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芷潭集 《 일 러 두 기 》

우렁터 2021. 1. 25. 00:43

 일 러 두 기

 

1. 한글새대를 위하여 가급적으로 한자와 한글을 병용 표기하였다.

 

2. 『卷』단위로 작품마다 一連番號를 부여 하였고, “參考資料에서 발굴한 釋文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註釋 찾아보기를 달아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초보자를 위한 漢詩 해석의 일반적 참고서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木版本한자의 변환木版本을 원칙적으로 따르되, 한자 변환이 불가능한 古字 등은 현재의 본자(定字, 楷書 )로 하였다.

(예)-古字 : 口金 →吟→賢→聞→貳→覓.

    -略字 : →應,   ,→凶 .  ,→劍 劍,.    →濟.

    -同字 : →器.    →燕.    →峀

    -俗字 : →漆.    ,→鬢,    →仙, 僊.    →輩.    →往.

    -訛字 : →邛.    →鷪.

    - 簡體字 : →賓,

 

4.시문에서 사자성어, 고사성어 인명이나 지명의 일부만 ·인용 標記된 것은 가급적 全部를 表記 하였다.

) 望雲 : 望雲之情 .  晨昏 : 昏定晨省(혼정신성).  牽羊 : 肉袒牽羊육단견양).  看雲 :  看雲月步, 康衢(강구)  : 康衢煙月

     宵旰 : 宵衣旰食 .  鼓腹 : 鼓腹擊壤고복격양),  雲樹 :  雲樹之歎.  雲雨 : 雲雨之情.

 

5. 한시에서 쓰는 어려운 詩語나 단어(註)를 통하여 註釋을 최대한 많이 달았다.

) 蒹葭, 苽葛, 孤負, 彀率, 琴心, 拮据, 獨賢. 跋涉, 卜築, 負笈, 鳧舃, 棲遑, 契闊, 蕭寺, 垂老, 昇平, 蟋蟀, 嬴得, 鴒原,

     睿算, 潦倒. 越吟, 氤氳, 荏苒, 佇看, 田畯, 螽斯, 蜘蛛, 蹉跎. 蒼梧, 鶺鴒, 遷客, 靑眼, 招提, 怊悵. 惆悵. 莵裘, 投紱,

     投轄. 板蕩, 萍蓬, 下字, 泬寥. 形役. 黃帽, 霱雲. 

 

6. 人物, 地名, 官職, 職級, 故事, 四字成語 등은 詩文의 이해를 위하여 註釋을 가급적 자세히 많이 달았다.(2,800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