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터 2013. 1. 27. 14:31

1) 바로크 이전

 

 

1.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2.3~1594.2.2]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교회음악가로 활약하면서 100곡 이상의 미사곡과 300곡 이상의 모테트, 그리고 많은 세속(世俗) 마드리갈 등을 남겼다.

 

국적 이탈리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이탈리아 로마 근교 팔레스트리나

 

본문

로마 근교 팔레스트리나 출생. 일찍부터 로마에서 교회음악가로 활약하고 산타마리아 마조레대성당, 산피에트로대성당 외에 몇 군데 교회에서 악장직을 역임하면서 100곡 이상의 미사곡과 300곡 이상의 모테트, 그리고 많은 세속(世俗) 마드리갈 등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원숙한 대위법 기법, 명징(明澄)한 표현에 특징이 있으며, 또 성악존중(聖樂尊重)의 태도를 고수함으로써 가톨릭 폴리포니교회음악의 한 이상을 만들어냈다. 그것은 그 후 가톨릭음악의 지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위법 기법의 모범으로서도 오늘날까지 높이 평가되고 있다.

 

 

2. 카치니[Giulio Caccini](1550-1618)

 

Giulio Romano라고도 함.

1550경 로마~1618. 12. 10 피렌체.

 

이탈리아의 성악가·작곡가.

 

그의 노래들은 1600년경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새로운 모노디 음악을 확립하고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하나의 표현적인 선율을 화음이 반주하는 모노디는 서로 다른 여러 선율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전통적인 다성음악 양식과는 정반대이다. 로마에서 보낸 그의 초기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지만 1574년 이전 어느 때인가 피렌체에서 그의 후원자인 메디치가(家)의 코시모 1세를 만나기 전까지 조반니 아니무차에게 배웠던 것이 분명하다. 16세기의 마지막 20년 동안 그는 최초의 오페라의 산실이 된 조반니 바르디 백작의 '피렌체 카메라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궁정 가면극에서 연기하고 노래하는 동안(그 가운데 몇몇을 위한 음악을 작곡하기도 함) 〈신음악 Le nuove musiche〉(1602)에서 밝힌 새로운 노래(모노디)에 대한 개념을 완성했다. 이 책은 독창 마드리갈과 아리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담은 서문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서문은 올리버 스트렁크의 〈음악사의 문헌들 Source Readings in Music History〉(1952)에 영역되어 있다. 그의 마드리갈들은 그의 새로운 기법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었는데 말의 억양을 충실히 따르고 감정적 장식음들로 고양된 우아하고 유연한 성악 선율이 새로 고안된 계속저음으로 즉흥연주되는 부차적인 온음계적 화음 반주 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음 30년 동안 다른 많은 이탈리아 작곡가들이 이러한 모노디의 유행을 따랐으며 카치니 자신도 또다른 2권의 선곡집을 만들었다. 1600년 야코포 페리의 〈에우리디케 Euridice〉와 같은 대본으로 오페라를 작곡해 1602년 피렌체에서 공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