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우리가 꼭 알아야 할 꽃과 나무

부록4> 나무와 숲 천연기념물(지역별 탐사자료)

우렁터 2013. 1. 27. 15:30

<부록4> 천연기념물 일람표(소재지/행정구역별)

<서울> 

271 서울 신림동의 굴참나무/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산112-1외 2필

240 서울 용두동 선농단의 향나무/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2동 274-1

59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 서울시 종로구 명륜동 3가 53

254 삼청동의 등나무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공관

255 삼청동의 측백나무/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공관

9 서울 수송동의 백송/ 서울시 종로구 수송동 44

251 창덕궁의 다래나무/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2-71 창덕궁 비원

194 창덕궁의 향나무/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

471 창덕궁의 뽕나무/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2-71 (창덕궁 내)

472 창덕궁의 회화나무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2-71 (창덕궁 내)

8 서울 재동의 백송/ 서울시 종로구 제동 35

 

<인천> 

315 인천 신현동의 회화나무/ 인천시 서구 신현동 135외 11필

78 강화 갑곶리의 탱자나무/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016

304 강화 서도면의 은행나무/ 인천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산 186

79 강화 사기리의 탱자나무/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135-2

66 대청도의 동백나무자생 북한지/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대청리 43-1

 

<경기> 

60 송포의 백송/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덕이동 산207

232 양주 양지리 향나무/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양지리 530

278 양주 남면의 느티나무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 136외 3필

30 용문사의 은행나무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산 99-1

459 여주 효종대왕릉(寧陵)의 회양목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907

381 경기 이천의 반룡송/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201-1

286 파주 적성면의 물푸레나무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 465

460 포천 직두리의 부부송/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

470 화성 전곡리의 물푸레나무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149-1

 

<강원> 

350 명주 삼산리의 소나무/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산116

461 강릉 옥계면의 굴참나무 군(群)/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산425

166 주문진 장덕리의 은행나무/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장덕리 643

363 삼척 근덕면의 음나무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452

95 삼척 도계읍의 긴잎느티나무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 278-2

272 삼척 하장면의 느릅나무/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 415-1외 3필

351 설악동의 소나무/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20-5

171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강원도 속초시 인제군. 양양군 일부

372 양구의 개느삼 자생지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한전리 산 54,

                                   /강원도 양구군 동면 임당리 산 148, 149

349 영월 청령포의 관음송/ 강원도 영월군 남면 광천리 산 67-1

76 영월 하송리의 은행나무/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90-4

167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면 반계리 1495

93 원주 신림 성남리의 성황림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191

279 원성 흥업면의 느티나무/ 강원도 원주시 흥읍면 대안리 2230

348 반론산의 철쭉나무와 분취류 자생지 /강원도 정선군 북면 여량리 산 12번지 일대

433 정선 두위봉의 주목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산 160-3

 

<충남> 

365 금산 보석사의 은행나무/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09

84 금산 행정의 은행나무/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

136 외연도의 상록수림/ 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 산239

320 부여 내산면의 은행나무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

169 마량리 동백나무 숲/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 산14

321 연기 봉산동의 향나무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봉산동 128외

106 예산의 백송/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28

398 천안 광덕사의 호도나무/ 충남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1-6

427 천안 성환의 향나무/ 충남 천안시 성환읍 양령리 394-9

138 안면도의 모감주나무 군락/ 충남 태안군 안면면 승언리 1318

 

<충북> 

165 읍내리 은행나무/ 충북 괴산군 읍내리 121-1

383 연풍 입석의 소나무/ 충북 괴산군 연풍면 적석리 산34-2

147 괴산 장연 송덕리의 미선나무 자생지 /충북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 산58

382 장연 오가리의 느티나무 /충북 괴산군 장연면 오가리 321외 1필

220 괴산 장연 추점리의 미선나무 자생지/ 충북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 산144-2

266 괴산 사담리의 망개나무 자생지/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산8-1외 2필

290 괴산 청천면의 소나무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 산250

221 괴산 율지리의 미선나무 자생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율지리 산12

244 소백산의 주목 군락 /충북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산59-1

62 충북 영천리의 측백나무 숲 /충북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 산 38

207 보은 속리산의 망개나무/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103 속리의 정이품송/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 17-3

352 속리 서원리의 소나무/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서원리 49

223 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5-14

364 영동 매천리의 미선나무 자생지/ 충북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 산 4-4

337 제천 송계리의 망개나무/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46-1

305 청원 강외면의 음나무/ 충북 청원군 강외면 공북리 318-2

 

<전남> 

35 대구면의 푸조나무/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51

151 백련사의 정다산 동백나무 숲/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55

172 까막섬의 상록수림/ 전남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산191

39 강진 병영면의 비자나무 /전남 강진군 병영면 삼인리 376

385 강진 병영면의 은행나무 /전남 강진군의 병영면 성동리 70

239 고흥 금탑사의 비자나무 숲/ 전남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700

362 고흥 봉래면의 상록수림/ 전남 고흥군 봉래면 신금리 산1

38 화엄사의 올벚나무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20-1

284 담양 대전면의 느티나무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787-1

82 무안 청천리의 팽나무와 개서어나무의 줄나무/ 전남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499

36 쌍암면의 이팝나무/ 전남 순천시 승주읍 평중리 35

88 송광사의 곱향나무의 쌍향수(雙香樹)/ 전남 순천시 송광면 이읍리 1

170 홍도 천연보호구역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1외

112 영광 불갑사의 참식나무 자생북한(自生北限)지대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산2-1

283 영암 군서면의 느티나무/ 전남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747-2외 7필

428 완도 대문리의 모감주나무 군락/ 전남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 산 128,129-1

338 완도 예송리의 감탕나무 /전남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 98-1

40 예송리 상록수림/ 전남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 220

340 완도 맹선리의 상록수림/ 전남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 370-1외 4필

339 완도 미라리의 상록수림/ 전남 완도군 소안면 미라리 472

28 주도의 상록수림/ 전남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산259

153 백양사 비자나무 분포 북한지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산 115-1

356 장흥 관산읍의 효자송/ 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60-1

268 장흥 용산면의 푸조나무 /전남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211-3

107 진도 의신면의 상록수림/ 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32

111 진도 임회면의 비자나무/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980

212 진도 관매리 후박나무/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리 106

108 함평 대동면의 팽나무,느티나무, 개서어나무의 줄나무/ 전남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 산 948-2

110 함평의 붉가시나무 자생 북한(北限)지대 /전남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산12-2

173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24-4

430 해남 성내리의 수성송 /전남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4

241 해남 연동리의 비자나무 숲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산27-1

303 화순 이서면의 은행나무/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182-1

 

<전북>

463 고창 은사리 단풍나무숲 /전북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사 경내

183 고창 중산리의 이팝나무 /전북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313-1

184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 숲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68

354 고창 삼인리의 장사송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97

296 김제 봉남면의 왕버들 /전북 김제시 봉남면 종덕리 299-1외 7필

280 김제 봉남면의 느티나무 /전북 김제시 봉남면 행촌리 230-2

281 남원 보절면의 느티나무 /전북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 495

424 지리산 천년송/ 전북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산111

291 무주 설천면의 반송/ 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31외 1필

123 부안 격포리의 후박나무 군락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산35-1

122 부안 도청리의 호랑가시나무군락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

124 부안 중계리의 꽝꽝나무 군락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1

188 익산 신작리의 곰솔/ 전북 익산시 망성면 신작리 518

387 임실 관촌면의 가침박달나무 군락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 37

388 임실 관촌면의 산개나리 군락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36

397 장수 장수리의 의암송/ 전북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176-7

396 장수 봉덕리의 느티나무/ 전북 장수군 천천면 봉덕리 336

355 전주 삼천동의 곰솔/ 전북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14-1외 2필

91 내장산의 굴거리나무 군락/ 전북 정읍시 내장동 231

386 진안 은수사의 청실배나무 /전북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3

380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지/ 전북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산18

214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전북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1035-1

 

<대구> 

1 달성의 측백수림 /대구시 동구 도동 산180

 

<울산> 

64 두서면의 은행나무/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

65 목도의 상록수림/ 울산 울주군 온산읍 방도리 산13

462 가지산 철쭉나무 군락지/ 울산/울주군,경남/밀양시,경북/청도군 가지산 일원

 

<부산> 

176 범어사의 등나무 군생지(群生地)/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 산2-1

168 부산진의 배롱나무/ 부산시 부산진구 양정동 산73-28

309 부산 구포동의 팽나무 /부산시 북구 구포1동 639

270 부산 수영동의 곰솔/ 부산시 수영구 수영동 229

311 부산 수영동 푸조나무 /부산시 수영구 수영동 271

 

<경남> 

233 거제도 학동의 동백림 및 팔색조 번식지 /경남 거제시 동부면 학동리 산1

410 거창 당산리의 당송/ 경남 거창군 위천면 당산리 331

185 김해 신천리의 이팝나무/ 경남 김해시 한림면 신천리 940

307 김해 주촌면의 이팝나무/ 경남 김해시 주촌면 천곡리 885

276 남해 고현면의 느티나무/ 경남 남해군 고현면 갈화리 732

152 남해 산닥나무 자생지 /경남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 산 99

29 미조리의 상록수림 /경남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산 121

150 물건방조어부림(勿巾防潮魚付林)/ 경남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산12-1

299 남해 창선면의 왕후박나무 /경남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669-1

287 사천 곤양면의 비자나무 /경남 사천시 곤양면 성내리 194

234 양산 신전리의 이팝나무/ 경남 양산시 상북면 신전리 95

302 의령 유곡면의 은행나무/ 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

359 의령 성황리의 소나무/ 경남 의령군 정곡면 성황리 산 34-1

164 신방리 음나무 군(群) /경남 창원시 동읍 신방리 산652

 

343 욕지면의 모밀잣밤나무 숲/ 경남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 108-1외 1필

344 우도의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경남 통영시 욕지면 연화리 203

345 추도의 후박나무/ 경남 통영시 산양면 추조리 508

63 비진도의 팔손이나무 자생지/ 경남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 산51

445 하동 송림 /경남 하동군 광평리 443-10

346 함안 법수면의 늪지식물 /경남 함안군 법수면 대송리 883-1

319 함안 칠북면의 회화나무/ 경남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749-1

406 함양 운곡리의 은행나무/ 경남 함양군 서하면 운곡리 779

154 함양 상림/ 경남 함양군 함양읍 대덕동 246

407 함양 학사루의 느티나무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27-1

358 함양 목현리의 구송/ 경남 함양군 휴천면 목현리 854

289 합천 묘산면의 소나무 /경남 합천군 묘산면 화양리 83

 

<경북

115 독락당의 중국주엽나무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00

318 월성 안강읍의 회화나무/ 경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1428

89 경주 오류리의 용등(龍藤) /경북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527

225 선산 농소의 은행나무 /경북 구미시 옥성면 농소리 436

357 선산 독동의 반송 /경북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539

300 금릉 대덕면 은행나무/ 경북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51

292 문경 농암면의 반송 /경북 문경시 농암면 화산리 942

426 문경 대하리의 소나무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16

293 상주 화서면의 반송 /경북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 50-1

403 성주 경산리의 성밖 숲 /경북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446-1번지

174 송사동의 소태나무/ 경북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 100-7

175 용계의 은행나무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943

252 안동 구리의 측백나무 자생지/ 경북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산1-1

275 안동 녹전면의 느티나무/ 경북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 256외 3필

314 안동 와룡면의 뚝향나무/ 경북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 634외 1필

288 안동 임동면의 굴참나무 /경북 안동시 임동면 대곡리 583번지

473 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114 영양의 측백수림/ 경북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 산171

399 영양 석보면의 만지송/ 경북 영양군 석보면 답곡리 159번지

476 영양 주사골의 시무나무와 비술나무 숲/ 경북 영양군 석보면 주남리 산82-1

285 영풍 단산면의 갈참나무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산338

274 영풍 순흥면의 느티나무/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1095외 4필

273 영풍 안정면의 느티나무 /경북 영주시 안정면 단촌리 185-2외 4필

404 영천 자천리의 오리장림 /경북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1421-1

294 예천 감천면의 석송령 /경북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 804

400 예천 금남리의 황목근의 팽나무/ 경북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 696

469 예천 금당실 송림/ 경북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542-1 외

51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섬댕강나무 군락/ 경북 울릉군 남면 도리 산8

189 성인봉의 원시림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 산44-1

52 나리동의 울릉국화, 섬백리향 군락/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 320-1

48 통구미의 향나무 자생지/ 경북 울릉군 서면 남양리 산 70

49 대풍감의 향나무 자생지 /경북 울릉군 서면 태하리 산 99

50 태하동의 솔송나무, 섬잣나무, 너도밤나무 군락 /경북 울릉군 서면 태하리 산1-1

336 독도 천연보호구역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독도 일원)

96 울진의 굴참나무 /경북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381

409 울진 행곡리의 처진소나무 /경북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672

408 울진 서면의 산돌배나무/ 경북 울진군 서면 쌍전리 산 146-1

158 울진 죽변리의 향나무/ 경북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산 30

312 울진 화성리의 향나무 /경북 울진군 울진읍 화성리 산 190외 1필

405 의성 사촌리 가로숲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356번지

298 청도 각북면의 털왕버들/ 경북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 561-1

295 청도 매전면의 처진소나무/ 경북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 146-1

180 운문사의 처진소나무/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68-7

301 청도 이서면의 은행나무/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 638

402 청도 적천사의 은행나무/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리 산217

401 청송 홍원리의 개오동나무/ 경북 청송군 부남면 홍원리 547

313 청송 장전리의 향나무/ 경북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 산18

192 청송 신기동의 느티나무 /경북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 659

193 청송 관동의 왕버들 /경북 청송군 파천면 관리 721

371 포항 발산리의 모감주나무/ 군락지 경북 포항시 동해면 발산리 산13

468 포항 북송리 북천수 /경북 포항시 흥해읍 북송리 477

 

<제주> 

191 제주도의 한란 /제주도 일원

182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제주도 한라산 일원

156 신예리 왕벚나무 자생지 /제주 남제주군 남원읍 신예리 산2-1

423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제주 남제주군 대정읍 가파리 580 등

420 성산 일출봉 천연보호구역/ 제주 남제주군 성산읍 성산리 1번지 등

377 안덕계곡 상록수림 지대 /제주 남제주군 안덕면 감산리 산1946

376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제주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산16

161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제주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리 882-1

374 제주 구좌읍의 비자림지대 /제주 북제주군 구좌읍 평대리 산15

19 제주도 구좌읍 문주란 자생지 /제주 북제주군 구좌읍 하도리

375 제주 납읍의 난대림지대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 납읍리 산16

441 제주 수산리의 곰솔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 수산리 2274

422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제주 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 산34등

429 제주 월령리의 선인장 군락 /제주 북제주군 한림읍 월령리 359-3외

162 도순리 녹나무 자생 군락지/ 제주 서귀포시 도순동 210

18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제주 서귀포시 보목동 산1

421 문섬 및 범섬 천연보호구역 /제주 서귀포시 산4 및 법환동 산1-3 등

432 제주도의 한란 자생지/ 제주 서귀포시 상효동 1616외

379 천지연 난대림 지대/ 제주 서귀포시 서귀동 973

163 서귀포 담팔수나무 자생지 /제주 서귀포시 서흥동 973

378 천제연 난대림 지대 /제주 서귀포시 중문동 2785

159 봉개동의 왕벚나무 자생지/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160 제주 산천단의 곰솔/ 제주 제주시 아라동 375-1

 

 

※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다

 

우리가 대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나무일까? 아닐까?

다음의 시조가 힌트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 소개한다.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곧기는 뉘가 시켰으며 속은 어이 비었는가

저렇게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

 

물, 돌, 솔, 대, 달, 다섯 가지 자연의 친구에 대해 노래한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중 대에 대한 노래이다.

 

“나무도 아닌 것이” 란 대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다. 따라서 대나무라고 부르기 보다 '대'라나고나 불러야 정확한 것이다. 그 이유는 몇 가지가 있는데, 우선 대에는 나무처럼 형성층이 없다. 때문에 나이를 먹어도 더 이상 굵어지지 않고, 키도 자라지 않으며, 나이테가 생기지도 않고 속은 비어 있다. 형성층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목본과 초본을 구별하는 이유는, 초본은 목본과 달리 형성층이 없어 나이를 먹어도 더 이상 굵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뿌리와 줄기의 구조가 나무와 다르다는 것이다. 대를 보면 하나 하나가 모두 별개로 보이지만, 뿌리에는 여러 개의 대가 땅 속에서 옆으로 뻗는 지하경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대는 나무가 아니다. 대는 죽순이 자라서 된다. 대의 크기나 굵기는 나무처럼 여러해 동안 자라서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우후죽순'이란 말이 있듯이, 봄철에 비가 촉촉이 내리고 나면 대밭에는 여기저기 수많은 죽순이 머리를 내미는데, 땅 밖으로 고개를 내민 죽순을 내버려두면 불과 며칠 사이에 큰 대로 자라게 된다.