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芷潭集속의 詩經(3)

우렁터 2021. 3. 9. 08:42

4-246. 送 睦學士行之 行善出宰 塩州 二首           목학사 행지를 전송함 행선이 염주에                                                                     나가 주관함 2(16466)

 

暫罷靑綾夢(잠파청릉몽)          잠깐 學者의 푸른 무늬 비단 꿈 깨니

新紆紫綏榮(신우자수영)          새 자주 빛 인끈 榮華로운 은혜 얽혔네.

三牲將母計(삼생장모계)          삼성(, , 돼지)母親 奉養 計策이요

五馬使君行(오마사군행)          다섯 말은 그대 가는 데 쓰게 함이었지.

선父鳴琴政(선보명금정)          선보의 宓子賤(복자천)은 거문고 올려 單邑(선읍) 잘 다스리고

廬江奉檄誠(여강봉격성)          여강은 부모 모시고 고을의 이 되는 기쁨 있었지.

盤根須利器(반근수이기)          서리서리 얽힌 나무뿌리는 銳利한 무기 쓰듯 처리하기 어려우니

                                           있는 사람 써서

莫負舊聲名(막부구성명)          예전 名聲 져버리지 마오.

 

孝子專城養(효자전성양)          孝子는 오로지 을 지키는 마음으로 부모를 봉양했고

明君錫類恩(명군석류은)          明哲한 임금은 孝子德行이 널리 퍼져 다른 이에게 미치게 하는 恩典

                                           베풀 었지.

靑袍辭粉署(청포사분서)          푸른 도포로 하얀 칠한 官署 辭職하고

皁蓋擁朱軒(조개옹주헌)          검은 명주 수레 덮개로 붉은 軺軒 둘러쌌네.

地理連畿輔(지리연기보)          지리는 서울에 연이었고

魚鹽控海門(어염공해문)          고기와 소금 바다로 통하는 문에 던지었네.

雄藩新貶號(웅번신폄호)          雄鎭이 새 이름 떨어뜨렸으니

努力化陳元(노력화진원)          힘써서 본래대로 되게 하오.

 

* 錫類 : 선함을 내려주는 일. 類는 善의 뜻으로 좋은 福을 의미함. 孝子는 孝子를 낳는 등 계속 좋은 일을 내려준다는 뜻이 담김. ≪詩經≫ "大雅"篇 및 [영조실록 권제111, 25장 영조 44년 10월 17일]

 

5-11. 高山舘 次板上韻          고산관의 판상운에 이어서

 

哀壑槎牙石磴懸(애학사하석등현)          민망스럽게도 골짜기에는 울멍줄멍 굽은 가지들이 돌

                                                        비탈길에 달려 있는데.

鴈啣殘日沒雲邊(안어잔일몰운변)          기러기는 지는 해를 물고 구름 속으로 들어가네.

纔登合踏千尋嶺(재등합답천심령)          높고 깊은 고개를 말과 발 맞춰 가며 겨우 오르니

忽見光明萬里天(홀견광명만리천)          홀연 멀고 먼 하늘의 光明을 보겠네.

畵角吹開長白雪(화각취개장백설)         그림 그린 호각으로 긴 白雪曲 불기 시작하고

吟鞭遙指北靑烟(음편요지북청연)          말채찍으로 멀리 북쪽의 푸른 연기 가리키며 읊조리네.

班超自有封侯志(반초자유봉헌지)          班超는 스스로 해질 뜻 가졌으나

王事何須怨獨賢(왕사하수원독현)          나라 일을 下級 官吏에게만 맡기니 어찌 원망하지 않으리.

 

* 獨賢 : 國事에 시달리고 있는 한 下位 公職者의 탄식과 원망이 섞인 말. ≪詩經≫ < 小雅>北山篇의 詩句에서 유래함. 그 시구의 내용은 士人 계급의 한 관리가 자신이 마치 똑똑한 사람인 양 아침부터 저녁까지 쉴 틈 없이 公事에 전념하면서도 자신의 가족이나 부모를 돌볼 겨를조차 없는데도, 자신의 윗자리에 있는 大夫는 편히 집에나 쉬면서 놀고먹는 불공평한 처사에 대해 怨望하고 있음. 하늘 아래 임금의 땅이 아닌 곳이 없고, 임금의 臣下가 아닌 사람이 없다고 하는 구절에서는 은근히 임금의 잘못된 政事를 풍자하기도 하였음. [유사어] 獨勞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6-1-3. 陳慰篆文          베푸는 편지

己丑 五月 초파일            己丑年(1649년 인조 27) 58일에

大行大王昇遐十二日聞訃      대행대왕(仁祖)께서 昇遐하셨고 십이일 訃告를 들었다.

代監司 許汝車作                  감사 허여거를 대신하여 지음

 

庶幾無疾病이요                  거의 질병 없으시기를 바랐고

聖筭方祝於岡陵인데             聖主壽算四方丘陵에 축원하였건만

奄忽棄臣民이니                   갑자기 臣民을 져버리시니

深痛遽纏於弓劒                   몹시 애통해 함은 갑자기 弓劒之痛에 얽힌 것 같습니다.

不應如此이니                      이렇게 하늘이 응해주지 않으니

胡寧忍斯라                         어찌 이 슬픔을 참으리까?

恭惟翼翼小心으로                 삼가 생각하오니 세심하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煢煢在疚面深墨이니              고질병이 있어 외롭고 걱정스러움에 용안이 심히 어둡더니

卽位以哭이면                       龍床에서 나아가 울면

莫敢不哀이니이니                 감히 서러워하지 않을 수 없으리니

思劬勞罔極之恩이                 그지없는 은혜와 보살펴 주신 수고로움 생각하면

何以自遣이리까.                    어찌 스스로의 마음을 위로할 수 있겠습니까?

肆當欒棘之日에                     그러므로 喪主가 슬픔으로 몸이 야위어 몹시 수척한 날을 당하여는

苐切憂愛之忱이라                  다만 근심하고 애달픈 정성만 간절할 뿐입니다.

(下略)

 

* 欒棘 : 喪主가 슬픔에 몸이 야위어 몹시 瘦瘠해지는 것을 뜻한다. ≪詩經≫ [檜風] <素冠>에 “행여 흰 관을 쓴 棘人의 수척함을 볼 수 있을까(庶見素冠兮, 棘人欒欒兮?”라고 하였는데, 註에 “棘은 急하다는 뜻으로 喪主는 급하여 경황이 없기 때문에 상주를 棘人이라하며 欒欒은 瘦瘠한 모습이다.”라고 하였다.

 

6-1-9. 中宮殿冊禮賀箋          중궁전 책례의 하례 편지

 

毓德株宮에                        덕을 길러 宮殿을 화려하게 하사

方贊履端之化하며               네모반듯하게 정월 초하루의 德化를 도우시며

疎榮玉牒하고                     王室系譜疏通하여 繁榮하고

克正坤位之尊象하고            사심을 누르고 신전의 높은 지위 형상 바르게 하고

服是衣黃裳元吉이라            이에 마땅한 黃裳을 입는 것이 가장 합니다.

恭惟柔嘉維則하여               삼가 생각건대 훌륭하고 법도가 있게 하시여

文定厥祥이라                     편안히 그 제사를 예법으로 다스리소서.

漢代治平은                        나라 시대 평안히 다스림은

實賴明德之助하고               진실로 公明正大의 도움을 힘입었고

周南風敎는                         나라 南風敎化

蓋由太姒之賢이                  대체로 의 어진 德行 쫓음이니

慶關宗祊하고                     慶事宗廟祭祀를 지내는 것에 관계가 있고

歡均遠邇이라                     즐거움은 먼데나 가까운 데에 고르게 하여야합니다.

伏念心懸이陛이나              엎드려 생각건대 마음은 가 있는 대궐에 달려 있으나

跡滯鷦藩이라                    자취는 작은 에 머물러있습니다.

八千歲爲春을                    八千歲를 한 봄으로 함을

倍切鰲抃之喜하고              자라가 손뼉 치며 기뻐하는 것에 갑절이나 간절하고

九五福曰壽하니                 임금님의 은 가로되 하심이오니

願作鷰賀之辭라                 삼가 제비의 축하하는 글 짓습니다.

 

* 黃裳元吉 : <周易> 坤卦 六五의 爻辭인데, 王后의 正位를 뜻함.(한국고전용어사전). 中正(黃/中道)하고 柔順(裳)한 德을 지키는 사람은 大吉하다.

* 柔嘉維則 : 훌륭하고 法度에 맞게 함≪詩經≫, [大雅] <蕩之什>의 “烝民”에 나온다.

 

6-1-10. 大殿賀箋          聖主께 하례 편지

 

自家而國이                           家庭으로부터 나라까지

咸仰造端之治이나                  모두 처음의 다스림을 우러러 바라지만

惟德之行이면                        오직 을 베풀어 하시면

聿睹正位之慶이라                  마침내 바른 지위의 慶事를 볼 것입니다

椒房動彩하여                        后妃宮殿에 빛을 움직여서

玉牒增輝하소서                     임금님의 系譜에 빛을 더하게 하소서

恭惟德洽關雎化隆하여            삼가 생각건대 后妃이 雎鳩와 같이 자연히 아랫사람까지 크게                                             感化하여

樛木本支百世면                     늘어져 굽은 나무같이 本孫 支孫百世까지 旺盛 해지면

佇見瓜瓞之綿이요                  머물러 서서 보노라면 큰 오이와 작은 오이같이 宗孫 支孫繁盛

                                           이어질 것이요

與經三年이면                        더불어 三年을 지나면

幾助蘋蘩之薦이니                  거의 祭需 올림을 도울 것이니

感戴之極은                           대단히 고맙게 느껴 떠받들음이 至極함은

歡抃惟均이라                        오직 國政이 평화롭고 고른 것을 기뻐하여 손뼉 칠 것입니다

(後略)

 

* 關雎 : 징경이. 물에 사는 수리로 라고도 함. 《詩經》 [國風] <周南>의 “關雎” 편에 “관관저구 재하지주 窈窕淑女 君子好逑  ”라 읊었다.

* 瓜瓞 : 4-64 참조

 

6-1-11. 王世子冊禮時 大殿賀箋          왕세자 책례 때 임금께 하례 편지

 

克岐克嶷하니                 어려서부터 智德이 능히 뛰어나시더니

咸仰聖質之夙成하며       모두 聖人 바탕을 일찍 이루시니 하오며

必嫡必賢이니                오로지 嫡孫이요 또 어지시니

更喜元良之肇建은          다시 원체 좋은 世子가 일찍이 섰음을 기뻐함은

前星啓曜海澄波라          太子가 빛을 여시니 작은 바다에 물결이 맑음과 같습니다.

恭惟翼子貽謀하고          삼가 생각건대 아들을 위하여 교훈을 남겨 주시고

橫庚得吉이면                帝位에 오를 때 길함을 얻으면

龍樓問寢이                   宮中龍樓에서 宗廟問安함이

實出秉彛之良이요          진실로 떳떳함을 잡은 어진 데서 나옴이요

鶴禁疎榮은                   太子宮殿榮華를 나누어 누림은

蓋緣主器之重이요          대개 祠堂祭器 맡은 長子함을 쫓음이요

宗祊有賴                      宗廟에는 힘입음이

遠邇均歡이라                멀고 가깝고 간에 고루기쁨이 있습니다.

伏念適丁鴻休이니          엎드려 생각건대 마침 큰 경사 당하였으니

恭申燕賀하고                공손히 제비 같이 하례 올리고

跡阻筍班이니                자취가 가마(筍輿) 班列과 막혔으니

縱後千冠之列이나           비록 千官班列을 뒤따를지라도

誠懸楓陛이니                 정성스런 마음은 宮殿 뜰에 달려있으니

徒勤萬歲之呼니이다        다만 萬歲를 힘껏 부르겠습니다.

 

* 克岐克억 : 1) 무럭무럭 자라나다. 2) 知覺있고 英敏하다. 《詩經》 『大雅』 「生民之什」에서 周나라 先祖인 后稷의 誕生과 成長 過程을 노래하고 있다. 后稷의 15대 孫이 바로 周나라를 세운 武王이다.

 

6-2. 祭文

 

祭 韓政丞文          한정승 제사글

○ 爲監司沈令公 施甫 作            감사 심영공 시보를 위하여 지음

 

(前略)

嗚呼相公, 得之庭訓에         어허 相公이시여, 家庭의 가르침 얻으시어

樸直無華하고                    순박하고 곧아서 겉치레 없으시고

忠信爲本하고                    忠誠과 믿음으로 根本을 삼고

風神俊整하며                    風采嚴肅하고 端正하시며

器宇獻昻하여                    타고난 기품과 뜻이 높이 뛰어나시어

晩捷巍科이나                    늦게나마 大科(文科)에 성공하여 올랐으나

遭遇先王하여                    先王 만나 마음이 맞아서

爲鸞爲鳳하여                    난새 같은 한 선비 되고 붕새 같은 有德君子 되어

將翺將翔라                      또한 젊었을 땐 새가 하늘 높이 빙빙 날 듯이 政事를 살피시었지.

薇垣栢府하고                   中書省 御史臺를 거쳐서

玉署春坊하며                   翰林院 太子宮에 근무하셨으며

三十年間歷敡殆遍이라       삼십년 간 지내며 人選을 거의 두루 하셨지

(後略)

 

* 將翺將翔 : 《詩經》 <國風> “鄭風” ‘有女同車’에서 “有女同車 顔如舜華 將翺將翔 佩玉瓊琚  ”(여자와 함께 수레를 타니 아름다운 얼굴이 무궁화꽃 같네. 이리저리 수레를 몰고 갈 때에 허리엔 패옥으로 구슬을 찼네)라고 노래하고 있다. 결혼하는 젊은이가 자신의 신부가 꽃처럼, 패옥처럼 아름답다고 노래하듯, 亡人이 젊었을 때 젊음의 覇氣로 政事에 임했음을 비유하고 있다.

 

6-4. 墓誌銘

 

新平李公廷白墓誌銘          신평 이공 정백의 묘지명

 

 李棘人 結城公                 李氏親喪中에 있는 結城公

因舍兄之來하여                    자기 이 와서는

以狀屬不佞하되                    行狀을 짓도록 이 재주도 없는 사람에게 부탁해 가로되

亡親行誼는                          先親品行

非子莫宜銘之하니                 자네 아니면 마땅한 墓誌銘을 잘 짓지 못하겠으니

子其無辭라하니                    자네는 그것을 사양치 말도록 하라고 하니

不佞竊念하니                       재주 없는 나로서 가만히 생각하니

結城公之於不佞에                 結城公은 재주 없는 나에게

族也, 友也, 東隣也,                 一家親族이요, 벗이며, 같은 이웃이요,

世分也이니                          집안 대대로 사귀어 온 情分 있는 사이이니

結城公之託銘於不佞者에       不佞한 내게 結城公墓誌銘을 부탁함이

其意有在則이면                    그 뜻을 본보기로 갖고 있으면

不佞其敢以不文辭하여           재주 없는 이가 감히 學文이 밝지 못하여 그를 辭讓해서

以負結城公之意乎라              結城公의 뜻을 져버리겠는가?

(後略)

 

* 棘人 : 6-1-3 참조

 

어려서부터 智德이 능히 뛰어나시더니

 

大殿賀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