墨香에 빠지다 (2) 문인화/문인화 총론(행만리로 독만권서)

2. 우리나라 문인화 역사(강의초)

우렁터 2013. 1. 12. 16:36

2. 우리나라 문인화 역사(강의초)

 

 

1. 문인화 전래

 

2. 고려시대(918-1392)

 

가. 묵죽

· 김부식

· 김돈중(金敦中. 김부식 아들)

· 김군서(金君서)

· 정 서(鄭 敍)

· 鄭鴻進

· 安置民

· 이암(李嵒)

 

나. 묵매

· 정지상

· 차원부

· 석축분

· 李齊賢 <騎馬渡江圖>

 

3. 조선시대(1392-1910)

 

가. 초기(1392-1550)

·

   강희안 : 절파풍의 <折梅揷甁> <高士觀水圖>

· 이암

· 안견 : 곽희파풍(북송) <몽유도원도> <소생팔상도> < 적벽도> <묵죽도>

· 이상좌 : 송대의 馬夏派風 <松下步月圖>

· 최숙창 : 米法山水畵風

· 申師任堂 : 안견화풍의 산수, 포도, 초충

 

나. 중기((1550-1700)

 

명대(1368-1644)의 절파화풍과 유사한 산수화 유행

 

° 절파화풍

- 사대부

· 김시金禔

· 李慶胤

· 조속 趙涑

- 화원

· 李興孝

· 李澄

· 李楨

· 金明國

 

° 사군자

· 李霆

· 오달제 <묵매도>

· 魚夢龍

· 黃執中 <묵포도도>

 

° 영毛畵

· 申潛

· 이영윤

· 이경윤

· 윤엄

· 김시

· 김식(김시의 손자)

 

다. 후기(1700-1850)

 

진경산수와 풍속화, 사실적인 영모화와 초상화, 서양화풍의 유입, 여항문화의 대두시기

 

° 진경산수

· 겸재 정선

 

° 남종화(진경산수, 풍속, 영모, 초상화)

· 심사정 : 조선 남종화풍 완성

· 관아재 조영석 : 풍속화풍 창안

· 이인문

· 윤두서

· 김두량

· 김홍도

· 신윤복

· 강세황

· 이인상

· 허필

· 박제가

· 최북

· 정약용

· 신위

...............................................................................................................

※ 진경산수의 대두

조선 후기의 문화예술사적 특징인 眞景詩畵의 탄생

가. 개요

- 숙종(1674-1720)때 시작되어 영조대에 절정을 이루고 정조( 1776-1800)에 쇠퇴

- 조선중화주의의 관념적 사의적 청조 남종 문인화풍를 비판

 

나. 진경문화

1) 한글문학 : 정철, 김만중

2) 한문문학

· 簡易 崔笠

· 三淵 金昌翕

· 사천槎川 李秉淵 : 겸재 詩畵換相間 知己

 

* 중국화풍

- 북종화 : 명 절파풍(선묘법)과 남송의 원체화풍

- 남종화 : 오파풍(묵법)

 

3) 진경산수화 (← 중국의 관념산수)

· 창강 조속

· 겸재 정선 : 동국진경 창시

-겸재준법

난시준법(수직준법)

상악준법

미가운산법(미점준)

 

· 玄齋 심사정 : 동국진경 보완하여 조선 남종화 완성

<하경산수도> <망경대> <촉진도권>

· 강세황

 

· 김흥도, 최북, 이인문, 김득신

 

4) 서예

° 동국진체의 등장과 발전

- 玉洞 李漵 → 공재 윤두서→ 백하 윤순→원교 이광사

° 추사체

- 추사 김정희

 

5) 풍속화(이속화)

-檀園 김홍도 → 兢齋 김득신<노상알현도>

→ 蕙園 신윤복<단오풍정><삼추가연>

...............................................................................................................

 

라. 말기(1850-1910)

남종 문인화의 유행

-김정희(北學派, 慕華主義者)

· 田琦 <梅花草屋圖>

· 許鍊 <墨竹圖>

· 金秀哲 <武陵春色>

· 劉在韶

· 趙熙龍 <梅花서옥도>

- 丁學敎 : 괴석

- 石坡 李昰應 <石欄圖>

- 芸楣 閔泳翊 <노근묵란도>

-吾園 張承業

· 小淋 趙錫晉

· 心田 安中植

→ 중국화풍의 도제교육으로 ‘근대6대가’ 배출

 

마. 일제강점기와 현대(1910- 현대)

° 미술단체

- 서화협회(協展)(1921)

고희동, 안중식, 조석진, 김규진, 오세창, 이도영, 정학수 등

- 조선미술전람회(鮮展) (1922-1944)

화가 등용문

· 金用雨, 徐丙五, 해강 金圭鎭(묵죽도)

· 金容晋, 金永基(해강아들) “한국화‘‘ 처음 사용

 

° 근대화가

- 전통화풍 : 노수현, 박승무, 허백련, 지성채, 정학수

- 새로운 실경화풍 : 이상범, 변관식, 이용우, 배렴

- 채색위주의 생활소재화풍 김은호, 이한복, 최우석, 정찬영, 김경원,

- 서양화 도입(日,구로다 세이키):고희동(香谷),김찬영, 김관식, 나혜석

 

° 전통과 현대의 접목

- 顧菴 李應魯(1904-1989, 예산)

- 月田 張遇聖(1912-2005, 여주)

- 山丁 徐世鈺(1929- , 대구)

- 雲甫 金基昶(1913-2001,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