墨香에 빠지다 (2) 문인화/문인화 총론(행만리로 독만권서) 9

참고자료 6. 조선왕조 연대표

1 太祖 1392-1398 ( 6) 2 定宗 1398-1400 ( 2) 3 太宗 1400-1418 ( 8) 4 世宗 1418-1450 (32) 5 文宗 1450-1452 ( 2) 6 端宗 1452-1455 ( 3) 7 世祖 1455-1468 ( 3) 8 睿宗 1468-1469 ( 1) 9 成宗 1469-1494 (25) 10 燕山君 1494-1506 (12) 11 中宗 1506-1544 (38) 12 仁宗 1544-1545 (11) 13 明宗 1545-1567 (22) 14 宣祖 1567-1608 (41) 15 光海君 1608-1623 (15) 16 仁..

참고자료 5. 서예 문인화의 이해를 위한 중국왕조 변천사

*선사시대 (기원 3,000년경) 고조선(BC 2333-BC 108) *은(殷) (기원 1,500년경) *주(周) (기원 1,100년경) ○ 전국시대 (BC 403-221) *진(秦) (기원 221년) *한(漢) (BC 202-220) ○ 삼국시대(220-280) (1) 魏 - 조조, 조조의 아들 조비 (2) 蜀 - 유비 (3) 吳 - 손견 . 손책 . 손권 *진(晋)(280) : 권신 사마염이 魏의 제위를 빼..

참고자료 4. 근대화가 6인

○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 1899년 음력 3월16일 황해도 곡산 생. 16세에 심전과 소림(小琳 趙錫晋)선생님 으로부터 그림공부. 20세에 청전 이상범과 함께 심전의 경묵당에 기거 사사, 이때 심산이라는 호를받음. 23세에 동아일보에 입사, 삽화와 사단만화를 시작 원조가됨. 25세에 동아일보..

참고자료 3. 조선시대 화가 10인

조선시대 회화는 17세기를 경계로 하여 전후 2기로도 나뉘지만, 정확하게는 3기로 나눌 수 있다. 전기는 15세기 초엽에서 16세기 중엽까지 화원(畵院)의 화사(畵師)가 중심이 되어 송 ·원의 화풍을 그대로 모방한 시기로, 북송(北宋) 곽희(郭熙)를 모방한 안견(安堅)의 산수화(山水畵)가 대..

참고자료 2. 한국화가 일람표(가나다순)

ㄱ 강세황 1713 강희안 1417 강희언 1710 권돈인 1783 김규진 1868 김기창 1913 김두량 1696 김득신 1754 김명국 1600 김상헌 1570 김석신 1758 김수철 19c말 김 식 1524 김 식 1579 김양기 18c후 김윤겸 1711 김은호 1892 김응원 1855 김응환 1742 김정희 1786 김진우 1883 김홍도 1745 ㄴ 남계우 1811 노수현 1899 ㅁ 문 청..

참고자료 1. 한국화가 일람표(연대순)

玄洞子 安堅 1400-1479 화원, <몽유도원도,1447>★朱耕 李秀文 1403- 대나무 醉琴軒 朴彭年 1417-1456 <설죽도> 仁齋 姜希顔 1417-1464 문신, 3절, <高士觀水圖><高士渡橋圖>,‘養花小錄’ 文淸 15세기 <樓閣산수도> 崔淑昌 15세기 <산수도> 李長孫 15세기 <산수도> 徐文寶 1..

3. 조선시대 회화에 대한 소고

1. 서론 三國時代부터 발전되어 온 우리의 회화는 조선시대(1392~1910)에 접어들면서 더욱 활발히 전개 되었다. 특히 이 시대에는 抑佛崇儒의 정책에 따라 儒敎文化가 꽃을 피웠고 대표적 유교문화의 하나가 회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회화는 불교를 토대로 발전했었던 삼..

2. 우리나라 문인화 역사(강의초)

2. 우리나라 문인화 역사(강의초) 1. 문인화 전래 2. 고려시대(918-1392) 가. 묵죽 · 김부식 · 김돈중(金敦中. 김부식 아들) · 김군서(金君서) · 정 서(鄭 敍) · 鄭鴻進 · 安置民 · 이암(李嵒) 나. 묵매 · 정지상 · 차원부 · 석축분 · 李齊賢 <騎馬渡江圖> 3. 조선시대(1392-1910)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