아볼 수 있다. 그 밖의 주요작품에 《바이올린협주곡》 《제2교향곡》(1944), 오페라 《바네사》(1958) 《안토니오와 클레오파트라》(1966), 그리고 발레음악 《미디아》(1946) 등이 있다.

   

   

72. 윤이상 [尹伊桑, 1917.9.17~1995.11.4]

 

요약

작곡가. ‘서양현대음악 기법을 통한 동아시아적 이미지의 표현’ 또는 ‘한국음악의 연주기법과 서양악기의 결합’이라는 평을 받았다. 독일에 귀화하여, 72년 뮌헨올림픽 개막축하 오페라에서 연주한 《심청》, 《나비의 꿈》,《광주여 영원하라》등의 작품이 있다.

 

출생지 경남 통영

주요작품 《7개의 악기를 위한 음악》(1959) 《광주여 영원하라》(1981)

 

본문

경남 통영 출생. 통영에서 서당과 보통학교 과정을 수료하고 1935년 오사카[大阪]음악학교에 입학, 1937년 귀국하였다. 통영여고 ·부산사범학교 교사를 역임하고 56년 프랑스로 가 파리국립음악원에서 수학하였다. 59년 독일에서 열린 다름슈타트음악제 때 쇤베르크의 12음계 기법에 한국의 정악(正樂) 색채를 담은 《7개의 악기를 위한 음악》을 발표, 유럽음악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1967년 동베를린공작단사건에 연루되어 서울로 강제소환, 2년간의 옥고를 치뤄야만 했으나, 세계음악계의 구명운동을 힘입어 풀려났다.

 

71년 독일에 귀화하고, 72년 뮌헨올림픽 개막축하 오페라에서의 《심청》을 비롯, 옥중에서 작곡한 《나비의 꿈》(68), 광주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광주여 영원하라》(81), 북한국립교향악단이 초연한 칸타타 《나의 땅 나의 민족이여》(87), 광주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분신한 사람들의 넋을 추모한 《화염에 휩싸인 천사와 에필로그》(94) 등 15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서양현대음악 기법을 통한 동아시아적 이미지의 표현’ 또는 ‘한국음악의 연주기법과 서양악기의 결합’이라는 평을 받았으며, ‘범민족통일음악회’의 산파(産婆) 역할도 하였다.

 

73. 클라크, 키스 / Clark, Keith(1927- )

 

생몰년 : 1927년 11월 21일, 그랜드래피즈(미국)

악기 : 트럼펫, 코넷, 지휘

 

출신교 : 인터로켄 시의 내셔널 뮤직 캠프

사사 : 로이드 가이슬러, 어맨드 기타라

 

데뷰년 : 1936년, 우드 방송에서 트럼펫 솔로

주요 레퍼토리 : 미국 및 그 밖의 브라스 밴드 뮤직

주요 레이블 : 미국 RCA

직위 : 에디슨 커뮤니 티 칼리지 교수

 

트럼펫 주자인 동시에 몇 안 되는 코넷 주자이기도 하다. 9세 때 방송으로 데뷔했다. 1942년 그랜드래피즈 교향악단의 수석 트럼펫·코넷 주자를 역임하고 이후에는 미국 내의 여러 브라스 밴드에서 객연했다. 지휘자로서는 휴스턴 칼리지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66∼80년).(노모토 이사오)

 

 

 

 

 

 

 

 

4. H. V. Karajan Best Classic CD Collection

(CD.No)

A. Vivaldi(1678-1741, 이태리) <The Four Seasons> 11

The Spring op.8, No.1/1.2.3

The Summer op.8, No.2/4.5.6

The Autumn op.8, No.3/7.8.9

The Winter op.8, No.4/10.11.12

G.F. Handel(1685-1759, 독일/영국)

<Suite-Water Music No.2>

<Suite-Royal Fireworks music>

<Concerti grossi op. 6-1> 27

 

J.S.Bach(1685-1750.독일) Brandenburg Concertos No.1,2,3,5 2

Concerto No. 1 in F major, BWV 1046. Allegro, Adagio, Allegro, Menuetto

Concerto No. 2 in F major, BWV 1047 Allegro, Andante, Allegro assai

Concerto No. 3 in G major, BWV 1048 Allegro moderato, Allegro, Allegro

Concerto No. 5 in D major, BWV 1050 Allegro, Affettuoso, allegro

 

F.J. Haydn(1732-1809,오스트리아)

Symphony No. 94 in G major, 'Surprise' 28

Symphony No.100 in G major, 'Military'

 

W.A. Mozart(1756-1791오스트리아)

Symphony No. 40 in g minor, K.550

Symphony No. 41 in C major, K.551 'Jupiter' 4

Serenade in G major "Eine Kleine Nacht Musik" K.525 13

Horn Concerto No. 1, 2, 13

Horn Concerto No.3 in Eb major K.447 13

Piano Concerto No. 20 in d minor, K 466 22

Piano Concerto No. 26 in D major, K.537 'Coronation' 22

 

L.v.Beethoven(1770-1827. 독일)

Symphony No. 6 in F major, op. 68 "Pastoral" 1

Overture "Leonore" No. 3 in C major 1

Symphony No. 5 in C minor, op. 67 'The Destiny' 3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major, op. 73 'Emperor' 3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12

Piano Sonata No. 8 op. 13 'Pathetique' 21

Piano Sonata No. 14 op. 27-2 'Moonlight' 21

Piano Sonata No. 23 op. 57 'Appassionata' 21

 

G.A. Rossini(1792-1868, 이태리) <William Tell> 20

 

F. Schubert(1797-1828, 독일)

Symphony No.8 in b minor, D.759 'Unfinished' 14

1. Allegro moderato

2. Andante con moto

Impromptus op. 90-2, Allegro

Impromptus op. 90-4, Allegretto

'Moments musicaux' op. 94-3 D. 780

Piano Quintet in A major, op.114 D.667 'The Trout' 23

String Quartet No.14 in d minor, D 810 'Death and Maiden'

 

L. H. Berlioz(1803-1869,프랑스)

Symphonic Fantastique in C major OP.14a 9

 

 

F. Mendelssohn(1809-1847,독일)

Symphony No. 3 in a minor, op.56 'Scottish' 8

Symphony No. 4 in A major, op.90 'Italian' 8

Violin Concerto in e minor op. 64 24

 

F. Chopin(1810-1849, 폴란드)

Impromptus op. 29, Allegro assai 17

36, Andantino

51, vivace

66, Allegro agitato

Nocturne No. 2, 9-2 Andante 17

5, op. 15-2 Larghetto

Ballade No. 1 op. 23 17

Polonaise No. 3 'Militaire' op. 49-1 17

6 'Heroique' op. 53

'Grande valse brillante' op.18 17

Waltz, op. 34-1, 34-2 17

Piano Concerto No. 1 in e minor op. 11 25

Piano Sonata No. 2 in b flat minor op. 35

 

R. Schumann(1810-1856, 독일)

Symphony No. 1 in B flat major, op. 38 'Spring' 18

3 in E flat major, op. 97 'Rheinsche'

 

F. Liszt(1811-1886,헝가리)

Piano Concerto No. 1 in E flat major 16 Hungarian Rhapsody No. 1, 2, 6

 

R.Wagner(1813-1883, 독일)

Tanhauser, Overture 30

Overture, Die Meistersinger

 

J. Straus(1825-1899,)

<Voice of spring, Waltz>, 27

<Kaiserwalzer>

 

J.Brahms(1833-1897, 독일)

Symphony No. 1 in c minor, op. 68 6

'Ungarische Tanze' No. 5

'Akademische Festival - Overture, op. 80

 

G. Bizet(1838-1875, 프랑스) <Carmen Suite> 30

 

M.P.Musorgsky(1839-1881,러시아) 'Pictures at an Exhibition' 10

 

P.I.Tchaikovsky(1840-1893, 러시아)

Ballet Suite from 'The Swan Lake' op. 20 5

Ballet Suite from 'The Nutcracker' op. 71 5

Ballet Suite 'The Sleeping Beauty' op. 66 24

Italian Capriccio, op. 45 5

Symphony No. 6 in b minor, op. 74 'Pathetique' 15

Overture 1812, op. 49

Piano Concerto No. 1 in b flat minor, op. 23 19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35

Ballet Suite 'The Sleeping Beauty' op. 66 24

 

A. Dvorak(1841-1904, 체코)

Symphony NO.9 in E minor, OP.95 "From the new world" 7

(1. Adagio 2. Largo 3. Molto vivace 4. Allegro con brio)

 

Cello Concerto in b minor op. 10 26

 

E.H.Grieg(1843-1907,노르웨이)

'Peer Gynt' Suite No. 1 op. 46 29

2 op. 55

Holberg Suite op. 40

 

P. Sarasate(1844-1908, 스페인) <Zigeunerweisen op. 20> 30

 

N.A.Rimskii-Korsakov(1844-1908,러시아)

Symphonic suite op. 35 'Scherazade' from '1000 & 1 Night' 20

 

C.A. Debussy(1862-1918, 프랑스)

La Mer, 3-Esquisses Symphoniques 26

 

J. Sibelius(1865-1957, 핀란드)

Tone Poem "Finlandia" OP.26

Tone Poem "The swan of Tuonela" OP.22-3 7

M. Ravel(1875-1937, 프랑스) <Bolero> 10

 

 

 

 

5. 클래식 명곡 100선

 

1 즉흥 환상곡 C샤프 단조작품66 백혜선

2 엘비라 마디간 피아노 협주곡 모짜르트

3 남몰래흘리는 눈물 Luciano Pavarotti

4 멘델스존바이올린협주곡1.2악장 정경화(Classic)

5 플룻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타 Bach(바흐)

6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 Bach(바흐)

7 오보에 협주곡 1악장 마르첼로

8 호두까기인형-행진곡 차이코프스키

9 사계 중 겨울 비발디

10 토카타와 푸가 D장조, BWV565 /바하 classic 순수

11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K.52.. classic 순수

12 죽은 왕녀을 위한 파반느 /라벨 classic 순수

13 왈츠 미뉴엣 64의 1 /쇼팽 classic 순수

14 달빛 /드뷔시 classic 순수

15 만돌린 협주곡 C장조 RV425 알레그로.. classic 순수

16 악흥의 순간 /슈베르트 Schubert, Franz

17 오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조수미

18 Lascia ch`io pianga(울게 하소서) 신영옥

19 알비노니: 아다지오g장조 Inessa Galante

20 카치니: 아베마리아(오르간 반주/라이.. Inessa Galante

21 Rhapsody in Blue (랩소디 인 블루) 거쉬인

22 Light Cavalry (Leichte Kavallerie) 쥬페

23 Blue Danube Waltz, Op. 314 스트라우스

24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OP.11단조-.. 천국의 계단 OST

25 Largo al factotum from The Barber .. 로시니

26 Largo 바하

27 La Campanella (라 캄파넬라) 리스트

28 Nutcracker: Waltz Of The Flowers (.. 101 Great Orchestral Classics

29 생명의 양식 (Panis Angelicus) 정세훈

30 모차르트 디베르티멘토 D장조, 1악장.. CarClassics

31 Norma:Act 1 - Casta Diva (태평양 .. Maria Callas

32 Pie Jesu Faure, Gabriel

33 트로이메라이 / 슈만 슈만

34 노래의 날개위에-피아노 / 멘델스존 Mendelssohn, Felix

35 아름다운 로즈마린 / 크라이슬러 Best Classics 200

36 축배의 노래 - 라 트라비아타 中 온니.. 베르디

37 피아노 협주곡1번 1악장 / 차이콥스키.. Tchaikovsky, Peter Ilyich

38 아라베스크 / 드뷔시 드뷔시

39 위풍당당행진곡 1번 / 엘가 Elgar

40 호두까기인형-요정의춤 / 차이콥스키 Tchaikovsky, Peter Ilyich

41 무반주 첼로조곡1번-프렐류드 / 바하 Bach, Johann Sebastian

42 캐논 / 파헬벨 Pachelbel, Johann

43 반짝반짝작은별 / 모차르트 Mozart, Wolfgang Amadeus

44 G선상의 아리아 / 바하 Bach, Johann Sebastian

45 소나타5번 봄 1악장 - 바이올린 / 베.. Beethoven, Ludwig van

46 월광 소나타 1악장 / 베토벤 Beethoven, Ludwig van

47 투우사의 노래 - 카르멘 중(비제) Best Classics 200

48 탄호이저(바그너) Best Classics 200

49 핀란디아 Finlandia(시벨리우스) Best Classics 200

50 슬라브 무곡 Op 46-8(드보르작) Best Classics 200

51 환상교향곡 2악장 왈츠 / 베를리오즈 Best Classics 200

52 사랑의 기쁨 / 크라이슬러 Kreisler, Fritz

53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제3번 <달빛.. 꿈결속의 멜로디

54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작품 492 서.. 모짜르트

55 교향곡 40번 G단조 작품 550 1악장 .. 모짜르트

56 Piano Concerto No.5 E Flat Major,.. Emil Gilels

57 Chopin Waltz In B Minor (쇼팽 왈츠.. Various Artists

58 Chopin Prelude In E Minor,Op.28-4.. Various Artists

59 푸치니:라보엠(La Boheme)-그대의.. Luciano Pavarotti

60 하이든:트럼펫 협주곡 Eb장조/Vacl.. Vaclav Brezina

61 보리수(겨울나그네-슈베르트)/로베르.. Various Artists

62 Symphony No. 3 in E-flat Op. 55,`.. Various Artists

63 Sym No. 5- 1 - Allegro con brio Various Artists

64 땅벌의 비행/림스키코르사코프 Various Artists

65 차이코프스키:(사계) 중 10월 `가을.. Valery Vishnevsky

66 쇼스타코비치:The Second Waltz (재.. Amsterdam Studio Orchestra

67 파가니니:라 캄파넬라 (La Campanel.. Jan Stanovsky

68 파가니니: 기타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 Various Artists

69 Elgar: Salut D′Amour, Op.12 Edward William Elgar (엘가)

70 J.S. Bach:: Air (Suite No.3 In D m.. 장영주

71 Chopin:: Nocturne In D flat major,.. 임동혁

72 Tchaikovsky:: Valse-scherzo Op.34 David Oistrakh

73 베토벤:: 로망스 제2번, 작품50 Arthur Grumiaux

74 Chopin:: Introduction And Polonais.. Mstislav Rostropovich

75 바흐/칸타타 BWV140 ″눈뜨라고 부르.. Various Artists

76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2번.. Various Artists

77 모차르트:: 교향곡 제40번 G단조 -- .. Various Artists

78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랩소디 (제.. Various Artists

79 베토벤:: 그대를 사랑해 Various Artists

80 슈베르트:: 아르페지오네 소나타-1악.. Various Artists

81 Faure:: Apres Un Reve Op.7 No.1 장한나

82 Faure:: Sicilienne Op.78/80 장한나

83 Rachmaninov:: Vocalise Op.34 No.14 장한나

84 Sarasate:: Zigeunerweisen Anne-Sohpie Mutter

85 현을 위한 아다지오 London Baroque Soloists

86 크라이슬러::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 Various Artists

87 푸치니:: 투란도트 중 공주는 잠 못 .. Various Artists

88 Boccherini:: Minuetto 복케리니

89 Saint-Saens:: ″The Swan″ From Ca.. Yo-Yo Ma

90 베르디;여자의 마음(리골레토) Various Artists

91 갈색머리의 소녀 / 드뷔시 Various Artists

92 마스카니: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 Various Artists

93 차이코프스키: F장조 무언가 Various Artists

94 오르프: 까르미나 부라나(Carmina Bu.. Various Artists

95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8번′비창′ 중.. Various Artists

96 클라크: 트럼펫 볼룬터리(Trumpet Vo.. Various Artists

97 마스네-타이스의 명상곡 Various Artists

98 No.3 Haydn-Sonata D Major Hob XVI-.. Various Artists

99 브루크뮐러:야상곡-리차드 용재 오닐(Richard Yongjae O`Neill)

100 오펜바흐:자클린느의 눈물

 

 

 

5. 오라토리오(Oratorio)와 칸타타(Cantata)

 

 

원성희 교수(본명 : Dorothy Underwood, 새문안음악교육원 원장, 이화여대 명예교수)

 

오라토리오와 칸타타는 바로크 초기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인 중요성과 인기를 가지고 있는 성악형식이다. '특별한 때나 행사를 위하여, 비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두 개의 형식은 비슷한 배경과 작곡법과 연주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라는 인식 때문인지 현대의 음악가나 음악 애호가들은 때로는 오라토리오와 칸타타가 교환할 수 있는 음악형식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데 원래 형식상 오라토리오의 역사와 기능과 연주상태는 독특하여서 칸타타와 매우 달랐다. 이 글의 목적은 우선 두 가지의 음악 형식을 각각 살펴보고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1. 오라토리오의 배경

 

최초의 오라토리오 작품은 1600년에 나타났다. 최초의 오페라 작품도 같은 해에 나타났는데 이것은 역사적으로 보아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 오페라에 여러 전신이 있었던 것처럼 오라토리오도 그러하였다. 여기에는 설화, 전례극, 종교적 묘사, 여러 가지 배경의 종교적인 음악극 같은 것 등 합해서 아홉 가지가 있다고 한다. 13세기부터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매우 큰 인기를 얻었던 '종교적 묘사'라는 분야는 비록 16세기에는 그 인기가 사라졌으나 최초의 오라토리오는 바로 그 장르를 이용해서 카발리에리(Emilio de' Cavalieri, c.1550-1602)가 작곡하고 연주한 '영혼과 육체의 묘사(La rappresentazione dell' anima e del corpo)'였다.

 

이 오라토리오는 다른 초기 오라토리오와 마찬가지로 무대 위에서 의상, 연기, 무대장식을 사용하였고 이런 면으로는 오페라와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오페라의 대본이 대체로 세속적인 주제로 되어 있었으나 종교적 오페라도 있었던 것과 반대로 오라토리오는 대체로 종교적인 주제에 의한 것이었으나 세속적인 것들도 있었다.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의 공통점은 여러 가지가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둘 다 대규모의 작품이며 연출하는 음악에 의한 드라마(극)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둘을 어떻게 구별하였을까? 그것은 단 한 가지 뿐이었는데, 바로 드라마의 줄거리를 해설하는 역의 유·무였다. 해설자(narrator)를 '테스토(Testo-이탈리어)' 또는 '이스토리쿠스(Historicus-라틴어)'라고 하였고, 이는 4세기부터 내려온 수난곡에서 스토리를 해설하는 '복음자(Evangelist)'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드라마이기 때문에 초기 오라토리오(오페라처럼)는 몇 개의 막과 장으로 나눠져 있었다. 18세기까지 이런 경향은 계속되었고 G. F. 헨델의 여러 오라토리오 가운데에도 이러한 것들이 보인다.

 

 

2. 칸타타의 배경

 

칸타타(cantata)라는 이름은 'cantare(노래하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1620년에 출판된 몇 개의 성악곡으로 구성된 곡집을 위해 처음으로 쓰여진 단어이다.

1590년쯤부터 새로운 노래하는 방식인 모노디(monody)가 생기고 발전하게 되었는데 그 한 가지의 열매는 칸타타였다. 초기 칸타타는 주로 독창곡이며 실내에서 연주하기 위한 성악실내악이었다. 17세기초에도 칸타타 장르를 두 가지로 구분하여 실내(세속) 칸타타와 교회(종교) 칸타타가 있었다.

 

세속 칸타타가 훨씬 더 많았다. 오라토리오나 오페라와 마찬가지로 칸타타의 발생지는 이탈리아였는데, 17세기~18세기에 이탈리아에서는 (현재 알려진 작품 중에서) 약 7480곡의 칸타타 가운데 223곡(3%)만이 종교 작품이었다.

각 나라로 퍼진 칸타타 형식은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큰 발전이 있었다. 나라별로 가지각색의 칸타타곡이 있었지만, 특히 19세기부터 일반적으로 독창곡보다 합창중심의 곡으로, 실내악보다는 연주회장이나 교회를 위한 곡으로, 짧고 단순한 곡보다는 합창단, 독창자, 피아노나 합주단 반주가 들어가는 복잡한 구성의 곡으로 발전되었다.

 

 

3. 오라토리오와 칸타타의 구별

 

이 두 개의 음악형식을 구분하면 비슷한 점이 몇 가지 있다.

 

1) 발생지가 같다. (이탈리아)

 

2) 발생시기가 같다. (17세기초: 초기 바로크)

 

3) 음악양식이 비슷하다. (합창, 독창, 오케스트라나 다른 기악 반주)

 

4) 내용은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이 있다.

 

5) 영향력이 커서 다른 나라에서도 일찍이 환영을 받았다.

 

6) 많은 경우에 대본(텍스트, 가사)의 내용은 종교적이지만 세속적인 예도 많다.

 

(20세기부터 출판된 오라토리오 중에서 30%넘는 양이 비종교적인 작품임)

 

 

차이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일반적으로 오라토리오는 칸타타보다 더 길다.

 

2) 오라토리오가 내용상 더 극(?)적이다.

 

3) 규모면에서 오라토리오가 더 크다

 

4) 19세기 이후에도 오라토리오의 반주부는 계속 오케스트라가 담당하지만 세속 칸타타의 반주는 (대부분) 피아노나 피아노의 몇 개의 악기(합주)를 사용하고, 교회 칸타타는 오르간이 담당한다.

 

5) 테스토(해설자)의 역할은 오라토리오에서만 찾을 수 있었는데 아직까지도 때로는 이 경향이 계속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오라토리오와 칸타타가 똑같은 것은 아니나 둘 다 중요한 합창 음악의 분야이며 행사용 음악으로서 그 중요성을 부인할 여지가 없다.

 

 

 

행사음악

 

(국악편)

 

1. 호남가, 유색 황금눈 안숙선, 김대례(가야금 병창)

 

2. 려명 이광수

3. 눈을 들어 이광수, 김향란

4. 사랑해요 이광수, 김향란

 

5. 매화타령 임혜성

 

6. 강원도아리랑 유지나

 

7. 한오백년 이생강

 

8. 정선아리랑 이춘희

 

9. 세령산 국립국악연주단

 

10. 장록수 박기형(대금 독주)

11. 상영산 박기형(대금 독주)

12. 청성곡 박기형(대금 독주)

13.세월과 인생 박기형(대금 산조)

 

14. 해질 무렵 어느날 변계원(가야금 병창)

 

15. 풍류를 위한 농음 박일훈(해금 협주곡)

 

16. 청산별곡 숙명가야금연주단(가야금 병창)

17. 비발디 사계 겨울 2악장 숙명가야금연주단

 

 

 

 

(가곡, 가요편)

 

1. 그저 바라볼 수만 있어도 유익종

2. 그리운 금강산 조수미

3. 제비 조영남

 

4. 첫눈 오는 밤 Flute

5. 내 마음 강물되어 Flute

 

6. Yesterday Kenny G(섹스폰)

7. Danny Boy James Galway(Flute)

8. 구름 향기 Flute

9. 그대 창 밖에서 Flute

 

10. 그리워 바이올린

 

11. 내 사랑 내 곁에 김현식

 

12. 꽃보다 잎으로 남아 Flute

 

13. 삼포로 가는 길 노사연, 유익종

 

14. 눈 Flute

15. 목련화에 부는 바람 Flute

16. 밤비 Flute

17. 사랑을 그리며 Flute

 

18. 사랑이여 소리새

 

19. 연리지 Flute(예민)

 

 

 

(클래식)

 

1. The Winter op.8(2악장/Largo) A. Vivaldi

 

2. Symphony No.40(G단조. K550/1) W. A. Mozart

3. Clarinet Concerto (Out of Africa) “

4. Piano Concerto No.21(Elvira Madigan) "

 

5.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체/정령의 춤 C. W. Gluck

 

6. Cavalleria Rusticana P. Mascagni

 

7. Nocturne(Andantino) F. Brugmuller

 

8. Meditation-Thais J. Massnet(J.Galway)

9. Ave Maria C. F. Goundod(J.Galway)

10. Memory(The Cats) James Galway(Flute)

 

11. Air J. S. Bach

 

12. Traumerei R. Shuman

 

13. 아를르의 여인 모음곡 No.2 G. Bizet

 

14. Serenade F. J. Haydn

 

15. Fantasie Impromptu(C#단조 op.66) F. Chopin

 

16. The Autmn(1악장/Allegro) A. Vival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